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말이 언제 어디서 튀어나와 인생을 지배할지 모를 일이다”
전업 만화가로 전향하기 전 다드래기 작가는 7년간 지역 콜센터의 상담사로 일했다. 업종과 지역을 막론하고 표준어 사용이 고객 응대의 기본 지침인 콜센터는 “세상에 얼마나 다양한 사람이 있는지, 세상에 얼마나 다양한 말이 필요한지” 실감케 하는 곳이다. 아무리 노력해도 사투리를 숨기지 못하는 사람도 있지 않은가. 또 진한 사투리를 쓰는 중장년층 고객이 주를 이루는 지역 콜센터에서는 표준어와 전문 용어로는 가닿을 수 없는 대화의 사각지대가 생기게 마련이다. “어려운 말 쓰지 말고 제대로 말해주쑈이.” 고객의 답답함과 상담사의 곤란함이 극에 이르는 순간, 교양 있는 서울 사람이 두루 쓴다는 표준어를 잠시 내려두고 사투리의 봉인을 해제할 때다.
“지독한 업무평가를 거치며 억지로 입에 붙인 표준어가 모든 고객의 귀에 잘 들릴 것이라는 생각은 상담사도 하지 않는다. 그 말은 규칙과 원칙일 뿐, 실력은 언제나 응용문제에서 빛을 발한다. 일단 상대의 말이 짜증의 신호인지 사투리를 소환하는 마법의 주문인지 제대로 캐치했다면, 무르익은 실력을 발휘할 차례다. “고객님, 청구서 오른쪽 끄터리에 네모 칸 보이시죠이. 거기 쩨일 밑에 요금 만이천삼백 원 있습니다. 안 긍가요?””(34쪽)
“사람들이 가진 자기만의 모든 말을 좋아한다”
작가는 사람들이 무심코 뱉는 한마디에서 시작해 이 책의 모든 글을 썼다. 찰나의 표정과 새어나오는 웃음이 진심을 투명하게 드러내듯, 저도 모르게 터져 나오는 말은 그 사람의 숨겨진 면모를 보여준다. 거기에는 새로운 터전에 발 붙이려고 사투리를 열심히 고치던 자매가, 유독 된소리를 잘 내지 못해 살살한 목소리로 말하던 생전의 엄마가, 난생처음 성을 뺀 온전한 이름으로 불릴 때 가슴 설레던 어린아이가 있다. 사투리 말씨를 숨기지 못해 신음하던 콜센터 막내 직원 K는 굳은 의지로 업무에 적응해 근속했고, 경기도에서 교편을 잡은 작가의 언니는 어느새 깔끔한 윗동네 말투를 쓴다. 이제는 사라진 말들과 더는 그때 같지 않은 사람들. 『아무튼, 사투리』가 읽는 이를 자꾸만 애틋하게 만드는 것은 다시 경험하지 못할 유년의 기억을 건드려서일 터다.
내 말이 그렇게 촌스럽냐고 울먹이던 아이는 팔도 사투리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어른이 되었다. 서울로 떠나지 않고 지역에 남아 있는 우리가 가진 재미있는 것들을 더 많이 이야기하고 싶다던 작가는, 오늘도 사람들이 어울리며 재미있는 말이 새로 태어나기를 기대한다. 이보다 더 흥미진진한 화제가 어디 있겠느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