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공직적격성평가(Public Service Aptitude Test: PSAT)는 현재 5급 공채 및 외교관 후보자 시험, 7급 공채, 민간경력자 채용 시험, 7급 지역인재 선발 시험, 법원행시, 입법고시, 5·7급 민간경력자 일괄채용시험 등 다양한 공직 시험에 적용되고 있으며 현재 다른 분야에까지 확장되고 있는 테스트입니다.
PSAT 시험은 세 과목으로 출제되며 그 중 언어논리 과목은 합격을 위한 점수를 확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영역입니다. 타 과목 보다 접근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물론 한동안(2017~2022) 언어논리 과목의 난이도가 가장 높게 형성되었던 때도 있었으나, 최근 출제 변화를 통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영역으로 변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PSAT 언어논리 영역은 글에 대한 분석 능력과 논리 비판적인 사고를 측정하기 위한 문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평소의 독서 경험을 토대로 하여 언어적 이해와 표현에 집중하여 출제되는 언어 영역과 논리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한 추론 비판 영역으로 구분됩니다. 현재 논리 비판 영역이 60% 이상으로 출제되고 있으며 언어 영역의 비중은 40% 미만입니다. 이는 과목의 변별력을 논리 비판적 사고에 두고 있음을 나타내는데, 출제자들이 대부분 논리 전공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언어논리 영역의 성공을 위해서는 변별력 있는 고난도 문제에 대한 분석력과 문제에 대한 접근, 그리고 논리 비판적 사고로 해결하는 ‘조화로운 적성’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 책은 이러한 수험 패턴에 맞추어 크게 세 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글에 대한 분석력을 높이는 이해와 표현, 논리적 사고를 학습하기 위한 연역과 추론 파트, 그리고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인 비판 파트가 그것입니다. 철저하게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이론을 정리하였으며, 학원동영상 강의와 함께 나아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PSAT 김우진 언어논리 기본서는 2개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부에서는 기초입문과정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기초 논리학 과정입니다. 언어논리 과목에서 고득점을 위해 가장 어려워하는 내용은 논리학에 기반한 문제입니다. 그래서 기초 논리학 과정을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압축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제2부에서는 언어논리 전반에 걸친 유형에 대한 분석과 접근 방식으로, 기본 및 심화 이론 과정에 해당합니다. 언어논리 과목을 기초부터 심화까지 철저하게 분석하고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언어논리의 적성은 한 번 완성될 경우 꾸준하게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완성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학습과 전문적인 이론 및 틀이 필요합니다. 이 책을 통해 학습하는 모든 분들이 언어논리 영역에서 좋은 성과가 있기를 바라며 이 책이 나오기까지 수고해 주신 모든 분들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2025년 4월
Ph.D. 김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