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5년 국내·외 첨단재생의료 유망 분야별 기술 및 시장 동향과 전망

2025년 국내·외 첨단재생의료 유망 분야별 기술 및 시장 동향과 전망

  • 데이코인텔리전스 편집부
  • |
  • 데이코인텔리전스
  • |
  • 2025-03-28 출간
  • |
  • 642페이지
  • |
  • 210 X 297mm
  • |
  • ISBN 9791190816717
판매가

480,000원

즉시할인가

43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2025년 3월 국내기업 네이처셀은 FDA로부터 퇴행성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조인트스템’에 대해 혁신적 치료제(Breakthrough Therapy Designation, BTD) 지정을 받았다. FDA의 혁신치료제 지정은 중대한 질환에 대해 기존 치료법보다 현저히 뛰어난 개선 가능성이 있는 신약 후보에 부여되는데, 이번 지정받은 조인트스템은 환자의 자가 지방에서 유래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활용한 세포치료제이다.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본인의 세포를 배양해 치료하는 세포치료제는 재생의료라는 의료기술의 한 갈래로, 오늘날 재생의료는 기존의 치료용 세포와 조직을 제작하는 기술에서 발전해 다양한 약물, 소재 및 의료기기 등을 이용해 손상된 인체 부위의 재생을 촉진하는 기술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더 나아가 혁신적 치료 기술을 융합하는 ‘첨단 재생의료’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면서 세포 치료, 유전자 치료, 조직공학 치료 및 융복합 치료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 재생의료는 알츠하이머, 척추 손상, 당뇨 등 미충족 의료수요(unmet medical needs)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미국 FDA는 재생의료치료제 개발을 앞당기기 위해 ‘첨단재생의료치료제신속심사제도(RMAT)’를 운영하고 있으며, EU는 첨단의료제품(ATMP)의 개발과 시판허가를 촉진하기 위해 2007년 특별법을 제정해 EU 회원국 간의 제품 안전성과 사후 추적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뿐만 아니라 2012년 iPS세포(유도 다능성 줄기세포)를 개발해 노벨 의학상을 수상한 바 있는 일본은 2024년 기준 3,581개의 세포 배양 가공시설이 운영되며, 2022년 한 해 세포치료를 받은 환자가 7만 3,819명에 이를 만큼 성숙한 시장환경을 갖추고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2025년 2월 개정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시행으로 관련 규정이 다소 완화될 것으로 기대되나, 2019년 4월 이후 세포치료제 품목허가가 전무한 만큼 국내 재생의료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당사는 첨단재생의료 유망 분야별 기술 및 시장 동향과 첨단재생의료 산업 동향 및 글로벌 주요 기업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 분석하여 본서를 출간하게 되었으며, 특히 국내외 첨단재생의료 시장과 주요국 정책 동향, 핵심 기술개발 동향 등을 통하여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경쟁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모쪼록, 본 보고서가 첨단재생의료 산업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의 업무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http://idaco.co.kr

목차

Ⅰ.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산업 동향과 주요 이슈

1.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 및 기술 동향
1-1. 국내·외 바이오산업 동향과 대응
1) 바이오산업 개념과 분류
(1) 바이오산업 정의와 필요성
(2) 바이오산업 분류
2) 국내·외 바이오산업 환경과 시장 동향
(1) 주요국 바이오산업 환경
(2) 주요국 제약·바이오의약품 시장 동향
(3) 국내 제약·바이오의약품 시장 동향
3) 주요국 바이오산업 동향과 대응 전략
(1) 미국
(2) 유럽
(3) 중국
(4) 일본
1-2. 글로벌 제약·바이오 분야 기술 동향
1) 제약·바이오 유망 기술 동향
(1) DNA&RNA 치료제(therapeutics)
(2)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3) 단백질 및 펩타이드 치료제(Protein&peptide therapeutics)
(4) 세포 치료제(Cell therapy)
(5) 유전자 치료제(Gene therapy)
(6) 유전자 변형 세포치료제(Gene-Modified Cell Therapy)
(7) 재조합 항체(Recombinant antibody)
(8) 유전체 편집(Genome editing)
2) 신약 모달리티 기술 동향
(1) 표적단백질분해(TPD)
(2) 항체약물접합체(ADC)
(3) mRNA 백신 플랫폼
3) 제약·바이오 분야 인공지능(AI) 융복합 동향
(1) 인공지능(AI) 기술 기반 신약 설계
(2) 인공지능(AI) 기술 기반 신약 평가
(3) 글로벌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시장 동향
4) 제약·바이오 분야 기술개발 및 특허 현황
(1) 제약·바이오 분야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제약·바이오 분야 정부 R&D 투자 동향
(3) 제약·바이오 분야 특허 동향

2.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 분야 주요 이슈
2-1. 2025년 제약·바이오 산업 트렌드
1) 빅파마의 바이오텍(Biotech) 인수합병
2) 비만치료제 ‘GLP-1’ 부상
3) AI 신약 개발 및 트럼프 2.0 시대
4) K-바이오 해외 시장 확장
2-2. 국내·외 제약·바이오 시장 최근 동향
1) 미국 FDA, 신약 승인 현황
(1) 연도별 신약 허가 현황
(2) 적응증별, 모달리티별 신약 허가 현황
2) 미국 FDA, 바이오시밀러 허가 현황
(1) 2024년 6월까지 총 56개 허가
(2) 국가별, 종류별 허가 현황
3) 중국, 2023년 혁신 신약 허가 현황
4) 2024년 글로벌 상위 의약품 및 기업 전망
(1) 2024년 글로벌 매출 상위 10대 예상 의약품
(2) 2024년 매출 증가 확대 예상 의약품
(3) 2024년 전문의약품 매출 상위 예상 기업 전망
5) 2028년 글로벌 매출 상위 10대 제약사 및 의약품 전망
(1) 2028년 글로벌 매출 상위 10대 제약사 전망
(2) 2028년 글로벌 매출 상위 10대 의약품 전망
6) 2023년 글로벌 빅파마 라이센싱 거래 현황
(1) 연도별 거래 현황
(2) 질환별, 모달리티별 거래 현황
(3) 개발 단계별 거래 현황
7) 원료의약품 중국 의존도 낮추기 위한 대응 동향
(1) 국내 원료의약품 자급도
(2) 원료의약품 강자를 위한 인도의 대응 동향
8) 동물세포 이용 바이오의약품 생산 동향
(1) 동물세포 이용 바이오의약품 생산 현황
(2) 동물세포 이용 바이오의약품 CDMO 기업 동향

Ⅱ. 첨단재생의료 산업 및 기술 동향

1. 첨단재생의료 개요 및 국내·외 산업 동향
1-1. 재생의료 정의와 응용 분야
1) 재생의료 정의와 부상 배경
2) 재생의료의 응용 분야
(1) 재생의료의 적용 분야
(2) 재생의료의 기술 전망
1-2. 국내·외 첨단재생의료 산업 동향
1) 글로벌 첨단재생의료 산업 동향
(1) 글로벌 첨단재생의료 기술 동향
(2) 글로벌 첨단재생의료 시장 동향
(3) 글로벌 첨단재생의료 정책 동향
2) 국내 첨단재생의료 산업 동향
(1) 국내 첨단재생의료 기술 동향
(2) 국내 첨단재생의료 정책 동향
3) 첨단재생의료 주요 분야 특허 동향
(1) 세포 치료제 분야 특허 동향
(2) 유전자 치료제 분야 특허 동향
(3) 조직공학 분야 특허 동향
(4) 첨단바이오융복합기술 분야 특허 동향
(5) 기타 제제 분야 특허 동향
1-3.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과 개발 동향
1)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정의 및 부상 배경
2)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현황
(1) 뇌 신호 획득 기술
(2) 신호처리 기술
(3) BCI 기술 활용 분야
(4) BCI 기술 과제
3) 국내·외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연구개발 동향
(1) 해외 BCI 기술 연구개발 동향
(2) 국내 BCI 기술 연구개발 동향
4)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전망
(1) BCI 기반 서비스 활성화
(2) 뇌-인공지능(Brain-AI) 인터페이스 부상
(3) 기술의 고도화에 따른 부작용 발생
1-4. 글로벌 첨단재생의료 분야 주요 기업 동향
1) 국내·외 세포·유전자 치료제 분야 주요 기업 동향
(1) Gilead Sciences
(2) BMS(Bristol Myers Squibb)
(3) Janssen Biotech
(4) Bluebird bio
(5) CSL Behring
(6) Ferring Pharmaceuticals
(7) Gamida Cell
(8) Krystal Biotech
(9) BioMarin Pharmaceuticals
(10) Vertex Pharmaceuticals
(11) Iovance Biotherapeutics
(12) Ochard Therapeutics
(13) Pfizer
(14) Novartis
(15) 셀론텍
(16) 테고 사이언스
(17) 바이오솔루션
(18) 지씨셀
(19) 안트로젠
(20) 파미셀
(21) 메디포스트
(22) 코아스템켐온
2) 국내·외 조직공학 분야 주요 기업 동향
(1) Merck KGaA
(2) Stratatech
(3) Enzyvant Therapeutics
(4) CellTrans
(5) Regenity Biosciences
(6) Amphix Bio
(7) 오가노이드사이언스
(8) 넥스트앤바이오
(9) 티앤알바이오팹
(10) 강스템바이오텍
(11) 세라트젠
(12) 바이오솔빅스
(13) 스페바이오

2. 첨단재생의료 주요 분야별 기술 동향
2-1. 세포·유전자 치료제 기술 동향
1) 세포·유전자 치료제 기술 개요
(1) 세포·유전자 치료제 정의와 필요성
(2) 세포·유전자 치료제 범위와 분류
2) 세포·유전자 치료제 분야 핵심 기술 현황
(1) CAR-T 세포 치료제 기술 개념
(2) 유전자 가위 기술(CRISPR) 개요
(3) 유전자 편집기술 개요
3) 세포·유전자 치료제 기술개발 동향
(1) 국내·외 세포·유전자 치료제 기술 트렌드
(2) 국내·외 줄기세포 치료 기술개발 동향
4) 국내·외 세포 치료 및 유전자 치료 규제 동향
(1) 국내·외 항암면역세포치료제 규제 동향
(2) 국내·외 인간 유전자 편집 규제 동향
2-2. 오가노이드 기술 동향
1) 오가노이드 개념과 산업 현황
(1) 오가노이드 개념과 필요성
(2) 국내·외 오가노이드 산업 개요
(3) 오가노이드 바이오뱅크 현황과 주요 이슈
2) 오가노이드 용도별 분류
(1) 질병 모델링
(2) 약물 연구
(3) 정밀의학
(4) 재생의학
3) 오가노이드 기술 및 특허 동향
(1) 인공지능(AI)과 오가노이드
(2) 종양 오가노이드 현황과 과제
(3) 폐 오가노이드와 질병 진단
(4) 국내·외 오가노이드 특허 동향
(5) 국내 오가노이드 연구과제 동향
4) 국내·외 오가노이드 시장 및 정책 동향
(1) 미국 오가노이드 정책 현황
(2) EU 오가노이드 정책 현황
(3) 일본 오가노이드 정책 현황
(4) 중국 오가노이드 정책 현황
(5) 국내 오가노이드 규제 현황
2-3. 바이오 프린팅 기술 동향
1) 바이오 프린팅 개요 및 기술 현황
(1) 3D 프린팅 기술 개념과 분류
(2) 3D 바이오 프린팅과 바이오 잉크
(3) 3D 바이오 프린팅 공정 방식별 분류
(4)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 현황 및 사례
2) 인공지능(AI)과 바이오 프린팅
(1) AI 융합 3D 프린팅 기술 개발 동향
(2) 맞춤형 3D 프린팅 기술의 생체의료 분야 적용
(3) 인공지능 기반 3D 프린팅 의료기기 제조
3) 나노바이오 소재와 바이오 프린팅
(1) 나노바이오 소재 개요 및 분류
(2) 나노바이오 소재와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 융합
2-4. 생체재료 기술 동향
1) 생체재료 개요
(1) 생체재료의 정의
(2) 생체재료의 분류
2) 의료용 고분자 생체재료 개요
(1) 의료용 고분자의 정의
(2) 의료용 바이오 플라스틱의 분류
3) 골조직 재생을 위한 생체재료 기술 동향
(1) 다공성 멤브레인 스캐폴드(scaffold)
(2) 주입형 써모젤 스캐폴드(scaffold)
4) 탈세포화 및 재세포화 기술 동향
(1) 탈세포화(Decellularization) 기술 동향
(2) 재세포화(Recellularization) 기술 동향

Ⅲ. 국내·외 첨단재생의료 산업 동향과 주요 기업 현황

1. 주요국 첨단재생의료 시장 및 정책 동향
1-1. 글로벌 첨단재생의료 시장 동향 및 전망
1) 글로벌 첨단재생의료 시장 규모 전망
2) 글로벌 첨단재생의료 분야별 시장 동향 및 전망
(1) 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시장 동향
(2) 글로벌 CAR-T 세포치료제 시장 동향
(3) 글로벌 오가노이드 시장 동향
(4) 글로벌 3D 세포배양 시장 동향
1-2. 미국 첨단재생의료 시장 및 정책 동향
1) 미국 첨단재생의료 시장 동향 및 전망
2) 미국 혁신 의약품 개발을 위한 신속허가제도 현황
(1) Fast Track Designation
(2) Breakthrough Therapy Designation
(3) Priority Review Designation
(4) Accelerated Approval
(5) 첨단재생의약치료제(RMAT) 지정
3) 미국 FDA 첨단재생의료 분야 승인 동향
(1) 미국 FDA 유전자 치료제 제품 허가 개요 특징
(2) 미국 FDA 첨단재생의료 분야 승인 사례
1-3. 유럽 첨단재생의료 시장 및 정책 동향
1) 유럽 첨단재생의료 시장 동향 및 전망
(1) 유럽 제약 및 바이오 산업 동향
(2) 유럽 세포·유전자 치료제 시장 규모 동향 및 전망
2) 유럽 혁신 의약품 개발을 위한 신속허가제도 현황
(1) PRIME
(2) Accelerated Assessment
(3) MAEC
(4) Conditional Marketing Authorisation
1-4. 일본 첨단재생의료 시장 및 정책 동향
1) 일본 첨단재생의료 시장 동향 및 전망
(1) 일본 첨단재생의료 산업 동향 및 전략
(2) 일본 첨단재생의료 시장 규모 전망
2) 일본 첨단재생의료 분야 정책 현황
(1) 일본 바이오 경제전략 실행계획
(2) 일본 재생의료 관련 제도 현황
1-5. 중국 첨단재생의료 시장 및 정책 동향
1) 중국 제약산업 현황
(1) 중국 3대 핵심 산업육성계획
(2) 중국 제약산업 개요
(3) 중국 의약품 소비 현황
(4) 중국 재생의료 산업 동향
2) 중국 제약산업 연구개발(R&D) 현황
(1) 중국 의약품 연구개발 트렌드
(2) 중국 의약품 연구개발 역량
(3) 중국 신약 파이프라인과 오픈 이노베이션 현황
3) 중국 의약품 인허가 신속 승인 제도

2. 국내 첨단재생의료 시장 및 정책 동향
2-1. 국내 첨단재생의료 시장 동향 및 전망
1) 국내 바이오산업 시장 동향 및 전망
(1)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 및 국내시장 현황
(2)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 및 국내시장 전망
(3) 국내·외 바이오산업 투자 동향
2) 첨단재생의료
(1) 국내 첨단재생의료 산업 현황
(2) 국내 첨단재생의료 산업 경쟁력 분석 및 개선 방안
(3) 국내 첨단재생의료 임상 동향
2-2. 국내 첨단재생의료 정책 동향
1) 2025년 10대 생명과학(바이오) 미래유망기술
2) 2025년도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1) 사업개요
(2) 사업내용
(3) 지원내용
3) 2024년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가이드라인 개정
4) 의약품 신속심사 제도
(1) 신속심사 개요
(2) 신속심사 지정 혜택
(3) 신속심사 자격

Ⅳ. 첨단재생의료 관련 기술개발 연구테마

1. 바이오기반 재생의료, 치료 기술 개발
1-1. 바이오(소재) 기반 재생의료, 치료 기술 분야
1) (총괄) 3D 세포 기반 재생치료제 보관 및 활용을 위한 동결보존/해동 소재 및
부품, 기기 개발
2) (1세부) 3D 세포 기반 재생치료제의 활성유지를 위한 냉동/해동 배지 및 보존 기술 개발
3) (2세부) 3D 세포 기반 재생치료제의 저온활성 동결보존 및 해동제어 생체적합 신소재 개발
4) (3세부) 3D 세포 기반 재생치료제의 냉/해동 및 유통을 위한 핵심 부품 및 시스템 개발
5) (총괄) 재생치료용 고품질 오가노이드 대량 생산을 위한 핵심 소재 및 부품,
자동화 공정 기기 개발
6) (1세부) 고품질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대량 생산을 위한 핵심 소재 및 배양 용기
개발 기술 개발
7) (2세부) 고품질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생산 실시간 모니터링 및 품질평가용 핵심
부품 개발
8) (3세부) 고품질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대량생산 자동화 공정 기기 개발
9) (총괄) 광기반 능동형 약물 방출 창상피복재 소재 및 응용 기기 개발
10) (1세부) 창상수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항염 및 재생 기능성 펩타이드 개발
11) (2세부) 광기반 능동형 약물 방출 나노 구조체 및 창상피복 소재 개발
12) (3세부) 능동적 약물 방출 제어 및 피부 재생용 웨어러블 광조사 기기 개발
1-2. 바이오신약, 세포, 유전체 기술 분야
1) 고형암 표적 치료를 위한 차세대 CAR 원천기술 개발
2) 생체내 CAR 발현을 위한 유전자 전달기술 개발
3) 종양 미세환경 감응-제어용 CAR 원천기술 개발
4) 장기 표적형 차세대 엑소좀 전달체 기술 개발
5) 약물 탑재 효율을 극대화한 생체 유래 자가조립형 나노약물전달체 개발
6) 세포 및 조직 침투성이 향상된 차세대 PDC 원천기술 개발
7) 임상 적용 가능한 바이러스 기반 조직 특이적 고효율 유전자 전달체 개발
8) 생체 무해성 고분자 기반 유전자 전달 고도화 원천기술 개발
9) 생체 장벽 투과성 유전자 전달 원천기술 개발
10) 인공지능 기반 신규 모달리티를 활용한 희귀·난치질환 치료제 개발
11) 긴사슬지방산 대사항상성 연관한 지질축적질환의 극복 기술 개발
12) 다중 장기 미세생리시스템 비임상 평가 기반 임상 빅데이터 연계 인공지능 예측
모델 개발
13) 멀티 오믹스 데이터 활용 다중 질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질환모델링 원천기술 개발
14) 후성유전체 편집 기반 차세대 Epi-editor 기술 개발
15) 초정밀 후성유전체 지도구축 기반 질환제어 기술개발
16) 차세대 RNA 편집·표적·제어 원천기술개발
17) 한국인 디지털 분자지도 프로젝트
1-3. 융복합 바이오의료 기술 분야
1) (총괄) 글로벌 진출을 위한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맞춤형 제조·실증 시스템 개발
2) (1세부)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원재료 최적화 및 조합설계 기반 비임상용 및 임상용
융복합바이오의료제품 제조 기술 및 검증
3) (2세부) 인공지능 기반 세포-생체재료 복합지지체의 최적 설계 및 제조·생산기술 개발
4) (3세부) 인체이식형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최적화 공정설계 및 검증기술 개발
5) 세포-조직-생체재료 복합체 기반 글로벌 진출용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제조기술 개발
6) 인체 이식형 비분해성 약물 전달용 커넥티드 융복합 의료제품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제조기술 개발
7) 신속기능 가능한 치조골 재생용 나노-바이오 융복합 골재생 의료 신소재 개발 및
이의 제품화

2. 디지털 기반 재생의료, 치료 기술 개발
2-1. 디지털헬스케어 기술 분야
1) 퇴행성 신경질환 재활을 위한 온디바이스 AI 햅틱 훈련기기 개발
2) 상지 기능장애 통합형 재활훈련 기기 및 상호작용 재활 플랫폼 개발
3) 신경근 질환 및 인공호흡기 의존 환자의 자율 호흡 복원을 위한 횡격신경 자극기 개발
4) 청각 이상 증상 개선을 위한 청각보조 및 치료기기 개발
5)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경두개자극 및
디지털치료기기 융합 시스템 개발
6) 다중감각 자극 기반 뇌파 연동 인지기능 개선 기기 개발
7) 황반변성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망막 병변 치료기기 개발
8) 림프부종 완화 및 관리를 위한 다중 자극 기반 레이저-초음파 치료기기 개발
9) 인공지능 피부 진단 및 최적 치료 사양 제공 기능 탑재 고주파-초음파 융복합 피부
치료기기 개발
10) AI 기반 멀티파라미터 생체 모니터링 장치 및 실시간 임상 악화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11) 디지털 헬스케어용 소형 저전력 온디바이스 AI 핵심기술 개발
2-2. 뇌·첨단의공학 기술 분야
1) 뇌발달 질환 증상 유발과 개인별 다변화 기작 이해의 실험적 증명을 통한 치료법 개발
2) 다중 신경 화학물질 및 신경활성 신호 통합 모니터링 바이오센서 시스템 개발을
통한 뇌 질환 진단 및 예측 기술 개발
3) 저강도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뇌심부 자극 치료 기술 개발
4) 중추 신호 기반 통증 표현형의 분석 플랫폼 기술 개발
5) 뇌질환 영장류 모델의 고도화 및 이를 활용한 신약후보물질 영장류 전임상 평가 기술 개발
6) 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정량 평가를 위한 뇌신호 분석 기술 개발
7) 뇌질환 모사 in vitro 플랫폼 기반 뇌신경망 제어와 모니터링 기술 개발
8) 체내 삽입되어 장기간 성능 유지가 가능한 말초신경 인터페이스 기술 및 이를
활용한 전자약 시스템 개발
9) 뇌질환 원인 세포소기관 표적 마커 기반 임상확장 가능 유효 기술 개발
10) 뇌기능 조절 말초환경 유래 마이크로바이옴 인자에 의한 뇌질환 치료 기술 개발
11) 뇌질환 영장류 모델 개발
12) 학습/기억/복합인지기능 핵심 뇌신호 디코딩 기술 개발
13) 신경망 제어 뇌질환 치료 기술 개발
14) 체내 삽입 말초신경 부착형 뇌질환 전자약 기술 개발
15) 막성/비막성 세포소기관 뇌질환 표적발굴 및 제어 기술 개발
16) 뇌-말초환경 상호작용 조절 기반 뇌질환 치료 기술 개발
17) 뇌파/생체신호/라이프로그 기반 실생활 뇌 건강 평가/예측/치료 기술 개발
18) 뇌혈관장벽 조절 기술 개발
19) 신경-면역계 상호작용 제어 기술 개발
20) 인공근육 기반 차세대 근력 증강·보조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개발





Ⅰ.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산업 동향과 주요 이슈
〈표1-1〉 바이오산업 분류체계
〈표1-2〉 미국 정부 부처별 바이오산업 투자계획안
〈표1-3〉 중국 바이오경제 14·5 규획 중점방향
〈표1-4〉 일본 바이오전략 2020 개요
〈표1-5〉 제4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
〈표1-6〉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활성화 추진방안
〈표1-7〉 그린바이오 산업육성 전략 주요 내용
〈표1-8〉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방안 주요 내용
〈표1-9〉 국가별 제약산업 시장 규모 동향
〈표1-10〉 글로벌 합성의약품 수출입 동향
〈표1-11〉 국내 의약품 산업 규모 동향
〈표1-12〉 국내 원료의약품 산업 동향
〈표1-13〉 국내 원료의약품 국내·해외 제조건수 및 점유율
〈표1-14〉 국내 바이오의약품 수출 동향
〈표1-15〉 미국 의약품 산업 동향
〈표1-16〉 2023년 미국 5대 의약품 수·출입국
〈표1-17〉 EU 의약품 산업 동향
〈표1-18〉 스위스 연방의회 제약 및 생명공학 보고서 주요 내용
〈표1-19〉 중국 의약품 산업 동향
〈표1-20〉 일본 의약품 산업 동향
〈표1-21〉 ADC 승인 목록
〈표1-22〉 국내 ADC 연구 현황
〈표1-23〉 글로벌 AI 신약개발 시장 규모 전망
〈표1-24〉 글로벌 AI 신약개발 치료영역별 시장 규모 전망
〈표1-25〉 전체 R&D 과제 대비 중소기업 지원 건수
〈표1-26〉 전체 R&D 투자액 대비 중소기업 지원 건수
〈표1-27〉 제약 신기술 분야 특허출원 동향
〈표1-28〉 신기술 의약품 원료 개발 관련 특허청별 특허출원 동향
〈표1-29〉 신기술 의약품 제조 및 서비스 관련 특허청별 특허출원 동향
〈표1-30〉 국적별 신기술 의약품 원료 개발 관련 특허출원 동향
〈표1-31〉 국적별 신기술 의약품 제조 및 서비스 관련 특허출원 동향
〈표1-32〉 신기술 의약품 원료 개발 관련 상위 10개 출원인(국적) 특허지표
〈표1-33〉 신기술 의약품 제조 및 서비스 관련 상위 10개 출원인(국적) 특허지표
〈표1-34〉 2024년 제약·바이오 분야 주요 인수합병(M&A) 내역
〈표1-35〉 글로벌 빅파마 파이프라인 강화 및 신규 사업 진출 동향
〈표1-36〉 글로벌 빅파마 특허 절벽 대응 전략
〈표1-37〉 글로벌 빅파마 GLP-1 개발 및 투자 동향
〈표1-38〉 엔비디아 헬스케어 분야 AI 혁신 방향
〈표1-39〉 FDA, 바이오시밀러 허가 현황(56종) (’24.7.1 기준)
〈표1-40〉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용량 상위 10대 기업 현황 및 전망

Ⅱ. 첨단재생의료 산업 및 기술 동향
〈표2-1〉 재생의료 세부 분야
〈표2-2〉 2020년 이후 세계 세포·유전자치료제 허가 현황(2024년 4월 기준)
〈표2-3〉 2020년 이후 미국 세포·유전자치료제 허가 현황(2024년 4월 기준)
〈표2-4〉 미국 FDA 신속심사제도
〈표2-5〉 국내 세포·유전자치료제 허가 현황(2024년 6월 기준)
〈표2-6〉 국내 첨단바이오 주요 정책 현황
〈표2-7〉 세포 치료제 특허 주요 출원인 현황
〈표2-8〉 분화 유도용 조성물 특허 주요 출원인 현황
〈표2-9〉 세포 치료제 OS-Matrix
〈표2-10〉 유전자 치료제 특허 주요 출원인 현황
〈표2-11〉 조사기관별 유전자 치료제 시장 규모 전망
〈표2-12〉 유전자 치료제 OS-Matrix
〈표2-13〉 3D 프린팅 특허 주요 출원인 현황
〈표2-14〉 오가노이드 특허 주요 출원인 현황
〈표2-15〉 3D 프린팅 OS-Matrix
〈표2-16〉 의약품 질환모델 적용 및 치료 효능 평가 플랫폼 주요 출원인 현황
〈표2-17〉 (줄기)세포 분석 기술 특허 주요 출원인 현황
〈표2-18〉 줄기세포 질환모델 기술 특허 주요 출원인 현황
〈표2-19〉 세포소기관 활용 의약품 특허 주요 출원인 현황
〈표2-20〉 세포소기관 의약폼 OS-Matrix
〈표2-21〉 측정 방식에 따른 뇌 신호 종류와 특징
〈표2-22〉 뇌전도의 주파수 대역별 특징
〈표2-23〉 BCI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뇌전도 특징 종류
〈표2-24〉 미래 BCI 활용 산업 분야
〈표2-25〉 주요 국가별 뇌 연구 지원 정책 현황
〈표2-26〉 미국 FDA 허가 CAR-T 세포 치료제
〈표2-27〉 인간 오가노이드의 장점
〈표2-28〉 폐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호흡기 질환 연구 사례
〈표2-29〉 주요국 오가노이드 기술 분류별 특허출원 현황
〈표2-30〉 EU HCA 오가노이드 프로젝트 연구 목표
〈표2-31〉 일본 오가노이드 프로젝트 연구 주제
〈표2-32〉 과기정통부 바이오원천기술개발 정책 요약
〈표2-33〉 생체재료의 분류
〈표2-34〉 의료용 인공 생체재료별 장단점
〈표2-35〉 바이오 플라스틱 종류 및 특징
〈표2-36〉 생분해 플라스틱 및 천연 고분자 소재별 종류

Ⅲ. 국내·외 첨단재생의료 산업 동향과 주요 기업 현황
〈표3-1〉 재생의료 제품 분류별 시장 규모 동향
〈표3-2〉 재생의료 응용 분야별 시장 규모 동향
〈표3-3〉 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시장 규모 전망
〈표3-4〉 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벡터유형별 시장 규모 전망
〈표3-5〉 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적응증별 시장 규모 전망
〈표3-6〉 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지역별 시장 규모 전망
〈표3-7〉 3D 세포배양 기술 유형별 분류
〈표3-8〉 2024년 상반기 미국 FDA 승인 세포·유전자 치료제
〈표3-9〉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시장 점유율
〈표3-10〉 유럽 주요국 GDP 대비 공공·민간 의료비 지출 비중 동향
〈표3-11〉 유럽 및 미국 제약·바이오 교역 동향
〈표3-12〉 일본 차세대 치료 진단 실현을 위한 신약개발 기반기술 개발사업
〈표3-13〉 일본 신약개발 및 재생의료 기술개발 과제와 대응 방안
〈표3-14〉 일본 재생의료 등 기술 위험도별 해당 기술
〈표3-15〉 일본 재생의료 등 제공계획 접수 현황
〈표3-16〉 일본 재생의료 등 제공계획 주요 내용
〈표3-17〉 일본 (특정) 인정 재생의료 위원회 지역별 현황
〈표3-18〉 2023년 중국 제약사 의약품 파이프라인 보유 현황
〈표3-19〉 중국 의약품 신속 승인 제도 개요
〈표3-20〉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 및 국내시장 동향
〈표3-21〉 국내 바이오산업 분야별 매출 및 국내시장 동향
〈표3-22〉 국내 바이오산업 분야별 매출 동향
〈표3-23〉 국내 바이오산업 분야별 국내시장 동향
〈표3-24〉 국내 바이오산업 지역별 매출 및 국내시장 동향
〈표3-25〉 국내 바이오산업 지역별 매출 동향
〈표3-26〉 국내 바이오산업 지역별 국내시장 동향
〈표3-27〉 국내 바이오산업 응용분야별 매출 및 국내시장 동향
〈표3-28〉 국내 바이오산업 응용분야별 매출 동향
〈표3-29〉 국내 바이오산업 응용분야별 국내시장 동향
〈표3-30〉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 및 국내시장 전망
〈표3-31〉 국내 바이오산업 분야별 매출 및 국내시장 전망
〈표3-32〉 국내 바이오산업 분야별 매출 전망
〈표3-33〉 국내 바이오산업 분야별 국내시장 전망
〈표3-34〉 국내 바이오산업 지역별 매출 및 국내시장 전망
〈표3-35〉 국내 바이오산업 지역별 매출 전망
〈표3-36〉 국내 바이오산업 지역별 국내시장 전망
〈표3-37〉 국내 바이오산업 응용분야별 매출 및 국내시장 전망
〈표3-38〉 국내 바이오산업 응용분야별 매출 전망
〈표3-39〉 국내 바이오산업 응용분야별 국내시장 전망
〈표3-40〉 2023년 국내 바이오산업 분야별 투자 규모 현황
〈표3-41〉 2023년 국내 바이오산업 시도별 투자 규모 현황
〈표3-42〉 국내 연도별 첨단재생의료 임상 심의 건수 및 결과
〈표3-43〉 국내 연도별 첨단재생의료 임상 심의 결과 세부 분류
〈표3-44〉 국내 첨단재생의료 연구계획 적합·승인 현황
〈표3-45〉 2025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표3-46〉 2025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주요 내용






Ⅰ.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산업 동향과 주요 이슈
〈그림1-1〉 국가별 의약품 시장 점유율
〈그림1-2〉 글로벌 의약품 시장 규모 동향
〈그림1-3〉 바이오의약품 및 합성의약품 시장점유율 동향
〈그림1-4〉 글로벌 상위 100대 의약품 비중 동향
〈그림1-5〉 국내 제약·바이오의약품 자급도 동향
〈그림1-6〉 FDA에 등록된 전체 의약품 제조시설 국가 및 지역별 현황
〈그림1-7〉 FDA에 등록된 제네릭 의약품 제조시설 국가 및 지역별 현황
〈그림1-8〉 영국 제약산업 매출 규모 전망
〈그림1-9〉 글로벌 매출 상위 300개 의약품 중 일본제약기업 품목 수
〈그림1-10〉 DNA&RNA 치료제(therapeutics) 매출 규모 전망
〈그림1-11〉 DNA&RNA 치료제(therapeutics) 치료 영역
〈그림1-12〉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매출 규모 전망
〈그림1-13〉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치료 영역
〈그림1-14〉 단백질 및 펩타이드 치료제 매출 규모 전망
〈그림1-15〉 단백질 및 펩타이드 치료제 치료 영역
〈그림1-16〉 세포 치료제(Cell therapy) 매출 규모 전망
〈그림1-17〉 세포 치료제(Cell therapy) 치료 영역
〈그림1-18〉 유전자 치료제(Gene therapy) 매출 규모 전망
〈그림1-19〉 유전자 치료제(Gene therapy) 치료 영역
〈그림1-20〉 유전자 변형 세포치료제 매출 규모 전망
〈그림1-21〉 유전자 변형 세포치료제 치료 영역
〈그림1-22〉 재조합 항체(Recombinant antibody) 매출 규모 전망
〈그림1-23〉 재조합 항체(Recombinant antibody) 치료 영역
〈그림1-24〉 유전체 편집(Genome editing) 매출 규모 전망
〈그림1-25〉 유전체 편집(Genome editing) 치료 영역
〈그림1-26〉 AI 신약개발 관련 임상시험 약물 건수
〈그림1-27〉 전체 R&D 과제 대비 중소기업 지원 건수
〈그림1-28〉 전체 R&D 투자액 대비 중소기업 지원 건수
〈그림1-29〉 주요 부처별 바이오 분야 R&D 과제 중소기업 수행 현황
〈그림1-30〉 주요 부처별 바이오 분야 정부투자연구비 중소기업 지원 현황
〈그림1-31〉 바이오 분야 연구개발 단계별 R&D 과제 중소기업 수행 현황
〈그림1-32〉 바이오 분야 연구개발 단계별 R&D 과제 중소기업 수행 현황
〈그림1-33〉 연구분야별 바이오 분야 R&D 과제 수행 현황
〈그림1-34〉 연구분야별 바이오 분야 정부투자연구비 현황
〈그림1-35〉 적용분야별 바이오 분야 R&D 과제 수행 현황
〈그림1-36〉 적용분야별 바이오 분야 정부투자연구비 현황
〈그림1-37〉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 트렌드
〈그림1-38〉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 규모 전망
〈그림1-39〉 글로벌 AI 신약 개발 시장 규모 전망
〈그림1-40〉 연도별 미국 FDA 신약 허가 현황
〈그림1-41〉 2023년 신약 모달리티별 허가 현황
〈그림1-42〉 2024년 글로벌 매출 상위 예상 의약품
〈그림1-43〉 2024년 매출 증가 확대 예상 의약품
〈그림1-44〉 2028년 전문의약품 매출 상위 10대 제약사 전망
〈그림1-45〉 2028년 매출 상위 10대 의약품 전망
〈그림1-46〉 글로벌 바이오제약사 라이센싱 거래 추이
〈그림1-47〉 빅파마의 개발 단계별 거래 현황

Ⅱ. 첨단재생의료 산업 및 기술 동향
〈그림2-1〉 첨단 재생의료 주요 분야
〈그림2-2〉 재생의료의 주요 치료 기술 분야
〈그림2-3〉 재생의료 분야의 핵심 기술
〈그림2-4〉 글로벌 재생의료 시장 규모 및 비중 동향
〈그림2-5〉 연도별·국가별 세포 치료제 특허 출원 동향
〈그림2-6〉 연도별·국가별 분화 유도용 조성물 특허 출원 동향
〈그림2-7〉 펜실베니아대학교 세포 치료제 기술흐름도
〈그림2-8〉 교토대학교 세포 치료제 기술흐름도
〈그림2-9〉 연도별·국가별 유전자 치료제 특허 출원 동향
〈그림2-10〉 셀렉티스 유전자 치료제 기술흐름도
〈그림2-11〉 연도별·국가별 3D 프린팅 특허 출원 동향
〈그림2-12〉 연도별·국가별 오가노이드 특허 출원 동향
〈그림2-13〉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오가노이드 기술흐름도
〈그림2-14〉 의약품 질환모델 적용 및 치료 효능 평가 플랫폼 특허 출원 동향
〈그림2-15〉 (줄기)세포 분석 기술 특허 출원 동향
〈그림2-16〉 줄기세포 질환모델 기술 특허 출원 동향
〈그림2-17〉 연도별·국가별 세포소기관 활용 의약품 특허 출원 동향
〈그림2-18〉 엠디 헬스케어 세포소기관 활용 의약품 기술흐름도
〈그림2-19〉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개념도
〈그림2-20〉 국제 10-20 체계 구성도
〈그림2-21〉 다양한 형태의 뇌파 측정 시스템
〈그림2-22〉 BCI 분류용 딥러닝 개발 프레임워크
〈그림2-23〉 BCI 5대 활용 분야
〈그림2-24〉 뉴럴링크 칩을 이식한 사지마비 환자의 게임 플레이 모습
〈그림2-25〉 하반신 마비 환자의 뇌와 척수 사이에 구축된 ‘디지털 브리지’ 장치
〈그림2-26〉 국내 BCI 기업 상용 제품
〈그림2-27〉 강스템바이오텍 피부 오가노이드
〈그림2-28〉 iPS세포를 분화시켜 만든 각막조직의 이식 과정
〈그림2-29〉 국내기업이 상용화한 줄기세포 치료제
〈그림2-30〉 오가노이드 기술 발전 역사
〈그림2-31〉 유산균 장 오가노이드 성숙 효과 검증
〈그림2-32〉 간 오가노이드 형성 과정
〈그림2-33〉 척수 오가노이드 형성 과정
〈그림2-34〉 심장 오가노이드 연구 개요
〈그림2-35〉 심장줄기세포 치료제 연구 개요
〈그림2-36〉 강스템바이오텍 피부 오가노이드 배양 모식도
〈그림2-37〉 오가노이드 생산·보존·사용 과정
〈그림2-38〉 종양 오가노이드 바이오뱅크 구축 동향
〈그림2-39〉 국가별·장기별 바이오뱅크 분포도
〈그림2-40〉 오가노이드 바이오뱅크 관리 프로세스 및 품질관리 시스템
〈그림2-41〉 오가노이드의 생의학적 활용 분야
〈그림2-42〉 매트릭스 젤 연구의 4가지 패러다임
〈그림2-43〉 종양 오가노이드 과정의 주요 병목현상
〈그림2-44〉 주요국 오가노이드 특허출원 동향
〈그림2-45〉 국내 오가노이드 내·외국인 특허출원 비중
〈그림2-46〉 심장 오가노이드 특허출원 동향
〈그림2-47〉 간 오가노이드 특허출원 동향
〈그림2-48〉 혈관 오가노이드 특허출원 동향
〈그림2-49〉 췌장 오가노이드 특허출원 동향
〈그림2-50〉 피부 오가노이드 특허출원 동향
〈그림2-51〉 뇌 오가노이드 특허출원 동향
〈그림2-52〉 폐 오가노이드 특허출원 동향
〈그림2-53〉 장 오가노이드 특허출원 동향
〈그림2-54〉 신장 오가노이드 특허출원 동향
〈그림2-55〉 국내 오가노이드 관련 과제 수 동향
〈그림2-56〉 국내 오가노이드 관련 연구비 동향
〈그림2-57〉 3D 세포배양 플랫폼으로의 발전과정
〈그림2-58〉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 발전 과정
〈그림2-59〉 잉크젯 기반 프린팅 방식
〈그림2-60〉 레이저 기반 프린팅 방식
〈그림2-61〉 토출 기반 프린팅 방식
〈그림2-62〉 3D 바이오 프린팅 기반 심장 및 심혈관 조직
〈그림2-63〉 3D 바이오 프린팅 기반 인공 귀 및 근육
〈그림2-64〉 3D 바이오 프린팅 기반 피부조직
〈그림2-65〉 3D 바이오 프린팅 기반 인공피부 프린팅 시스템 및 공정
〈그림2-66〉 로봇팔 기반 6 자유도 바이오 프린터
〈그림2-67〉 인공지능 기반 3D 프린팅 이상치 탐지 및 공정 최적화
〈그림2-68〉 맞춤형 3D 프린팅 의료활용 사례
〈그림2-69〉 나노바이오 소재 분류
〈그림2-70〉 나노바이오 소재 기반 바이오 프린팅 연구 사례
〈그림2-71〉 생체재료 응용 기술의 발전
〈그림2-72〉 HGC/CS 하이브리드 써모젤 스캐폴드

Ⅲ. 국내·외 첨단재생의료 산업 동향과 주요 기업 현황
〈그림3-1〉 2023-2033 글로벌 재생의료 시장 규모 전망
〈그림3-2〉 2022-2032 글로벌 재생의료 시장 규모 전망
〈그림3-3〉 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시장 규모 전망
〈그림3-4〉 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벡터유형별 시장 규모 전망
〈그림3-5〉 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적응증별 시장 규모 전망
〈그림3-6〉 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지역별 시장 규모 전망
〈그림3-7〉 글로벌 CAR-T 세포치료제 시장 규모 전망
〈그림3-8〉 글로벌 CAR-T 세포치료제 제품별 시장 규모 전망
〈그림3-9〉 글로벌 CAR-T 세포치료제 표적 항원별 시장 규모 전망
〈그림3-10〉 글로벌 CAR-T 세포치료제 적응증별 시장 규모 전망
〈그림3-11〉 글로벌 CAR-T 세포치료제 인구 통계별 시장 규모 전망
〈그림3-12〉 글로벌 CAR-T 세포치료제 최종 사용자별 시장 규모 전망
〈그림3-13〉 글로벌 CAR-T 세포치료제 지역별 시장 규모 전망
〈그림3-14〉 글로벌 3D 세포배양 시장 규모 전망
〈그림3-15〉 미국 유전자치료제 허가 현황
〈그림3-16〉 카스게비와 리프제니아 작용기전 비교
〈그림3-17〉 유럽 세포 및 유전자 치료 시장 규모 전망
〈그림3-18〉 일본 재생의료 관련 제도 경과
〈그림3-19〉 일본 재생의료 등 기술 위험도별 분류 체계
〈그림3-20〉 중국 의료비 지출 규모 및 GDP 대비 비중 동향
〈그림3-21〉 2023년 주요국 글로벌 의약품 시장 비중
〈그림3-22〉 중국 의약품 시장 규모 및 구조
〈그림3-23〉 2023년 중국 등록 1류 신약 비중
〈그림3-24〉 중국 의약품 연구개발 투자 규모 동향 및 전망
〈그림3-25〉 중국 의약품 파이프라인 규모 동향
〈그림3-26〉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 및 국내시장 동향
〈그림3-27〉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 및 국내시장 전망
〈그림3-28〉 글로벌 바이오제약 치료제 및 플랫폼 기업 VC 투자 규모 동향
〈그림3-29〉 글로벌 바이오제약 치료제 기업 VC 투자 규모 동향
〈그림3-30〉 글로벌 바이오제약 플랫폼 기업 투자단계별 VC 투자 동향
〈그림3-31〉 2024년 상반기 글로벌 바이오제약 치료영역별 VC 투자 현황
〈그림3-32〉 2024년 상반기 글로벌 CGT 분야 VC 투자 규모 동향
〈그림3-33〉 2024년 상반기 글로벌 AI 신약개발 분야 VC 투자 규모 동향
〈그림3-34〉 2023년 국내 업체 총 투자비 및 바이오산업부문 투자비
〈그림3-35〉 국내 임상단계별 승인 동향
〈그림3-36〉 2007-2022 적응증별 임상 수행 현황
〈그림3-37〉 국내 분야별 임상 현황
〈그림3-38〉 국내 자가 및 동종 세포 임상 동향
〈그림3-39〉 국내 세포기원별 임상 동향
〈그림3-40〉 연도별 국내 SIT·IIT·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현황
〈그림3-41〉 연도별 국내 첨단재생의료 기술 유형별 임상 현황
〈그림3-42〉 국내 첨단재생의료 기술 유형별 임상연구 현황
〈그림3-43〉 국내 첨단재생의료 유형별 임상 현황
〈그림3-44〉 국내 첨단재생의료 단계별 임상 승인 현황
〈그림3-45〉 국내 첨단재생의료 적응증별 임상 승인 현황
〈그림3-46〉 국내 세포치료 유형 및 활용 세포 현황
〈그림3-47〉 국내 유전자치료 및 유전자변형세포치료 임상 현황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