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마음의 진보 (개정판)

마음의 진보 (개정판)

  • 카렌 암스트롱
  • |
  • 교양인
  • |
  • 2025-05-02 출간
  • |
  • 512페이지
  • |
  • 144 X 197mm
  • |
  • ISBN 9791193154397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카렌 암스트롱과 공감의 종교학
- 기독교와 이슬람교 사이에 다리를 놓다

덴마크 신문에 처음 마호메트 풍자만화가 실린 후 유럽 각지의 신문들이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며 그 만화들을 옮겨 게재하면서 전 세계에서 성난 이슬람인들의 시위가 들불처럼 일어나고 있다. 유난스럽고 호들갑스런 행동이라는 서구의 반응은 정당한 것일까?
1988년 샐먼 루시디의 소설 《사탄의 시》가 발간된 뒤 거기에 등장하는 예언자 마호메트 묘사가 많은 이슬람교도에게 ‘이슬람과 예언자에 대한 모독’으로 받아들여졌다. 파키스탄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시위가 벌어졌다. 이슬람교도가 많이 사는 북부 잉글랜드에서는 시위대가 루시디의 소설을 불태우기도 했다. 1989년 2월 이란의 종교 지도자 호메이니는 루시디와 그의 책을 낸 출판인들에 ‘파트와’ 곧 처단령을 내렸다. 서구 사회는 이슬람을 야만과 폭력의 종교로 보는 분위기로 달아올랐다.
카렌 암스트롱은 이 자서전에서 그 무렵 한 사려 깊은 이슬람교도의 호소를 다룬 신문 기사를 읽고 큰 충격을 받았음을 밝히고 있다. 이 이슬람교도는 처단령과 분서 행위를 비난하면서도 루시디의 소설이 왜 그렇게 이슬람인들을 분노케 했는지, 서구인들을 어떻게든 이해시켜보려고 애쓰고 있었다. 그 기사에 따르면 이슬람인들은 루시디의 소설 때문에 “생살을 도려내는 듯한 아픔”을 느끼며, “자기들이 예언자로 모시는 인물에 가해진 이런 모욕을 폭거라고, 강간이라고, 심장을 칼로 찌르는 짓”이라고 느낀다는 것이었다.
“그 말은 나의 가슴을 쳤다. …… 관용과 연민이라는 우리의 잣대를 지키지 못하고 이슬람교도는 원래가 악독하고 폭력적이라고 단정 지으면서 우리는 화를 자초하고 있었다.” 그녀가 서구인들에게 이슬람교를 제대로 알리기 위해 《마호메트》를 쓴 이유가 그것이었다.
카렌 암스트롱은 공감의 종교학을 이야기한다. 그녀가 쓴 대부분의 책들은 자신의 고통과 상처를 극복해 가면서 내면에서 끌어낸 체험의 종교학이다.
“어느 종교든지 아픔을 맨 위에 놓는다. 아픔은 피할 수 없는 인생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면 올바르게 살아갈 수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까닭은 스스로의 아픔을 부정하는 사람일수록 남의 아픔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쉽기 때문이다. 모든 종교는 공감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공감을 통해서 남의 아픔과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내 마음을 들여다보고 나를 괴롭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낸 다음 남들한테도 비슷한 괴로움을 안기지 않도록 애써야 한다는 것이다.”
카렌 암스트롱의 공감의 종교학은 모든 종교의 표면적 차이 너머에 존재하는 본질적 공통점을 상기시킴으로써 기독교와 이슬람교 사이에 이해의 다리를 놓았다.


17살 소녀, 카렌 암스트롱은 왜 수녀원으로 들어갔을까?
가톨릭 여학교에 다니던 카렌 암스트롱은 어느 날 문득 수녀가 되기로 결심한다. 보통 여자들의 평범한 삶과는 다른 자유로운 삶, 정신적으로 고양된 삶을 꿈꾸었던 카렌은 수도 생활을 통해 다른 차원, 다른 자리로 자신을 띄워주는 황홀경을 체험하고 싶었다. 그녀는 1962년 자기 혼자의 결정으로 수녀원으로 들어갔다.

그녀는 왜 7년 만에 수녀원에서 나왔을까?
수녀원은 카렌이 생각했던 것과는 달랐다. 그녀는 견디기 힘든 강도 높은 훈련을 받으면서도 그 안으로 자신을 던졌다. 힘들수록 신을 하루라도 더 빨리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하지만 자기를 철저하게 버리고 절대 복종할 것을 요구하는 수녀원의 생활은 카렌의 마음을 병들게 했다.
극단적으로 금욕적인, 늘 기도하고, 참회하며, 순종하는 수도 생활을 하면서도 카렌은 자신이 강렬히 열망한 신을 단 한 번도 만나지 못했다. 자기를 완전히 버리지 못한다는 절망감 속에서 신의 존재에 대한 의심까지 자라났다.

환속한 그녀는 왜 사회로 돌아와서도 고통스러웠을까?
수녀원을 떠난 카렌은 옥스퍼드 대학에서 문학 공부에 전념한다. 하지만 그녀는 슬퍼서 어쩔 줄 몰랐고, 심한 자책감에 시달렸다. 새로 시작한 생활에는 이상도 없었고 헌신도 없었으며, 자신을 하느님께 선물로 바치는 데 실패한 사람이란 죄책감도 그녀를 고통스럽게 했다. 더구나 그녀는 수녀원 교육을 통해 이미 많이 달라져버린 후였다. 마음으로 느낄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그녀는 아무도 들어올 수 없는 자신만의 정원에 웅크린 채 흐느껴 울었다. 더는 수녀원 사람이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바깥 세상 사람도 아니었던 것이다.
더구나 카렌은 불안 발작과 공포, 가끔씩 의식을 잃는 알 수 없는 병을 앓고 있었다. 세상이 산산조각 나는 환각에 시달리고 텅 빈 구멍을 볼 때마다 그녀는 세상과 점점 멀어져 간다고 느꼈다. 결국 그녀는 자신도 의식 못하는 채 자살을 기도한 후 정신병원을 드나들게 되었다.

신과 갈라섰던 그녀는 왜 다시 종교의 길로 들어섰을까?
카렌은 몇 번이나 좌절을 겪는다. 몇 년에 걸쳐 쓴 박사 논문은 퇴짜를 맞고, 교사 생활마저도 간질로 밝혀진 병 때문에 해고당한다. 무언가를 시작하려고 하면 늘 자기 앞에서 문이 쾅 닫히는 경험을 하던 그녀가 새로 시도한 일은 방송 다큐멘터리의 극본과 진행을 맡은 일이었다. 1983년 사도 바울로를 다룬 〈최초의 기독교인〉과 〈십자군 전쟁〉을 진행하면서 만나게 된 유대교와 이슬람교를 통해 종교에 관한 새로운 깨달음을 얻는다.
종교에 관한 자신의 편견을 벗어 던진 카렌은 타자의 고통을 느끼면서 새롭게 깨어난다. 그리고 같은 뿌리를 가졌으나 1천 년 넘게 적대적으로 대립해 온 세 종교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의 놀랄 만한 공통점을 탐구하는 책 《신의 역사》를 쓰기로 결심한다.

비교종교학은 그녀를 어떻게 구원했을까?
《신의 역사》를 쓰면서 카렌 암스트롱은 벅찬 감동을 느꼈다. 그 책은 그녀한테는 탐구이자 해방이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구도의 길에 들어서게 만들어준 이 책은 출간과 함께 전세계 지식인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으며, 그녀를 세계적인 작가로 만들어주었다.
카렌은 이제 이슬람교를 서구에 제대로 알리는 전도사이자, 타인의 아픔을 같이 느끼고 실천하는 공감의 종교학을 설파한다. 카렌은 지금 특정한 종교의 신도는 아니지만 자신을 종교 안에서 살아가는 종교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녀가 그토록 오래 찾아 헤맸던 마음의 빛을 결국 자기 안에서 발견한 것이다.


[추천글]

“날카로운 지성과 결코 움츠러들지 않는 자기 인식, 정직함으로 빛나는 감동적인 전기이다. 암스트롱은 힘이 넘치는 매혹적인 작가이다.” - Christian Science Monitor
“암스트롱의 글은 감수성과 지혜로 빛난다. 그녀는 폭넓은 지식을 품고서, 삶의 체험 속에서 환하게 타오르다가 순식간에 바뀌는 빛과 그림자를 선명하게 그려낸다.” - The Times
“인간이 된다는 것, 인정받는다는 것, 그리고 마침내 자신이 자신을 인정하게 된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이 책은 독자들을 희망으로 가득 채워줄 것이다.” - The Washington Post
“특별히 인상적이다. 달팽이처럼 아주 천천히, 하지만 용감하게 나아가는 영혼의 여행을 그린 이 책은 우리를 깊이 생각하게 하고, 작가에게 경의를 표하게 한다.” - The Daily Telegraph
“암스트롱의 자서전은 우리의 삶을 가꾸고 또 새롭게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지혜를 보여준다. 우리 모두가 배워야 할 지혜 말이다.” - The New York Times Book Review
“솔직하고 매혹적인 책.” - Independent
“과거를 비난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는 저자의 힘이 너무도 매혹적인 드라마를 만들어냈다.” - Edmonton Journal
“한 작가가 탄생하기까지의 이야기. 이 책은 작가의 지적 성장 과정을 극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 진정한 호기심이란 무엇인지를 잘 보여준다. 총명하고 특별한 한 젊은이의 지적 여정을 그린 이 책에서 손을 뗄 수가 없다.” - San Francisco Chronicle

목차

머리말 - 나선 계단에 서서

어둠의 시간
환속한 수녀 / 혁명 속의 옥스퍼드 / 비틀스가 누구야? / 아무도 들어올 수 없는 정원 / 불감증, 느끼지 못하는 마음 / 신은 내게 아무 말도 걸지 않았다
계단의 악마
산산이 부서진 거울 / 텅 빈 두려움 / 거식증, 소멸의 욕망 / 최우등 졸업
상처 입은 짐승
새로운 안식처 / 자폐증과의 만남 / 나 좀 도와주세요 / 나도 학자가 될 수 있을까 / 나는 신과 갈라섰다
공포의 절규
자살 기도 / 내 영혼은 앞으로 나아간다 / 남루한 현실도 아름답다 / 버릴 수 있는 용기 / 마지막 결별
절망 속의 엑스터시
대학 강단에서 / 잃어버린 박사학위 / 간질이라는 선물 / 더는 잃을 게 없다
나를 향한 용기
평범하게 살기 싫다 / 글쓰기가 나를 치유할 수 있을까? / 좁은 문으로 / 낯선 세계의 유혹
발견과 공감
우상 파괴 임무 / 최초의 기독교인 / 성지의 망아 체험 / 타자의 발견 / 그들의 고통이 나를 깨웠다
빛을 향해 한 걸음
신의 역사를 찾아서 / 외롭고 위험한 도전 / 나를 버리고 나를 만나다 / 침묵은 나의 스승 / 이해하려면 나를 던져라 / 다시 좁은 계단을 오르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