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리버럴의 질문

리버럴의 질문

  • 류칭
  • |
  • 솔과학
  • |
  • 2025-04-30 출간
  • |
  • 280페이지
  • |
  • 150 X 225mm
  • |
  • ISBN 9791173790119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75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중국의 현대성 문제를 마주하며
급변하는 시대일수록 사상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두드러진다. 현대성, 세계화, 문화적 자율성, 가치관 변화와 같은 문제들은 이론적인 동시에 실천적 의미를 지닌다. 이에 대해 중국 사상계에서는 다양한 논의와 논쟁이 이루어져 왔다. 본서에 수록된 글들은 주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발표된 것들로, 당시 중국의 사상적 논의가 지금보다 훨씬 활발했던 시기였다. 이 글들은 필자가 이러한 대화와 논쟁에 참여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중국에서 국가가 주도하는 핵심 이념은 ‘중국 특색 사회주의’ 및 ‘중국식 현대화’와 같은 이론들이다. 이러한 공식적 이념들은 사회의 여러 영역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계는 일정 수준의 자율성을 유지하며, 현대 중국이 여러 사상적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탐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국 사상계에는 세 가지 주요 사조가 있다고 여겨진다. 신좌파(新左派), 신유가(新儒家), 그리고 자유주의. 물론 이러한 구분이 완벽한 것은 아니지만, 대략적인 중국 사상계의 지도를 그리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자유주의 진영에 속한 저자로 간주되곤 한다. 그러나 자유주의라는 범주 안에서도 다양한 견해와 차이가 존재한다. 가치적 관점에서 볼 때, 필자는 평등주의적 자유주의자로서 정치철학자 존 롤스(John Rawls)의 입장에 가깝다. 즉, 자유, 평등, 다원주의적 가치를 중시하며, 사회 정의가 현대인의 행복한 삶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내가 평등주의적 자유주의 입장을 취하게 된 것은 어느 정도 우리 세대의 경험과도 관련이 있다. 나는 1960년대에 태어나 지난 반세기 동안 중국 사회의 변화 과정을 몸소 경험했다. 중국 전통문화와 기존의 이념적 유산에는 보존할 가치가 있는 부분이 많지만, 근본적으로 현대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느껴왔다. 이러한 전환의 동력은 중국 내부에서 비롯된 것으로, 중국 근대 혁명(민국 혁명과 사회주의 혁명 포함)이 내세운 가치들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즉, 중국의 현대성은 역사적 유산을 직면하는 동시에 현대 중국인의 삶에서 제기되는 도전에 응답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중국의 현대성을 논할 때, 중국의 전통과 현대적 맥락의 복잡성을 특히 강조한다. 이를 위해 중국 전통문화(특히 유교 전통)와 현대 신좌파 논의와의 대화를 적극적으로 시도해왔다. 또한, 민족 정체성 형성에 대한 논의에서도 본질주의나 문화결정론적 입장에 반대하며, ‘중국인’이라는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역동적인 방식으로 탐색해 왔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현대 중국에서 평등주의적 자유주의는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실현 가능성이 있는 대안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자유주의적 입장 역시 한계를 지닐 수 있으며, 다른 경쟁적인 논의들로부터 도전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나는 중국 자유주의가 서구 중심주의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그리고 중국 문화의 자율성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에 대해 깊이 고민해왔다.
또한, 현대 중국의 발전이 국제 질서에 미치는 영향도 점점 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글로벌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현대화 모델은 새로운 세계 질서를 상상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작업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나는 중국 전통의 ‘천하’(天下)개념을 현대적으로 발전시켜 새로운 세계주의를 구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모두 탐색적인 시도들이다. 분명한 방향성을 지니고 있지만, 절대적인 결론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개방성과 논의 가능성을 유지하는 것이 자유주의적 학자의 태도일 것이다. 사실, 나의 학문적 작업의 가장 뚜렷한 특징 중 하나는 어떠한 이념도 비판 없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자유주의 자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현대화의 역사적 과정과 현대성의 가치 및 영향에 대해 나는 언제나 비판적 승인(critical endorsement)의 입장을 취해왔다. 이러한 입장은 나의 글들 속에서 내적 긴장(internal tension)으로 나타나며, 이는 철학적 반성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러한 긴장은 중국 자유주의 사상가들 가운데서도 특히 내 글이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2020년 이후 우연한 계기로 나는 공론장(public sphere)에서 더 많은 활동을 하게 되었다. 내가 출간한 『서양 현대 사상 강의』는 지난 3년간 50만 부 이상 판매되었으며, 일반 학자보다 더 큰 대중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계기로 특히 젊은 독자들과 더 많은 토론과 교류를 나누게 되었다. 이러한 논의들은 주로 현실 사회의 문제들을 다루지만, 나는 공적 토론 속에서 철학적 사고와 논변을 촉진하려 노력하고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나의 논조와 문체도 변화했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을 돌아보면, 현재의 상황과는 다소 어울리지 않는 듯한 느낌도 든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에서 사상적 논쟁은 10여 년 전만큼 활발하지 않으며, 설령 사라지지는 않았더라도 주변부로 밀려난 상태다. 현재의 논의들은 보다 구체적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문제들에 집중되고 있으며, 사상적 논쟁은 그리 활발하지 않다. 그러나 사상적 논의는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미래를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 책의 내용을 요약하여 밝힌다.
1장 「현대화 논제의 재확인」에서는 중국의 현대화는 초월보다는 제도적 현실에 기반해야 하며, 자유주의적 가치와 제도 개혁이 핵심 과제임을 강조한다. 중국은 ‘독특함’이 아닌, 보편적 현대적 가치에 부합하는 ‘더 나은 대안’으로서 현대성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장 「중국굴기와 문화자주」에서는 중국의 굴기 속 유행하고 있는 ‘문화 자주성’과 ‘학문 주체성’ 담론을 성찰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국 자체가 직면한 근대성의 위기 또한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긴장 속에서 진지한 자기 성찰과 실천적 재구성 속에서 극복가능하다고 말한다.
3장 「학술과 사상의 분열」에서는 1990년대 이후 중국 지식계에서 ‘학술’은 형식적 전문화와 계량화로 탈정치화되었고 ‘사상’은 공공 논의의 장에서 파편화되어 분열되었다고 분석한다. 이러한 분열은 근본적으로 지식 장(intellectual field)이 국가 권력으로부터 자율성을 획득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학문성과 공공성, 학술과 사상의 균형 회복을 위한 구조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4장 인터뷰 「공공문화와 사상계의 새로운 추세」에서는 정보 기술과 공공문화의 변화 속에서 중국 사상계가 기존 엘리트 중심의
폐쇄적 구조를 벗어나, 대화와 공통 인식에 기반한 ‘윤리-지식공동체’로의 전환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새로운 세대 지식인들이 분열과 독단을 극복하고 공공성과 책임윤리를 갖춘 사상적 연대를 형성할 수 있다고 보며, 이는 과거 사상계가 이루지 못한 과업의 계승이자 갱신이라 평가한다.
5장의 「중국에서의 자유주의 : 잠재성과 딜레마」에서는 현대 중국에서 자유주의의 가능성과 한계를 ‘비판적 맥락주의’와 ‘사회적 상상’ 개념을 통해 조망한다. 자유주의가 평등주의·개인주의·다원주의라는 중국 현대성의 핵심 경향과 조응하지만, 동시에 전통적 윤리 감정·초월적 정치 가치와의 긴장 속에서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고 본다. 자유주의가 중국의 현실 조건에서 가장 실행 가능하고 바람직한 사회정치적 원칙을 제공할 수 있지만, 정신적·문화적 요구를 어떻게 포용할 것인지는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라고 진단한다.
6장 「자유주의 및 그 불만」에서 류칭은 중국에서 자유주의가 덩샤오핑(鄧小平) 시기 근대화의 방법으로 주목받았지만, 오늘날엔 경제 불평등, 윤리적 공허함, 문화적 비판 속에서 의심받고 있으며, 그 핵심 가치인 ‘평등한 자유’가 정치적으로 여전히 유효하지만 윤리적·정신적 차원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자유주의는 전체 삶의 이념이 되기보다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공적 원칙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정치적 자유주의 입장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7장 「사상계의 서구중심주의 비판」에서는 중국 사상계의 서구중심주의의 지식적 편협성과 문화적 헤게모니 비판을 소개한다. 이러한 비판의 결과가 단순한 ‘중국중심주의’로의 대체여서는 안 되며 문화 자각과 ‘횡단문화적’ 보편주의를 통해 진정한 세계적 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구 지식의 보편성 오용을 반성하고, 다양한 문명 간 상호 학습을 통해 포스트-헤게모니적 세계 질서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8장 「대안적 근대성의 상상-문명 부흥의 꿈과 새로운 세계주의」에서는 중국의 ‘대안적 근대성’ 상상이 단순한 서구 모델의 모방이 아닌, 자국 문명의 전통과 세계적 사유를 결합해 새로운 세계주의 질서를 창출하려는 시도임을 인정한다. 전통적 ‘천하’ 개념의 창조적 전환과 다양한 문명 간의 조우를 통해 다원적 근대성과 트랜스 문화적 보편주의를 지향하는 새로운 글로벌 상상이 제시된다.
9장 「유가 부흥과 현대 정치의 비판」에서는 현대 중국에서 유가의 부흥 담론이 활발해지는 흐름에 주목한다. 동시에 그 배경이 된 전통의 쇠퇴, 문화적 정체성, 현대성 위기 등을 제시한다. 저자는 유가사상이 다시 정치의 ‘정통’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시대착오적이라 비판한다. 유가사상은 정치의 중심이 되기보다는 현대성의 위기 국면에서 시민적 덕성과 도덕적 자원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본다.

목차

저자 서론 중국의 현대성 문제를 마주하며 ㆍ 4
해제가 포함된 번역자의 서문 ㆍ 8
이 책의 구성과 내용 ㆍ 19

1부 중국 굴기의 사상적 의미ㆍ27

1장 현대화 논제의 재확인 ㆍ 29
1. 들어가기ㆍ29
2. ‘현대문명위기론’ 재평가ㆍ30
3. 현대적 논제의 재확인ㆍ36
4. 문화실천 논리: 독특함과 우월함ㆍ42
5. 정신적 생활과 자유주의의 이유 및 한계ㆍ49

2장 중국굴기와 문화자주 ㆍ 59
1. 들어가기ㆍ59
2. 중국의 부흥과 문화적 의미ㆍ61
3. 성찰적 자기이해ㆍ68
4. 중국 패러다임 확립의 난제ㆍ79

2부 공공문화와 사상의 위기 ㆍ87

3장 ‘학술’과 ‘사상’의 분열 ㆍ 89
1. 1990년대 중국 지식계의 양대 특징ㆍ89
2. 중국 지식 장의 역사적 형성ㆍ92
3. 1990년대 이후 학문의 전문화 발전ㆍ95
4. 현대 사상 논쟁의 지식적 한계ㆍ102

4장 공공문화와 사상계의 새로운 추세 ㆍ 109
1. 1980-1990년대 사상논쟁ㆍ109
2. 공공문화 배경의 변화ㆍ114
3. 보편성과 특수성은 분기의 핵심이 아니다ㆍ118
4. 2000-2010년대 담론 상황의 변화ㆍ123
5. 엘리트 지식인의 대립정서와 공통된 인식ㆍ125
6. 학술 패권과 세대간의 차이ㆍ128

3부 중국 자유주의의 잠재성과 딜레마 ㆍ133

5장 중국에서의 자유주의: 잠재성과 딜레마 ㆍ 135
1. 들어가기ㆍ135
2. 비판적 맥락주의 시각에서의 중국 전통ㆍ137
3. 중국 근대성 구상으로서의 자유주의의 잠재력과 우월성ㆍ145
4. 전통적 영적 잔재들과 중국 자유주의의 곤경ㆍ156
5. 결론: 자유주의 및 그 초월성ㆍ170

6장 자유주의 및 그 불만 ㆍ 181
1. 들어가기ㆍ181
2. 자유주의와 현대화 방안ㆍ184
3. 자유주의와 현대인의 생활 윤리ㆍ192

4부 서구중심주의 비판과 ‘중국적 보편’ 재구성의 조건 ㆍ197

7장 사상계의 서구중심주의 비판 ㆍ 199
1. 들어가기ㆍ199
2. 중국의 시각으로 본 서방중심주의ㆍ200
3. 중국 학술의 주체성과 중국의 길(中國道路)ㆍ206
4. 서방중심주의 개념에 대한 분석ㆍ214
5. 자민족 중심론의 초월: 트랜스 문화의 보편주의에 대한 추구ㆍ219

8장 대안적 근대성의 상상
: 문명 부흥의 꿈과 새로운 세계주의 ㆍ 228
1. 들어가기ㆍ228
2. 근대성의 이중 우려와 중국의 근대성ㆍ229
3. 중국의 대안적 근대성의 길ㆍ233
4. 전통적 천하관의 쇄락ㆍ238
5. 문명중심론의 초월: 새로운 세계주의의 시각ㆍ245
6. 다원적 근대성과 공건(共建)의 세계ㆍ250

9장 유가부흥과 현대정치의 비판 ㆍ 256
1. 들어가기ㆍ256
2. 쇠퇴의 원인과 부흥의 이유ㆍ257
3. 정치 유학과 그 도전 과제ㆍ266
4. 결론: 유가 부흥의 미래ㆍ276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