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학총서는 기술 혁명과 의료 혁신으로 열린 100세 시대의 독자들에게 꼭 필요한 노년학 지식을 전달합니다.
노년학, 100세 시대 필수 교양
선택받은 소수의 전유물이던 장수가 삶의 기본 조건이 되었다. 인생의 5분의 1쯤을 차지했던 노년기가 인생의 절반을 차지할 날이 머지않았다. 노년기 삶을 들여다보고 이해하고 연구해야 하는 것은 그것이 현재의 노인뿐만 아니라 언젠가는 노인이 될 우리 모두의 일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이 생물학적으로, 심리적으로, 사회적으로 노화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는 100세 시대에는 어떤 일을 하든 노년과 노화라는 주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모두가 노년학의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노년학총서〉 『100세 시대 노년학』은 급속히 다가오는 초고령사회를 살아갈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교양서다. 기대수명 100세 시대에 누구나 노년을 맞이하게 되는 현실 속에서, 이 책은 노화를 부정하거나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준비해야 할 주제로 끌어올린다. 나이 듦을 삶의 축소가 아닌 확장의 계기로 삼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책은 충실한 안내서가 되어줄 것이다.
종합 학문으로서 노년학
노년학(gerontology)은 단순히 고령자에 대한 연구가 아닌, 인간 삶의 마지막 단계를 보다 의미 있게 살아가기 위한 통합적 학문이다. 인간 삶을 한 가지 학문 분야의 틀로 설명할 수 없듯, 노년학도 여러 학문의 다양한 관점과 틀에 걸쳐 있다. 이 책 또한 생물학, 심리학, 사회학, 복지학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학제적 접근을 통해 ‘노년’이라는 삶의 시기를 다각도로 조명한다.
노화의 이해를 넘어 노년의 삶을 디자인하다
『100세 시대 노년학』은 단순히 ‘노화 이해’에 목적을 두지 않는다. 수명이 길어지면서 삶에서 노년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과거보다 훨씬 커졌고, 이는 곧 개인적 삶의 질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과도 직결된다. 고령인구의 증가, 노년기의 양적·질적 확대, 웰에이징에 대한 관심 등은 노년을 준비할 지식으로서 노년학의 중요성을 재확인시킨다. 과거 장수와 회춘을 향한 막연한 동경에서 벗어나, 오늘날에는 건강하고 존엄한 노년을 적극적으로 만들어 나가기 위한 실질적 해법이 요구된다. 이 책은 바로 그런 질문들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모두의 미래를 위한 실천적 지혜를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