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 다루는 주요 분야★
1장 서버: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개념. 웹 서버/애플리케이션 서버/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의 역할
2장 네트워크: 패킷 교환 방식과 네트워크 계층 구조. 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등 네트워크 장비의 역할과 VPN, DMZ 등의 개념
3장 스토리지: 데이터 저장 방식과 SAN, NAS 등 기업에서 활용하는 스토리지 기술. 백업 방법과 관련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4장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와 NoSQL의 차이. 오픈소스 및 상용 DBMS의 종류와 특징.
5장 온프레미스: 기업 내부에서 IT 인프라를 직접 운영하는 온프레미스 환경과 3-Tier 아키텍처. 가상화 기술과 HCI, SDDC 등의 최신 인프라 운영 방식.
6장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과 IaaS, PaaS, SaaS의 차이. 가상 머신과 컨테이너의 차이점 및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활용한 운영 방식을 정리.
7장 개발 방법론 및 모델: 워터폴과 애자일 방법론의 차이. 모놀리식 아키텍처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구조적 차이와 CI/CD 및 DevOps 개념.
8장 IT 인프라 운영 기술: 서버와 네트워크의 장애를 최소화하는 Active/Active, Active/Standby 기술과 모니터링 방식, IaC와 AIOps를 활용한 인프라 자동화 기술.
9장 IT 인프라 보안: 네트워크 및 시스템 보안을 위한 방화벽, IDS/IPS, IAM,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의 개념과 적용 방식.
10장 AI 인프라: AI 서비스 운영을 위한 GPU 병렬 컴퓨팅 개념과 AI 개발 환경 구축 방법. 데이터셋 준비부터 모델 학습, 파인 튜닝까지 AI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
11장 부록: 실제 기업에서 벌어지는 IT 운영자와 개발자의 커뮤니케이션과 장애 발생 시 점검 및 해결 시나리오.
★이 책의 대상 독자★
* 서비스 운영 환경에 대한 기초 지식이 필요한 학생, 예비 개발자
* IT 인프라 기초 지식이 부족해 업무에 어려움을 겪는 신입 개발자 및 비전공자
* 이제 막 서비스 운영 및 IT 관리 업무를 시작한 기업 IT 인프라 신입 관리자
* 기업의 IT 인프라가 어떻게 구성되고, 어떤 기술과 용어/개념이 있는지 궁금한 사람 누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