“2030세대, 당신의 질문에 교회가 응답합니다”
이 시대 청년들이 마주한 고민은 단순한 ‘청춘의 흔들림’이 아니다. 우울과 중독, 돈과 직업, 연애와 동거, 저출산과 이혼 등 삶의 전 영역에서 신앙적 가치와 현실 사이에서 방황하는 이들에게 교회는 어떤 언어로 응답할 수 있는가?
고신언론사가 출간한 《기독교, 2030에게 답하다》는 고신총회 소속의 목회자·교수·장로 17인이 참여한 공동집필서로, 복잡다변한 시대 속 2030세대의 삶을 성경적 세계관과 개혁주의 신학의 틀 안에서 해석하고 안내하는 현장 밀착형 신앙 지침서다.
추천 필독 대상
✦ 개혁신앙과 시대해석이 필요한 청년세대
✦ 교회의 목회자/중직자/신학생
✦ 2030세대를 지도중인 부모 및 장년세대
책의 구성
1부 | 인생과 나 - 생애주기, 창조, 종말
2부 | 하나님과 나 - 우울, 중독, 돈, 직업, 영적전쟁, 반려동물
3부 | 너와 나 - 동성애, 연애와 결혼, 동거, 저출산, 이혼과 재혼
4부 | 공동체와 나 - 경건, 교회, 국가
편집자 서문 중에서
“2030세대는 부모 세대와는 전혀 다른 삶의 질문과 싸우고 있습니다. 이 책은 그들의 질문을 비껴가지 않고, 정면으로 응답합니다. 교회와 가정이 함께 읽고, 함께 고민하고, 함께 자라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책 요약
생애주기: 2030 인생사용설명서(강현석 목사)
인생을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설계하며, 생애주기를 7단계로 나누어 설명. 청년기는 자기다움, 부르심, 거룩한 목표를 발견하고 준비하는 시기임.
창조: 창조에서 새 창조의 삶으로(최윤갑 교수)
진화론, 유신진화론, 창조론 비교 후 성경적 창조론을 지지. 잠언을 통해 ‘지혜’와 ‘새 창조’의 삶을 연결하고 여호와 경외를 진정한 지혜의 근원으로 설명.
종말: 종말에 관하여 알아야 할 것들(오계강 목사)
종말은 두려움이 아닌 소망의 사건이며, 현재를 충실히 살아내는 신앙의 태도를 강조.
우울(이혜정 교수)
청년기의 우울은 정상적인 감정일 수 있으며, 기독교적 이해와 공동체 안에서 회복 가능함을 강조.
중독(정원기 목사)
중독은 현대인의 영적 병리. 복음 안에서 자유와 회복을 추구해야 함.
돈(손협 장로)
성경은 돈을 이중적으로 다루며, 그리스도인은 부를 다루는 데 있어 경계와 청지기적 태도를 가져야 함.
직업(채충원 목사)
직업은 하나님의 부르심이며, 세상 속에서 하나님 나라를 실현하는 사명의 자리임.
영적전쟁: 무속소비사회(윤치원 목사)
무속화된 소비문화에 대한 비판과 함께, 영적 분별력과 말씀 중심의 삶을 강조.
동물(송영목 교수)
인간 중심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피조물 전체를 돌보는 생태적 감수성과 책임 있는 신앙의식을 다룬다.
동성애(이춘성 목사)
동성애는 세계관의 전쟁이며, 성경은 분명히 동성애를 죄로 규정함. 사랑과 진리 안에서 소명을 다할 것.
연애와 결혼(심성현 목사)
3포 세대의 연애와 결혼에 대해 성경적 가치 회복과 공동체 안에서의 성숙한 준비를 강조.
동거(김정용 목사)
동거는 책임 없는 관계로서 하나님의 결혼 질서에 어긋남. 사랑은 계약적 헌신이어야 함.
저출산(김대중 목사)
성경은 자녀를 축복이라 보며, 저출산 해결은 자녀와 가정에 대한 신앙적 가치 회복에서 시작됨.
이혼과 재혼(이성호 교수)
이혼은 하나님 뜻이 아니지만, 죄 많은 현실 속에서 재혼의 허용 조건과 질서에 대해 성경적 기준 제시.
경건(이원영 목사)
경건은 개인 윤리가 아닌 하나님 뜻을 이루는 삶이며, 일상 속 순종과 헌신이 그 핵심임.
교회(이창준 목사)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전초기지로서, 성도는 이 땅에서 ‘천국생활’을 실현하며 살아가야 함.
국가(임경근 목사)
정교분리의 원리를 오해하지 말고, 그리스도인은 공적 영역에서 성경적 세계관으로 참여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