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윤성SF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
★ 박지리문학상 수상 작가
★ 문학동네신인상 평론 부문 당선 작가
“할 수 있다면 해야 하는 걸까?
잘 모르겠어.
하지만 아무것도 모르겠으니까
다 죽어 버렸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가끔 해.
아니 사실 꽤 자주.”
인정하기 싫은 가족,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한 인간을 집어삼켰을 때
치달을 수 있는 가장 극한의 비극
《다이브》 출간 이후 청소년 소설뿐 아니라 SF, 스릴러, 르포 등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활약 중인 단요 작가가 이번에는 범죄 스릴러를 들고 왔다. 《트윈》은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엮였을 뿐 아니라 같은 얼굴과 유전자를 가졌음에도 전혀 다를 수밖에 없는 일란성 쌍둥이 형제와 자매 사이에 벌어지는 이야기다. 가족이라는 이유로 당연하게 강요당한 희생과 이해,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억지로 요구받은 성과주의에 갇혀 어느덧 인간성을 상실해 버린 가장이 스스로 불러 온 재앙 같은 상황,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못 가혹하게 느껴지는 결말이 단요 작가만의 관념과 서사를 통과하며 보다 섬뜩하고, 박진감 있게 다가온다.
같은 얼굴을 한 일란성 형제
내 아이들의 아빠는 나일까? 그일까?
같은 얼굴을 한 일란성 자매
죽은 저 여자아이는 과연 누구일까?
민형과 민호는 일란성 쌍둥이 형제다. 정형외과 전문의인 민형은 원가족으로부터 물질적 지원을 당연하게 요구받았으나 인망은 없었다. 반면 민호는 일평생 한량처럼 살았으나 말 몇 마디로 원하는 걸 얻어 왔다. 민형이 끝내 갖지 못 한 인망까지도. 그간 꿈꿔 왔던 가족의 한 장면 속에 자신이 아닌 민호가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아내의 불륜을 의심하게 된 민형은 급기야 자신의 쌍둥이 딸들까지도 의심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생각한다. 나는 저런 한량으로 대체되어서는 안 된다!
사고인지 사건인지, 민형의 일란성 쌍둥이 딸 중 하나가 추락사했다. 죽은 딸 우연은 이번에 치의대에 합격했고, 남아 있는 딸 지연은 5수 중이다. 무정한 아빠인 민형은 상황을 파악하자마자 둘을 바꿔치기 하기로 결심한다. 그럼 지연은 5수 할 필요 없이 치의대를 갈 수 있을 테니 이 얼마나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선택인가. 대체하는 것이 더 유익하다면, 그리고 대체가 가능하다면 그 이유만으로 대체해도 되는 걸까? 그렇다면 민형 자신 또한 민호로 대체되지 못 할 이유는 무엇인가?
대체할 수 있다면 대체해도 되는 걸까?
섬뜩할 정도로 담담하고 세심한 감정 묘사
기어이 손에 땀을 쥐게 만드는 박진감
단요표 범죄 스릴러
닮음은 언제고 같음일 수는 없다. 작가는 일반 검사로는 구분조차 할 수 없을 만큼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일란성 쌍둥이를 통해 이를 은유하며, 또한 그런 상대에 대해 갖는 적개심 안에는 특히 자신이 포함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 준다. 사회와 환경은 민형으로부터 인간성을 앗아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능처럼 남아 있는 인정욕에 붙들려 그는 매 순간 스스럼없이 위태로운 선택을 하고 그 선택 뒤에 늘 자신을 문진한다. 작가는 이 문진 과정을 통해 욕구가 얼마나 공허한지를 보이며 독자에게도 같은 질문을 던진다. 파국으로 치닫는 과정 중에서도 담담한 등장인물들의 세밀한 감정 처리는 단요 작가의 전매특허다. 서사는 분명 천천히 흐르는 듯한데 어느 순간 손에 땀을 쥐게 된다. 작가는 ‘가부장의 실패와 실존적 위기, 죄와 심판과 용서에 대한 사변으로도 읽을 수 있으나 원론적으로는 범죄 소설’(〈작가의 말〉 중에서)이라고 이 책을 평하면서도 그 안에서 다양한 메시지들을 읽어 내는 것은 독자의 몫으로 돌렸다. 사람이 다른 사람으로 대체될 수도 없고, 대체되어서도 안 된다는 데 대해 부정할 사람이 있을까. 인간 존엄성의 측면에서도 이는 당연한 주장이다. 같은 얼굴을 했다고 해서, 대체할 수 있다고 해서 그렇게 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스스로에게 다시 한번 물어보자. 정말 그렇게 생각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