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출판 대전환: 창작, 유통, 저작권이 흔들린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정보 사회를 열었고, 2000년대엔 문화 콘텐츠 산업이 급성장했다. 특히 생성형 AI의 등장은 콘텐츠 제작과 유통 방식에 혁신을 가져왔다. 2016년 알파고-이세돌 대국 이후 AI는 대중적 관심을 받았고, 2022년 챗GPT의 출현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량을 폭증시켰다. 콘텐츠 제작 현장에서는 AI가 초안 작성, 번역, 브레인스토밍에 활용되며 생산성과 효율을 높이고 있다. 출판 산업도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를 통한 창작과 자동화로 패러다임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전자책, 번역서, 마케팅, 독자 맞춤형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영역에 AI가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AI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 독창성 상실, 윤리 이슈 등이 동반되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뉴욕 타임스는 오픈AI를 상대로 저작권 소송을 제기했고, 국내외 출판계에서도 AI 활용 가이드라인과 법적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AI 시대 출판은 이제 단순한 책 생산이 아닌 디지털 생태계 내의 ‘네트워크 비즈니스’로 확장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고민에 기반하여 AI 생태계의 도래와 이로 인한 출판 생태계의 변화를 출판 외부 환경 변화, 출판 내부 환경 및 프로세스 변화, 출판계 종사자, 독자, 저작권 등 다각도에서 살펴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