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치지 않고 계속 살아가기 위한
다섯 가지 방향의 핵심 기술
이 책은 총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파트는 회복의 흐름에 맞춰 단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첫 번째 장 ‘일단 쉬어도 괜찮다’는 지금 당장 멈춰도 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피로가 쌓였음에도 멈추는 법을 잊은 사람들에게, ‘쉼’은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필요한 조건임을 알려준다. 두 번째 장 ‘조금 더 나에게 신경을 쓰자’에서는 타인의 시선에 맞춰 살아온 삶을 돌아보게 하고, ‘나는 무엇을 좋아하는가’,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자기 감각을 되찾게 돕는다. 세 번째 장 ‘몸의 소리가 가르쳐주는 것’은 내면보다 먼저 반응하는 신체의 이상 신호를 외면하지 말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네 번째 장 ‘너무 애쓰지 않는 인간관계에 대한 힌트’는 모든 관계에서 좋은 사람으로 남으려다 스스로를 소모한 이들에게 필요한 거리 두기의 기준을 제시한다. 마지막 장 ‘그냥 행복해지면 안 되나요?’는 거창한 목표 없이도, 지금 이대로의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순간에도 행복은 가능하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이 다섯 가지 주제는 심리 점검, 자기 돌봄, 관계 재정비, 내면 회복이라는 키워드로 연결되며, 독자가 본인 삶의 중심을 다시 자신이 통제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저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닌
직접 써보면서 마음에 새기는 필사 페이지 수록
《야, 비켜. 나 먼저 행복할게》는 단순히 읽고 지나가는 책이 아니다. 각 장의 끝에는 주요 문장을 직접 적어볼 수 있도록 필사란이 구성되어 있어, 인상 깊었던 구절을 손으로 따라 쓰며 자신만의 속도에 맞춰 되새길 수 있다. 가볍게 읽혔던 문장도 직접 적는 순간, 의미가 달라지고 훨씬 깊게 남는다. 이 구성은 단순한 요약이 아닌, 현재의 심리 상태를 스스로 점검하고 회복력을 키우는 실천 방식이다. 독자는 그 과정 속에서 ‘지금 이대로 괜찮다’는 메시지를 온전히 받아들이게 된다. 읽고 쓰는 시간은 곧 자신에게 집중하는 기회이며, 그 안에서 무너진 균형을 다시 맞추는 힘을 얻게 된다. 익숙했던 부정적인 사고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필요한 건 거대한 변화가 아니라, 지금 필요한 말을 천천히 되뇌는 반복이다. 이 책은 그 첫 문장을 손끝에서 다시 시작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