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세계 질서의 중심으로
AI는 국가 경쟁력과 글로벌 영향력을 결정짓는 핵심 자산이 되었다. 생성형 AI와 자율 에이전트의 등장은 산업 구조와 지식 체계를 넘어 국제 질서의 재편을 이끌고 있으며, 그 변화는 한 세대 안에 압축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기술 패권 경쟁과 불평등 심화
데이터와 인재, 자본이 특정 국가와 기업에 집중되면서 기술 격차와 경제적 불평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특히 AI 자동화는 개발도상국의 산업화 경로를 차단할 수 있으며, 치명적 자율무기체계나 딥페이크 같은 기술은 민주주의와 인권에 실질적 위협이 되고 있다.
글로벌 AI 거버넌스의 시급성
이러한 문제는 개별 국가의 대응을 넘어서는 수준이며 국제 사회 전체의 공조가 절실하다. 정부 규제, 기업의 자율 규제, 국제 가이드라인, 시민사회 감시가 결합된 포괄적이고 실효성 있는 글로벌 거버넌스 체계가 필요하다. 이 책은 미국, 중국, EU, 한국, 아프리카 등 주요 국가의 AI 전략을 분석하고 UN과 OECD, AI 정상회의 같은 다자 기구의 협력 모델을 조망한다. 오픈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과 시민사회의 대응 또한 중요한 분석 대상이다. 이들 간의 상호작용은 AI 거버넌스 형성의 실질적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의 전략과 세계적 비전
한국은 ‘AI 기본법’을 통해 신뢰와 혁신의 균형을 시도하고 있으며 글로벌 거버넌스 논의에 기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AI를 패권 경쟁의 도구가 아니라 협력의 매개체로 전환하려는 비전 속에서 한국이 취해야 할 전략적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