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의 대승철학 : 삶, 깨어남, 평등 2권
[존재의 노래]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고 존재 자체로 평등하다.
인간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 그토록 찾아 헤매는 "나". 그 "자아"라는 존재가 허상이라는 것을, 다만 개념일 뿐이라는 것을, 그 실체를 만약 깨닫게 된다면
독자들은 더 분명하고 뚜렷하며 시원스런 세계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나"와 "너"를 구별 짓는 분별심과 "우리"와 "그들"을 나누는 차별을 이제까지와는 전혀 다른 눈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원효는 불교공부를 더 하기 위해 두 번 당나라로 가는 유학길에 올랐다. 첫 번째는 국경에서 간첩으로 오인 받아 되돌아 왔고 두 번째 유학길은 도중에 작파했다.
비가 쏟아지는 어두운 밤, 원효는 동행하던 의상과 함께 무너진 토굴을 더듬어 들어가 잠을 청했다. 잠결에 목이 말랐던 원효는 바가지에 담긴 물을 시원하게 마시고 다시 잠이 들었다.
다음날 원효는 실상을 알게 된다. 토굴은 무너진 흙무덤이었으며 바가지는 해골이었고 거기에 고인 물을 마셨던 것이다.
원효는 그 찰라, 벼락이 내려치듯 깨달았다. "일체유심조(一切有心造)"의 의미이다.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一心二門) 사상인 것이다.
원효는 자신의 마음을 넘어서는 존재계 전체와 모든 존재를 끌어안고 연결되는 마음으로서 일심(一心)을 체득한 것이다.
원효는 [대승기신론소 및 별기]를 저술했고 파계를 했고 소성거사(小姓居士)로 살며 대승철학을 실천하고 평등을 실천했다.
고구려, 백제, 신라가 할거하던 삼국시대에 태어나 불완전한 통일신라시대를 건넜던 원효는 불교사상가를 넘어 민중의 마음속에 깊이 자리 잡은 스승이자 친근한 존재로 천 년을 살고 있다.
이제, 그 원효의 평등사상은 김학성 저자의 3부작 [원효의 대승철학: 삶, 깨어남, 평등]으로 다시 텍스트화 된다.
제 1권 『깨어나는 새벽』을 김학성 저자는 먼저 펴냈다.
"평등"과 "불평등"은 인류에겐 언제나 중요한 과제였고 "평등"은 단순한 규범을 넘어서 인간을 포함한 일체의 존재와 존재계의 가장 근본이 되는 성품이자 이치임을 이 책을 통해 깨달을 수 있었다.
저자는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우화로서 원효의 평등사상을 풀어낸다.
차별과 불평등이, 자본주의 체제의 검은 등에 업혀 보편화되어 있는 지금, 왜 우리는 원효와 동행해야 하는지, 평등과 동행하는 그 삶이 그 생태계가 얼마나 무한히 넓고 밝고 빛나는지 『깨어나는 새벽』은 보여주었다.
제 2권 [존재의 노래]는, [대승기신론]과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및 별기]를 소설과 시로 재창조했다.
김학성 저자는, 원효의 대승철학을 현대를 사는 독자들에게 오롯이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학을 선택했다.
한문 고전을 현대 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 노고를 아끼지 않은 저자는 이 고전에 담긴 밝고 환하고 드넓은 사상이 지금을 사는 우리에게 절실히 필요함을 깨달았다.
차별과 소외와 불평등이 자본주의와 함께 민중을 억압하는 사회.
국민이 부여해준 권한으로 국민을 우롱하는 정치가 판을 치는 국가.
약소국가를 학대하고 전쟁으로 귀한 뭇 생명을 살상하는 세계를 목도해야만 하는 지금의 우리는
방황하고 갈등하며 길을 찾고 있으니, 그 길 위에서 [존재의 노래]는 이야기와 노래로써 열쇠 하나를 건넨다. 이 열쇠는, 질문의 문으로 들어가는 화두와 같다.
소설과 시로 재탄생한 [대승기신론]과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및 별기]를 읽으며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고 존재 자체로 평등함을 기쁘게 깨닫는 삶을 독자들은 누리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