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및 연수방법
이 책에 대하여
1) 이 책은 “한문독해첩경 시리즈”의 여섯 번째 책이다.
시리즈의 첫 책인 《한문독해기본패턴》(이하 ‘《기본패턴》’)을 2회 이상 정독한 수준으로 난이도를 고려함.
2) 사서독해 학습자를 위한 교재이다.
이 책은 ‘논어論語’의 주요 문장과 패턴을 집중 학습하여 단기간에 한문독해력漢文讀解力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구서임.
3) 정보화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북SmartBook’이다.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정보화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북’임.
구성 특징
1) 다음과 같은 분야를 주요 학습의 범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1) 개념어 및 성어成語:각 페이지 상단에는 유학儒學의 기본 개념어와 관련 성어를 제시하고, 페이지의 중간에는 대중적인 성어와 그 풀이를 배치함.
(2) 구문 패턴:원문의 옆에는 문장 독해를 위한 주요主要 패턴을 제시하고, 상단上段에는
중심 패턴을 어휘에 이어서 제시함.
(3) 자의字義:페이지 하단에 실제 문장에서 사용된 한자의 훈음訓音을 제시함.
(4) 현토懸吐:원문에 현토하고 부록에 현토를 이해할 수 있도록 원문과 연계하여 설명을
제시함.
2) 교수-학습의 편의를 위해 문장에 각각의 본서 내의 일련번호와 편장절篇章節의 정보를 달았다.
(1) 전체 원문의 문장번호文章番號를 1부터 일련번호로 제시함.
(2) 본래의 편장절 정보를 표시하되, 한 개의 장이 여러 개의 절로 나뉜 경우 마지막 절에
만 ‘〈學而 1:1~5〉(학이 1장 1절~5절)’와 같은 형태로 제시함.
(3) 하나의 절節이 긴 경우에는 페이지를 분리하되, 분리된 앞부분의 끝에는 ‘〈계속〉’이라
표기하고, 뒷부분의 앞에는 일련번호 없이 ‘ … ’만을 표기함.
3)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유기적으로 구성하였다.
(1) 패턴이 처음 등장할 경우에는 문장의 하단에 패턴의 의미와 특징을 설명하고, 해당 패
턴이 쓰인 문장의 일련번호를 제시하여 다양한 예문을 익힐 수 있도록 함. 단, 지면이
좁아서 처음 등장한 문장에 설명이 곤란한 경우에는 뒤에 설명이 있는 문장의 일련번호
를 제시함.
(2) 이미 설명한 패턴이 재등장할 경우에는 기본 설명이 있는 문장의 일련번호를 다시 제시
하여 패턴의 의미와 특징을 익힐 수 있도록 함.
4) 패턴의 복습과 암기에 도움이 되도록 단원별로 엄선된 연습문제를 제시하였다.
5) 현토懸吐의 쓰임과 풀이를 정리하여 부록에 제시하였다.
구성 원칙
1) 패턴의 선정選定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주요 ‘허사虛辭’ 중심의 ‘구句’ 또는 ‘절節’의 ‘문형文型’인 것.
(2) 논어에 나오는 패턴이되, 다른 문헌에 자주 나오는 패턴을 중심으로 선정함.
2) 논어論語의 경문經文 872절(16,009자) 중에서 210절(3,882자)을 선정하였으며 원문 발췌拔萃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경문을 중심으로 선정하되, 자의字意 이해에 도움이 되는 집주集註를 수록함.
(2) 패턴 학습에 도움이 되는 확장성이 있는 문장을 선정함.
(3) 유학儒學의 개념어나 성어를 익힐 수 있는 문장을 선정함.
(4) 현토 학습에 도움이 되는 문장을 선정함.
3) 원문의 현토懸吐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전통 방식으로 현토함.
(2) 경문經文은 교정청校正廳 언해諺解를 위주로 현토하고 율곡栗谷의 언해를 참고하여 필
요에 따라 조정함.
(3) 집주集註는 집필진이 본회의 번역서 등을 참고하여 현토함.
해설 기준
1) 번역문은 《기본패턴》의 직역直譯과 달리 자연스러운 번역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 《기본패턴》에서 사용되었던 ‘대명사代名辭의 반복적인 직역, 글자의 2회역’ 등을 가급
적 지양함. 자세한 내용은 《기본패턴》 참조.
2) 번역문만으로 문장 구조의 이해가 어려운 경우에는 다양한 해설解說을 제시하였다.
(1) 패턴이나 글자의 쓰임
(2) 직해시 축자 순서
(3) 의미 구분에 따른 끊거나 늘여 읽을 위치
3) 문법文法 용어의 사용을 가급적 지양止揚하였다.
4) 자주 쓰이는 성어는 원문의 아래에 의미 풀이를 제시하였다.
5) 주석注釋으로 고유명사나 개념어, 관용어, 난해어 등의 풀이를 번역문 좌우에 배치하였다.
6) 한자의 훈음訓音을 제시하였다.
(1) 본문의 하단에는 중학교용 한자(900자)의 초과 한자에 훈음 제시함.
(2) 특수한 훈음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페이지 하단에 실제 문장에서 사용된 훈음을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