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로 시대를 뒤흔든 불꽃 같은 시인 나혜석
몽마르트와 쓸쓸함을 사랑한 화가 모리스 위트릴로
나혜석(1896~1948)은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이자 선구적인 페미니스트였다. 여성의 권리와 자유를 주장했던 그는 당대의 억압적인 사회 구조 속에서 끝없이 투쟁했다. 화가, 작가, 사회운동가로서 한국 근대 여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지만, 사생활 논란과 시대의 냉대 속에 결국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그의 글에는 시대를 앞서 간 예술가의 예민한 감수성과 치열한 내면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뜨거운 열정과 세상을 바라보는 남다른 시선이 가득한 글을 썼고, 격변의 시기를 살면서도 여성의 해방과 자유를 끊임없이 이야기하며 당시 사회에도 큰 충격을 주었고, 지금까지도 시대를 앞서갔던 ‘신여성’으로 회자된다.
모리스 위트릴로(1883~1955) 풍경화의 거장으로서 프랑스의 도시, 특히 몽마르트의 거리와 건물들을 서정적으로 담아낸 화가다. 그 역시 평탄치 않은 삶을 살았다. 몽마르트를 주 무대로 삼아 거리의 쓸쓸함과 인간의 고독을 그려낸 그는 어린 시절부터 정신적 불안과 알코올 중독에 시달렸다. 어머니인 수잔 발라동의 권유로 그림을 시작한 위트릴로는 파리의 빈민가와 골목길을 특유의 차가운 색채로 묘사했다. 위트릴로의 작품은 회색빛과 부드러운 색조를 활용해 파리의 정취와 고독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그에게 그림은 고통과 소외를 견디게 한 유일한 언어였다.
나혜석과 위트릴로는 국가와 성별, 언어가 다르지만, 예술가로서 외로움과 시대적 압박 속에서 작품으로 자신의 생을 버텨낸 점에서 닮아 있다. 나혜석이 글로 여성의 억압된 현실을 기록했다면, 위트릴로는 그림으로 몽마르트의 적막한 거리 위에 내면의 상처를 투영했다. 두 사람 모두 예술을 통해 시대를 고발하고, 개인의 고뇌를 드러냈다.
하지만 동시에, 이들은 동시대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살아냈다. 나혜석은 한국 사회의 억압된 여성으로서, 가부장제와 식민지라는 이중의 구조 속에서 끊임없이 목소리를 냈다. 위트릴로는 유럽 근대 도시의 거리 풍경 속에서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며 고독을 화폭에 담았다. 이 시화집은 이렇게 다른 환경에서 살아간 두 예술가의 시선이 어떻게 교차하며 서로를 보완하는지를 보여준다.
책 속에서 나혜석의 직설적인 산문과 서정적인 시들은 위트릴로가 그린 파리의 거리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황량한 골목, 스산한 광장, 낡은 건물들이 나혜석의 내면적 고백과 함께 어우러질 때, 그 풍경은 파리가 아닌 일제강점기의 서울이나 인천의 거리로도 보인다. 이는 두 예술가가 지닌 ‘경계 없는 감정’의 힘을 증명한다.
『나혜석과 위트릴로』는 단순히 글과 그림을 나란히 배치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나혜석의 글이 전하는 정서와 위트릴로의 그림이 표현하는 색채와 분위기가 서로의 이야기를 풍성하게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글마다 어울리는 그림을 신중히 선정하여 작품들이 서로 호흡하고 대화하는 느낌을 주도록 구성하였다.
예를 들어, 발랄하고 당찬 주인공이 등장하는 단편소설 「경희」에는 위트릴로의 그림 중에도 생동감 넘치는 색감과 구도의 그림을 배치했다. 나혜석이 말년에 쓴 시 〈외로움과 싸우다 객사하다〉에는 “가자! 파리로. 살러 가지 말고 죽으러 가자.”라는 시구와 어울리는 에펠탑과 쓸쓸한 주변 풍경을 담은 그림을 배치하여 각 작품이 긴밀한 상호작용을 일으키도록 하였다.
이 책은 독자에게 단순히 그림과 글의 조화를 보여주는 시화집이 아니다. 두 예술가가 살아낸 시대의 아픔과 고뇌,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내 놓지 않았던 예술의 본질적 의미를 함께 묻는다. 나혜석과 위트릴로, 두 사람의 예술은 이 책 속에서 시대와 공간을 넘어 서로를 비춘다. 그리고 그 만남은 오늘날 우리의 삶까지도 조용히 파고든다.
“그림은 말없는 시이고, 시는 말하는 그림이다.”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스페셜〉 에디션 3탄!
나혜석의 시와 수필과 소설,
모리스 위트릴로의 명화와 만나다
이 책은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시리즈의 스페셜 에디션인 『동주와 빈센트』 『백석과 모네』에 이어, 글과 그림의 경계를 넘어선 예술적 융합을 시도했다. 앞선 시리즈는 시와 그림을 배치하여 짧은 호흡으로 여러 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다면, 『나혜석과 위트릴로』에는 시뿐만 아니라 수필과 단편소설을 수록하여 조금은 긴 호흡으로 글과 그림을 느긋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각의 작품이 전하는 이야기는 독자들에게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재해석되며, 시각적 감동과 문학적 상상력을 동시에 자극한다.
나혜석의 글은 그가 살아온 시대와 그 시대를 살아가던 ‘신여성’의 고민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위트릴로의 그림은 그가 살았고 사랑했던 파리와 몽마르트의 풍경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하다. 두 예술가가 각자의 세계를 그린 동시에 서로 다른 시대와 공간을 넘나들며 독자들에게 글과 그림이 결합된 특별한 예술적 경험을 선사한다. 작가는 글로 그림을 그렸고, 화가는 색으로 글을 썼다. 그 둘의 만남은 새로운 감각의 문을 열어주며, 독자들에게 새로운 예술적 감동을 안겨줄 것이다.
『나혜석과 위트릴로』는 문학과 미술을 사랑하는 독자라면 놓칠 수 없는 특별한 책이다. 나혜석의 글과 위트릴로의 그림을 사랑하는 이들은 새로운 통찰과 깊이 있는 예술적 대화를 들으며, 일상에서의 작은 순간들이 예술적 시각으로 재해석되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시와 그림이 함께하는 특별한 예술적 여행에 초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