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떠난 아빠를 그리워하는 나에게
신비한 아이, 설지가 나타나다
진작에 진심을 말하지 못해서 후회한 경험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지금도 늦지 않았어 사랑해』에서 겨울이도 그렇다. 세상을 떠난 아빠를 떠올리니 못되게 굴었던 자신이 밉기만 하다. 그때 신비로운 아이가 나타나 말을 건다.
“나는 가온족 설지라고 해. 안다구슬 속에서 널 봤어. 그래서 찾아온 거야. 너에게 내 시간을 나눠 주고 싶어. …… 네가 후회를 많이 하는 거 같아서 말이야. 다시 한번 기회를 준다는 뜻이야. 나는 날마다 내 시간을 덜어 내야 하거든. 자세한 건 다 말해 줄 수 없지만, 내가 가진 시간 중 최대 20일을 너에게 줄 수 있어. 그렇게 하면 너는 20일 전으로 돌아가서 그 시간을 다시 살 수 있지.” (8~9쪽)
자신을 ‘가온족의 아이’라고 소개한 설지는 시간을 나눠 주겠다고 한다. 설지가 주는 20일을 받으면 아빠가 살아 있던 그 시간으로 돌아갈 수 있다. 아빠가 살아 있을 때로 돌아갈 수만 있다면, 겨울이는 꼭 전하고 싶었던 진심이 있다.
‘현실’이 너무 싫어 삐뚤어진 아이
이번에는 말할 수 있을까? “아빠, 사랑해”라고
『지금도 늦지 않았어 사랑해』에는 주인공 겨울이, 할머니, 동생 여름이, 겨울이의 친구 사랑이가 등장한다. 폐지를 줍는 가난한 할머니와 사는 겨울이는 더운 여름날 에어컨도 없이 견뎌야 하는 자기 처지가 너무 싫다. 돈으로 다 되는 건 아니라고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는 할머니도 답답하다. 매번 꼬치꼬치 묻고 치대는 동생 여름이도 귀찮다. 자기 현실이 너무 싫어서 비뚤어진 겨울이는 과연 설지가 준 20일을 받고 과거로 돌아가 가족들과 화해할 수 있을까? 무엇보다 아픈 아빠에게 전하지 못했던 진심을 이번에는 말할 수 있을까?
할머니가 말했던 ‘돈으로 다 되는 건 아닌 일’. 그것은 바로 아빠의 생명이다. 엄마를 떠나게 했고, 우리 가족을 모두 가난하게 만든 게 아빠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건 그거고 겨울이는 병상에 있느라 늘 가까이에 있지 못한 아빠가 한없이 그립다. 어쩌면 그래서 더 미웠는지도 모른다. 작품 속에서 이런 겨울이의 마음이 아래와 같이 드러나 있다.
우리 아빠는 제대로 움직이지도 못한다. 처음 병원에 갈 때는 걸어 다닐 수 있었다. 그런데 시간이 가면 갈수록 좋아지기는커녕 더 나빠졌다. 이제는 침대에서 일어나기도 힘들어한다.
아빠는 거기 누운 채 나와 동생을 물끄러미 바라보기만 한다. 여름이는 그런 아빠가 불쌍하다고 하지만 나는 아니다. 누워 있는 아빠를 보면 화가 난다.
왜 화가 나는지 나도 잘 모르겠다. 쉽게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가슴속에서 파도 소리가 들리며 화가 막 치솟는다. 그 바닷물이 내 눈에서 쏟아져 나올 것 같아 더 화가 난다. (69쪽)
불우한 현실도 화가 나는데 친구 사랑이와 다양한 갈등과 사건을 겪으며 겨울이의 마음은 점점 더 낭떠러지로 밀리는 것 같다.
저녁을 먹고 방에 들어왔을 때 부재중 전화가 스무 통이나 와 있었다. 물론 사랑이였다. 문자도 수없이 많이 와 있었다. 그때 또 진동이 울리기 시작했다.
나는 휴대폰을 꺼 버렸다. 잠이 오지 않았다.
‘내일이 안 왔으면 좋겠어.’ (110쪽)
복잡한 일들이 많았던 겨울이는 아빠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는다. 온 가족이 아빠를 둘러싸고 동생 여름이는 울면서 아빠를 껴안으며 말한다. “아빠, 사랑해.”라고. 나도 말하고 싶은데, 입속에서 빙빙 도는 한마디. 할머니가 부디 말해 주기를 눈치 줘도 끝내 나오지 않는 그 말. 과연 겨울이는 다시 얻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죽어가는 아빠에게 말할 수 있을까? “아빠, 사랑해.”라고.
“사랑해”라는 말을 하면 할수록 기적이 일어나요
여러분이 이 기적을 경험해 봤으면 좋겠어요
100만 베스트셀러 작가 박현숙이 전하는 메시지
고백하고 나서 알게 되었다. 내가 아빠를 진짜 사랑하고 걱정하고 있었다는 걸. 말하지 않았을 때는 몰랐다. 내가 아빠를 사랑한다는 걸.
말하지 않으면 사랑하는 마음보다 미워하는 마음이 더 힘이 세다는 걸 이제야 알았다. (137쪽)
『지금도 늦지 않았어 사랑해』의 독자는 집과 학교, 가족과 친구 사이를 바삐 오가며 가족과 친구 관계 속에서 허우적대는 겨울에게 ‘나’를 대입한다. 그리고 시간을 거스른 겨울이가 또다시 진심을 말하지 못해서 후회하면 어쩌나, 내내 가슴 졸이며 이야기를 따라간다.
이것이 박현숙의 힘이다. 간결한 문체, 쉽고 꾸밈없는 말맛 속에 얽히고설킨 이야기에서 긴장감이 느껴진다. 여기에 몽글몽글한 감동과 작가만의 메시지까지 깃들었다.
“혹시 여러분도 “사랑해.”라는 말을 아끼고 있나요? 그렇다면 오늘부터는 아끼지 말고 하도록 하세요. 이 말에는 놀라운 힘이 있답니다. 표현하면 할수록 사랑하는 마음이 더 생기는 기적이 일어나요. 여러분도 이 기적을 경험해 봤으면 좋겠어요.” (143쪽_작가의 말)
메시지는 바로, “사랑해”라는 말은 아무리 빨리해도 너무 늦을 수 있으니 전하고 싶을 때 말로 내놓아야 한다는 당부다. 나를 둘러싼 수많은 관계와 화해하는 방법을 알려 주면서 지금 “사랑해”라고 말하기를 권하는 따뜻하고 의미 있는 동화, 『지금도 늦지 않았어 사랑해』가 늘 꿈꿨던 기적을 선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