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편지와 친필 자료, 사진, 친지·후배들의 글

편지와 친필 자료, 사진, 친지·후배들의 글

  • 이병기
  • |
  •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24-12-25 출간
  • |
  • 584페이지
  • |
  • 153 X 225mm
  • |
  • ISBN 9791163722465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8,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8,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가람 이병기 전집』 30권: 한국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2024년 12월, 전북대학교 출판문화원은 『가람 이병기 전집』 30권을 완간했다. 2014년에 시작해 11년간에 걸쳐 진행된 전집 간행은 단순한 연구자료 수집을 넘어, 한국 근현대 문학사의 체계를 정립하고 학문적 유산을 보존하며, 후속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지평을 열어주는 중요한 성과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가람 이병기(1891~1968)는 한국 근현대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학자이자 시조 시인, 국어학자, 서지학자, 교육자로서 활동했다. 그는 시조 부흥 운동의 선구자로서 전통 시조의 현대적 재해석에 힘썼고, 국문학과 국어학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투옥되면서도 한국어 연구와 교육을 계속 했고, 해방 후에는 서울대학교와 전북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그의 연구는 국문학, 국어학, 서지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또한 그는 60여년 동안 일기를 썼는데 이는 개인의 생애 뿐 아니라 한국 근현대를 살았던 수많은 문인과 국학자들의 삶, 그리고 한국어 쓰기의 변천을 보여주는 귀한 자료다.
『가람 이병기 전집』은 가람의 창작물과 학술적 연구 성과를 포괄적으로 정리하여 수록했다. 전문학자들로 구성된 간행위원회(위원장: 김익두, 한창훈)는 가람 이병기의 글을 최대한 많이 수록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가람 유족들의 도움을 받아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했다. 이 전집은 시조 및 시문학, 국문학 연구, 고전문학 주해, 국어학, 서지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되었다. 출판된 책 외에도 편집을 맡은 각급 국어 교과서, 미간행 원고, 육필노트, 편지, 일기, 사진 등 서간, 일기 등도 포함하여 연구자들이 귀중한 1차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유실된 것으로 알려졌던 미발표 「현대시조3인집」을 발견하여 수록했고, 신문과 잡지에 기고한 글도 최대한 전집에 포함했다.
이 전집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었다. 1~10권은 가람의 창작과 문학연구를 다루었는데 가람의 대표 시조 작품과 시문학, 수필과 기행문, 일기를 수록했다. 특히 남아있는 방대한 일기를 전부 포함해서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11~22권은 가람의 국문학 및 국어학 연구 성과를 수록했다. 대표저서인 『국문학전사』, 『국문학개론』 등은 물론이고 『한중록』, 『계축일기』 등 전통문학 주해 및 해석이 포함되었다. 23~28권은 서지학 및 고문헌 연구, 교육 및 교과서 편찬 활동의 성과를 수록해 국학자로서 가람의 면모를 보여준다. 29권은 사진, 편지, 다양한 형태의 친필 원고를 수록했고, 30권은 색인 및 자료 목록으로서 연구자와 독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전체자료를 정리했다.
『가람 이병기 전집』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 근현대 문학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전집에 포함된 가람의 연구와 저술은 국문학사의 체계 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조 창작 및 비평, 국문학 개론서 등은 한국 문학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이며, 그의 문학관과 시대적 문제의식을 통찰할 수 있다. 둘째, 고전문학 주해서와 구비문학 연구는 전통 문학과 현대 문학의 연결 고리를 제시한다. 『한중록』, 『계축일기』 등의 주해 작업은 연구자들에게 텍스트 해석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한국학 연구의 지속 가능성을 높인다. 셋째, 가람의 국어학 연구는 맞춤법 통일, 국어 표준화, 음운론 연구 등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그의 연구는 현대 한국어 문법과 교육에 직결되며, 국어학의 기초를 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넷째, 이 전집은 국문학, 국어학, 민속학, 역사학, 교육학 등의 학문적 교류를 촉진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가람의 일기와 서간은 당시 학계와 문단의 네트워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30권으로 이루어진 『가람 이병기 전집』의 의의는 교육 및 연구자료로서 활용성을 높이고 가람연구의 기초를 놓았다는 것이다. 여기저기 흩어진 자료를 모으고, 원본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정확하게 번역하여 가독성과 신뢰성을 높였기 때문에 현대 연구자들이 학문적 정본으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가람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촉진하고 그의 학문적 영향을 보다 깊이 있게 탐구하는 일명 가람학(嘉藍學) 확립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가람 이병기 선생의 편지와 친필 자료 ㆍ27

Ⅰ. 가람 친필 서간(이앙배 소장) ㆍ29
1. 조부께 보낸 부친 이채의 서간 ㆍ31
2. 조부께 보낸 가람의 서간 ㆍ33
3. 조부께 보낸 가람의 서간 ㆍ35
4. 부친께 보낸 가람의 서간 ㆍ37
5. 부친께 보낸 가람의 서간 ㆍ39
6. 아우 병륙에게 보낸 편지 봉투 ㆍ41
7. 한성사범에서 본가로 보낸 편지 봉투와 줄포에서 보낸 상서 봉투 ㆍ42

Ⅱ. 가람 선생 친필 서간(조병희 소장) ㆍ43
1. 가람이 매형 조춘원에 보낸 서간 ㆍ45
2. 가람이 매형 조춘원에 보낸 서간 ㆍ48
3. 가람이 매형 조춘원에 보낸 서간 ㆍ51
4. 가람이 매형 조춘원에 보낸 서간 ㆍ53
5. 가람이 매형 조춘원에 보낸 서간 ㆍ55
6. 가람이 매형 조춘원에 보낸 서간 ㆍ57
7. 가람이 매형 조춘원에 보낸 서간 ㆍ59
8. 가람이 매형 조춘원에 보낸 서간 ㆍ61
9. 가람이 누님께 보낸 서간 ㆍ63
10. 가람이 누님께 보낸 서간 ㆍ65
11. 가람이 생질 조병국에게 보낸 서간 ㆍ67

Ⅲ. 기타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 및 친필 자료 ㆍ69
1. 가람이 강한영에게 보낸 서간 ㆍ71
2. 가람이 석정에게 보낸 서찰 ㆍ72
3. 최승범에게 보낸 글 ㆍ74
4. 친필 액자 ‘때로는 개도 사람보다 낫다’ ㆍ75
5. 가람이 그린 난초 ㆍ76
6. 양사재에서 쓴 가람의 친필 시조 「청매」 ㆍ76
7. 가람 이병기 선생이 고故 서원출徐元出 씨 화갑華甲에 써준 유묵遺墨 ㆍ77
8. 모악산행기 원고 ㆍ78
9. 전주소감 원고 ㆍ79
10. 한자의 전래 원고 ㆍ82
11. 「가람일기」 원문 1권 첫 페이지 ㆍ83
12. 「가람일기」 중 한글일기 첫장과 병후일기 ㆍ84
13. 동아일보 주최 조선어학회 후원 호남지역 한글강습 일기 ㆍ86
14. 국문학전사 초고 노트 표지 ㆍ87
15. 국문학전사 초고 ㆍ88
16. 국문학전사 중 국한문학사 초고 ㆍ89
17. 계축일기 초고 ㆍ90
18. 자서전 원고 ㆍ91
19. 가람 이력서 ㆍ96
20. 가람 이력서 ㆍ97
21. 가람의 필적 감정 ㆍ98

Ⅳ. 가람께 보낸 편지들(최승범 소장, 유족 제공) ㆍ101
1. 가람께 보낸 정인승鄭寅昇의 편지 ㆍ103
2. 가람께 보낸 전광용全光鏞의 편지 ㆍ103
3. 가람께 보낸 홍순채洪淳采의 편지 ㆍ104
4. 가람께 보낸 장하보張河步의 편지 ㆍ104
5. 가람께 보낸 이종익의 편지 ㆍ105
6. 가람께 보낸 사촌 동생의 편지 ㆍ105
7. 가람께 보낸 이태극의 편지 ㆍ106
8. 가람께 보낸 박재삼의 편지 ㆍ107
9. 가람께 보낸 석정의 편지 ㆍ108
10. 가람께 보낸 석정의 편지 ㆍ108
11. 가람께 보낸 석정의 편지 ㆍ109
12. 가람께 보낸 석정의 편지 ㆍ109
13. 가람께 보낸 권용두權容斗의 편지 ㆍ110
14. 가람께 ☐주석珠石의 편지 ㆍ110
15. 가람께 보낸 조병희의 편지 ㆍ111
16. 가람게 보낸 이겸노의 편지 ㆍ112
17. 가람께 보낸 조병래趙炳來의 편지 ㆍ112


가람 이병기 선생 사진 ㆍ113

Ⅰ. 가람 생가 풍경 ㆍ115
1. 생가 전경 ㆍ117
2. 안채 전경 ㆍ118
3. 사랑채 전경 ㆍ119
4. 사랑채의 수우재守愚齋와 진수당鎭壽堂 ㆍ119
5. 수우재 앞 못 우담愚潭 ㆍ120
6. 사랑채 옆 승운정勝雲亭 ㆍ120
7. 승운정勝雲亭 옆 탱자나무 ㆍ122
8. 가람 이병기 생가와 묘, 문학관 ㆍ123

Ⅱ. 가람의 선조들 ㆍ125
1. 연안이씨延安李氏 11대조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 ㆍ127
2. 연안이씨延安李氏 10대조 사우당四友堂 이시담李時聃 ㆍ127
3. 조부 동우東愚 이조흥李祖興과 조모 진주 정씨 ㆍ128
4. 부친 저운 이채李倸 ㆍ129
5. 부친 이채李倸와 숙부 이신李信 ㆍ129
6. 부친 이채李倸의 영신학교永新學校 교감 임명장 ㆍ130
7. 부친 이채李倸의 부안扶安 건선乾先 면장 임명장 ㆍ130
8. 부친 건선면장乾先面長 이채李倸의 여행허가증 ㆍ131
9. 부친 이채李倸 건선乾先 면장 면함 ㆍ131

Ⅲ. 학창 시절 ㆍ133
1. 전주공립보통학교 시절 ㆍ135
1) 가람의 전주공립보통학교 졸업자명부 ㆍ135
2. 한성사범학교 시절 ㆍ136
1) 한성사범 기숙사 벗들과 함께 ㆍ136
2) 한성사범 시절 가람의 수업과제물 그림 ㆍ136

Ⅳ. 훈도・교사 시절 ㆍ137
1. 남양공립보통학교 훈도 시절 ㆍ139
1) 남양공립보통학교 훈도 시절 ㆍ139
2) 남양공립보통학교 훈도 시절 ㆍ139
3) 남양공립보통학교 훈도 임명장 ㆍ140
4) 조선공립보통학교 훈도 급월봉 18원 ㆍ140
5) 남양공립간이실업학교 훈도 임명장 ㆍ141
6) 조선공립보통학교 겸임 조선공립간이실업학교 훈도 임명장 ㆍ141
7) 면려 상여금 증서 ㆍ142
8) 면려 상여금 증서 ㆍ142
9) 휴가 중 여행허가증 ㆍ143
10) 가람이 훈도 시절 착용한 칼 ㆍ143
2. 전주제이공립보통학교 훈도 시절 ㆍ144
1) 전주 가성사진관에서 찍은 사진 ㆍ144
2) 증명사진 ㆍ145
3) 경복궁에서 ㆍ145
4) 전주 제이공립보통학교 이상로 선생 사은회 기념 ㆍ146
5) 전주 제이공립보통학교 제2회 졸업 기념 ㆍ146
6) 전주 제이공립보통학교 제4회 졸업 기념 ㆍ147
7) 전주 제이공립보통학교 4학년 이병기 선생 석별 기념 ㆍ147
8) 전주 제이공립보통학교 4학년 ㆍ148
9) 전주 제이고등보통학교 발령장 ㆍ148
10) 전주교육회 개설 교육품전람회 사무원 촉탁장 ㆍ149
11) 강습증서 ㆍ149
12) 면려상여금 증서 ㆍ150
13) 강습증 ㆍ150
14) 보통 농사와 면작 강습 수료증 ㆍ151
15) 급7 급봉 증서 ㆍ151
16) 전주향교 제례 봉로에 명함 ㆍ151
17) 강습증서 ㆍ152
18) 면려 상여금 증서 ㆍ152
3. 여산공립보통학교 훈도 시절 ㆍ153
1) 여산공립보통학교 제5회 졸업생 기념 ㆍ153
2) 여산공립보통학교 발령장 ㆍ153
3) 월급 증서 ㆍ154
4) 여행허가증 ㆍ154
5) 면려 상여금 증서 ㆍ154
6) 면려 상여금 증서 ㆍ154
7) 조선공립보통학교 훈도 면직 증서 ㆍ155
8) 퇴직금 증서 ㆍ155
9) 여산 독립만세 운동 기념비 ㆍ156
4. 휘문고등보통학교 교사 시절 ㆍ157
1) 휘문 평양수학여행 기념 ㆍ157
2) 휘문 경주수학여행 불국사에서 ㆍ158
3) 휘문학교 소풍, 1930년대 ㆍ158
4) 휘문 극문우 일동 ㆍ159
5) 휘문학교 교사 ㆍ159
6) 휘문학교 교사 ㆍ160
7) 휘문학교 교사 ㆍ160
8) 진관사 뒤 계곡에서 ㆍ161
9) 광주 풍납리 토성 답사 ㆍ161

Ⅴ. 조선어학회 활동과 한글 운동 ㆍ163
1. 조선어학회 활동 ㆍ165
1) 가람일기 속에 보관된 「1932년도 하기 한글강습교재 요령」 ㆍ165
2) 가람이 참석한 가갸날 기념행사 사진 ㆍ165
3) 「한글」 동인지 창간호 표지 ㆍ166
4) 「한글」 동인지 창간호에 실린 가람의 시조 「한글기림」 ㆍ166
5) 「한글」 제1호에 실린 가람의 시조 「새봄」 ㆍ166
6) 조선어학회 철자위원회 총회 기념 ㆍ167
7) 조선어철자법통일안 제정위원들 ㆍ168
8) 조선어학회 수난 투옥으로 순국하신 선열들 ㆍ169
9) 조선어학회 회원들을 연행해 재판을 진행하는 일제 ㆍ169
10) 조선어학회사건 ‘수난자동지회’ 창립 기념 사진 ㆍ170
11) 조선어학회 여러 선생님을 모시고 ㆍ170
12) 조선어학회 사건 관련 인사들 사진 ㆍ171
13) 조선어학회 회원들과 조선호텔에서 ㆍ171
14) 한글학회 야유회 진관사에서 ㆍ172
15) 한글학회 회원들과 회합을 마친 뒤 새 절로 오르는 계단에서 ㆍ172
16) 한글반포 511주년 시공관서 성대한 기념식 ㆍ173
2. 한글 강습 및 강연 ㆍ174
1) 충청남도 도・군 직원 강습 후 구도 부여시찰기념 ㆍ174
2) 부산강습소 가람-한결 선생 초빙 기념 사진 ㆍ174
3) 한글 강연 1950년대 ㆍ175
4) 신문에 실린 한글 강습 광고와 기사 ㆍ178

Ⅵ. 해방 후 ㆍ179
1. 군정청 편수국 시절 가람 ㆍ181
1) 군정청 편수국 근무 시절 ㆍ181
2. 서울대학교 교수 시절 ㆍ182
1)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 강의 촉탁 통지서 ㆍ182
2) 서울대 국문과 야유회 ㆍ182
3) 서울대 국문과 야유회 ㆍ183
4) 서울대 국문과 야유회에서 흥겨운 한때 ㆍ183
3. 전북대학교 교수 시절 ㆍ184
1) 전북대학교 문리대학장 시절 ㆍ184
2) 전북대학교 문리대학장 시절 ㆍ185
3) 전북대학교 문리과대학 1회 졸업 기념 ㆍ185
4) 국립전북대학교 문리과대학 졸업 기념 ㆍ186
5) 국립전북대학교 문리과대학 국문과 졸업 기념 ㆍ186
6) 전북대학교 문리대 철학과 졸업 기념 ㆍ187
7) 전북대학교 졸업 기념 ㆍ187
8) 전북대학교 문리과대학에서 ㆍ188
9) 전북대학교 학생과 교수들 ㆍ188
10) 전북대학교 국문과 졸업 기념 ㆍ189
11) 철교 앞에서 ㆍ189
12) 철교 앞에서 가람과 제자 최승범 교수 ㆍ190
13) 가람과 제자 최승범 교수 ㆍ190
14) 제자와 함께 ㆍ191
15) 전북대학교에서 ㆍ191
16) 양사재에서 가람과 포광 김영수 교수 ㆍ192
17) 재경전북학우회주최 제1회웅변대회기념 ㆍ192
18) 전북대학교 유임 진정서 ㆍ194
4. 전북 문인・제자들과 함께 ㆍ199
1) 문인들과 함께 ㆍ199
2) 전북 문인들과 함께 ㆍ201
3) 가람과 석정 ㆍ202
4) 군산에서 시문학강좌 개최 ㆍ202
5) 가람 동인회 사하집 「새벽」 출판기념회 ㆍ203
6) 남원 광한루 강연 후 남원 명지호텔 앞에서 ㆍ203
7) 남원 광한루에서 문인들과 함께 ㆍ204
8) 양사재에서 지인들과 함께 ㆍ205
9) 백련과 함께 양사재에서 ㆍ206
10) 가람이 키우던 난 ㆍ208
11) 결혼식 주례 ㆍ209
12) 지인들과 함께 1960년대 ㆍ209
5. 학술원상 수상 ㆍ211
1) 제5회 학술원상 수상 기념 ㆍ211
6. 전북대학교 명예문학박사 수여식 ㆍ212
1) 전북대학교 명예문학박사 수여식 ㆍ212
2) 전북대학교 명예문학박사 수여식에서 ㆍ212
3) 명예문학박사 수여식에서 가족들과 함께 ㆍ214
4) 명예문학박사 수여식에서 부인과 손주와 함께 ㆍ214
5) 명예문학박사 수여식에서 삼형제분 ㆍ215
6) 학위기 ㆍ215
7. 고희기념 ㆍ216
1) 고희기념 동료 및 제자들과 함께 ㆍ216
2) 고희 기념, 생가에서 ㆍ216
3) 고희 기념, 생가에서 ㆍ217
8. 출판기념회(?) ㆍ217
1) 연대 내용 추정 불명확-출판기념회(?) 전북대학교 1950년대 ㆍ217
9. 장서 기증 ㆍ218
1) 서울대학교도서관에 장서 기증 ㆍ218
10. 영결식 ㆍ220
1) 영결식장 ㆍ220
2) 운구 행렬 ㆍ222
3) 조문객 일동 ㆍ224
4) 남은 유족들 ㆍ225
5) 가람 선생 묘소 ㆍ226

Ⅶ. 가람 기념 ㆍ227
1. 가람 시비 제막식 ㆍ229
2. 가람 시비 ㆍ230
1) 가람 시비 전주시 다가공원 ㆍ230
2) 가람 시비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앞 ㆍ230
3) 가람 시비 여산초등학교 ㆍ231
4) 가람 시비 여산휴게소 ㆍ231
5) 교가비 여산초등학교 ㆍ232
6) 여산초등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비 ㆍ232
7) 가람 이병기 선생 상 ㆍ232
8) 가람 이병기 선생 기념비 ㆍ233
9) 가람 이병기 박사 묘비석 ㆍ233
10) 가람 이병기 선생 기념비 제막식 ㆍ233
11) 가람 문학관 ㆍ234
3. 가람의 서재 ㆍ235
1) 가람의 필사筆寫 모습 ㆍ235
2) 가람의 서재에서 최승범 교수와 함께 ㆍ236
3) 매화옥 서실 ㆍ236
4) 여산 생가 서재 ㆍ237
4. 가람의 초상들 ㆍ238
5. 공로패 훈・포장 ㆍ241
1) 한글 반포 516주년 세종문화 큰잔치 공로패 ㆍ241
2) 훈・포장 ㆍ242
3) 국가유공자증 ㆍ243
6. 유품 ㆍ244
1) 유품(가람문학관 전시) ㆍ244
2) 가람 일기(가람 며느님 유재희 소장) ㆍ253
6. 현판과 편액 ㆍ254
1) 수우재守愚齋 현판 ㆍ254
2) 진수당鎭壽堂 현판 ㆍ254
3) 승운정勝雲亭 현판 ㆍ254
4) 가남(가람의 다른 호) 편액 ㆍ254

Ⅷ. 가족사진 ㆍ255
1. 가족사진 ㆍ257
1) 장남 동희 수송유치원 입학 기념 ㆍ257
2) 가족사진, 계동 1934년 ㆍ257
3) 태화관에서 ㆍ258
4) 차남 경희 근화유치원 졸업기념 ㆍ258
5) 가족사진, 계동 1941년 ㆍ259
6) 가람 회갑연 ㆍ259
7) 부인 회갑연 ㆍ260
8) 계동 매화옥에서 ㆍ260
9) 첫 손녀 양배를 안고 양사재에서 ㆍ261
10) 가람과 장손주 앙배와 함께 ㆍ261
11) 창경원 가족사진 ㆍ262
12) 수우재 안채에서 ㆍ262
13) 말년 여산 생가 수우재 너럭바위 위에서 ㆍ263
14) 회혼례 ㆍ264
2. 가람의 자손들 ㆍ267
1) 장남 동희 ㆍ267
2) 차남 경희 ㆍ267
3) 삼남 종희 ㆍ267
4) 장녀 순희 ㆍ268
5) 차녀 한희 ㆍ268
6) 일기를 끝까지 보관하신 둘째 며느님 유재희 여사 ㆍ268
7) 가람 선생을 돌보며 마지막까지 생가를 지킨 셋째 며느님 윤옥병 여사 ㆍ268
8) 둘째 며느님과 손주 희경, 원배 ㆍ269
9) 현재 생가 옆에 살면서 할아버지를 추억하고 기리는 손주 앙배 씨 부부 ㆍ269
10) 가람일기 촬영 후 유족과 전집간행위원들 ㆍ270


가람 이병기 선생의 친지・후배들의 글 ㆍ271

설중방란기雪中訪蘭記 이태준ㆍ273
가람 이병기李秉岐 주해註解 한중록恨中錄을 읽고 이병도ㆍ276
존경尊敬하는 마음은 불변不變 김두헌ㆍ278
강호江湖・월광月光은 불상이不相離 김영수ㆍ282
인간人間 가람 김충선ㆍ286
가람론 신석정ㆍ290
국문학과 가람 김준영ㆍ295
송읍送泣 박병순ㆍ299
속續・양사재수음養士齋數吟 최승범ㆍ302
시심詩心과 해학諧謔의 생애 ㆍ304
친일문학론 임종국ㆍ306
가람 이병기李秉岐 박사 ㆍ307
망각忘却 속에서②-가람 이병기李秉岐 ㆍ310
서문序文 이희승ㆍ313
가람 형兄의 영면永眠을 곡哭함 이희승ㆍ318
곡 가람 선생 신석정ㆍ322
가람의 영 앞에 이은상ㆍ324
학자學者로서-시인詩人으로서 ㆍ326
슬프다 가람 님의 가심이여 조종현ㆍ329
노사老師를 잃은 슬픔 김상기ㆍ331
시조時調와 술과 해학諧謔 속에 정인승ㆍ333
애도哀悼・이병기李秉岐 박사博士 김선기ㆍ341
나의 편력遍歷(32)-신라향가新羅郷歌 연구 상上 국학기國學記1 양주동ㆍ345
가람 시비詩碑 이능우ㆍ347
가람 선생의 학문 정병욱ㆍ349
분서기焚書記 이희승ㆍ351
가람을 말한다 정병욱ㆍ353
일기초・1 김수영ㆍ355
술 좋아했던 가람 이병도ㆍ357
가람 선생先生과 나 김상옥ㆍ359
가람 님 생각 고두동ㆍ361
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103) 박종화朴鍾和 조용만ㆍ363
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105) 안서岸曙 김억金億 조용만ㆍ364
책에도 액厄이 있다 이겸로ㆍ366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 선생先生 차칠선ㆍ369
고은의 자전自傳소설 나의 산하山河 나의 삶 〈59〉 고 은ㆍ376
“교육엔 단절없다” 전시戰時 떠받친 주역들 허 웅ㆍ381
가람 선생과 나 장덕순ㆍ383
남은 온기溫氣 김상옥ㆍ390
가람 이병기 님의 학문 세계 연구 리태극ㆍ392
가람 이병기론 서설 최승범ㆍ412
가람 이병기의 시조시학과 혁신론 이기반ㆍ442
가람의 한글 사랑 연구 오동춘ㆍ462
가람 이병기 스승님의 추모 박병순ㆍ483
가람 선생의 문학 생활 조병희ㆍ498
가람 선생 생각 박재삼ㆍ515
세 걸음 물러서서 우러러 뵙는 큰 스승 장순하ㆍ525
가람 이병기 선생 장순하ㆍ544
가람 선생님에 대한 추억 김준영ㆍ552
가람의 기행 최승범ㆍ558
두견주杜鵑酒 최승범ㆍ565
우리 스승 가람 선생 김민수ㆍ570

[부록] 29권 친지・후배들의 글 상세목록 ㆍ58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