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시조선집 1

시조선집 1

  • 이병기
  • |
  •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24-12-25 출간
  • |
  • 428페이지
  • |
  • 153 X 225mm
  • |
  • ISBN 9791163722342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가람 이병기 전집』 30권: 한국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2024년 12월, 전북대학교 출판문화원은 『가람 이병기 전집』 30권을 완간했다. 2014년에 시작해 11년간에 걸쳐 진행된 전집 간행은 단순한 연구자료 수집을 넘어, 한국 근현대 문학사의 체계를 정립하고 학문적 유산을 보존하며, 후속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지평을 열어주는 중요한 성과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가람 이병기(1891~1968)는 한국 근현대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학자이자 시조 시인, 국어학자, 서지학자, 교육자로서 활동했다. 그는 시조 부흥 운동의 선구자로서 전통 시조의 현대적 재해석에 힘썼고, 국문학과 국어학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투옥되면서도 한국어 연구와 교육을 계속 했고, 해방 후에는 서울대학교와 전북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그의 연구는 국문학, 국어학, 서지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또한 그는 60여년 동안 일기를 썼는데 이는 개인의 생애 뿐 아니라 한국 근현대를 살았던 수많은 문인과 국학자들의 삶, 그리고 한국어 쓰기의 변천을 보여주는 귀한 자료다.
『가람 이병기 전집』은 가람의 창작물과 학술적 연구 성과를 포괄적으로 정리하여 수록했다. 전문학자들로 구성된 간행위원회(위원장: 김익두, 한창훈)는 가람 이병기의 글을 최대한 많이 수록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가람 유족들의 도움을 받아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했다. 이 전집은 시조 및 시문학, 국문학 연구, 고전문학 주해, 국어학, 서지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되었다. 출판된 책 외에도 편집을 맡은 각급 국어 교과서, 미간행 원고, 육필노트, 편지, 일기, 사진 등 서간, 일기 등도 포함하여 연구자들이 귀중한 1차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유실된 것으로 알려졌던 미발표 「현대시조3인집」을 발견하여 수록했고, 신문과 잡지에 기고한 글도 최대한 전집에 포함했다.
이 전집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었다. 1~10권은 가람의 창작과 문학연구를 다루었는데 가람의 대표 시조 작품과 시문학, 수필과 기행문, 일기를 수록했다. 특히 남아있는 방대한 일기를 전부 포함해서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11~22권은 가람의 국문학 및 국어학 연구 성과를 수록했다. 대표저서인 『국문학전사』, 『국문학개론』 등은 물론이고 『한중록』, 『계축일기』 등 전통문학 주해 및 해석이 포함되었다. 23~28권은 서지학 및 고문헌 연구, 교육 및 교과서 편찬 활동의 성과를 수록해 국학자로서 가람의 면모를 보여준다. 29권은 사진, 편지, 다양한 형태의 친필 원고를 수록했고, 30권은 색인 및 자료 목록으로서 연구자와 독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전체자료를 정리했다.
『가람 이병기 전집』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 근현대 문학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전집에 포함된 가람의 연구와 저술은 국문학사의 체계 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조 창작 및 비평, 국문학 개론서 등은 한국 문학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이며, 그의 문학관과 시대적 문제의식을 통찰할 수 있다. 둘째, 고전문학 주해서와 구비문학 연구는 전통 문학과 현대 문학의 연결 고리를 제시한다. 『한중록』, 『계축일기』 등의 주해 작업은 연구자들에게 텍스트 해석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한국학 연구의 지속 가능성을 높인다. 셋째, 가람의 국어학 연구는 맞춤법 통일, 국어 표준화, 음운론 연구 등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그의 연구는 현대 한국어 문법과 교육에 직결되며, 국어학의 기초를 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넷째, 이 전집은 국문학, 국어학, 민속학, 역사학, 교육학 등의 학문적 교류를 촉진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가람의 일기와 서간은 당시 학계와 문단의 네트워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30권으로 이루어진 『가람 이병기 전집』의 의의는 교육 및 연구자료로서 활용성을 높이고 가람연구의 기초를 놓았다는 것이다. 여기저기 흩어진 자료를 모으고, 원본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정확하게 번역하여 가독성과 신뢰성을 높였기 때문에 현대 연구자들이 학문적 정본으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가람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촉진하고 그의 학문적 영향을 보다 깊이 있게 탐구하는 일명 가람학(嘉藍學) 확립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역대시조선歷代時調選 ㆍ27
서序 ㆍ31
우탁禹倬 호號 이동易東 고려高麗 충숙왕忠肅王 시時 제주祭酒 ㆍ35
이조년李兆年, 고려高麗 충혜왕忠惠王 시時 정승政丞 ㆍ35
이존오李存吾 호號 고사孤山,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시時 우정언右正言 ㆍ36
최영崔瑩 호號 기봉奇峯,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시時 도통사都統使 ㆍ36
정몽주鄭夢周 호號 포은圃隱, 고려高麗 공민왕恭讓王 시時 시중侍中 ㆍ36
길재吉再 호號 야은冶隱, 고려高麗 우왕禑王 시時 주서注書 ㆍ37
원천석元天錫 호號 운곡耘谷, 고려말高麗末 진사進士 ㆍ37
이색李穡 호號 목은牧隱, 고려말高麗末 문하門下 시侍 중中 ㆍ38
이조태종어제李朝太宗御製 ㆍ38
정도전鄭道傳 호號 삼봉三峯, 이조개국공신李朝開國功臣 ㆍ39
황희黃喜 자字 구부懼夫 호號 방촌厖村, 세종世宗 시時 영상領相 ㆍ39
김종서金宗瑞 호號 절재節齋, 문종文宗 시時 좌상左相 ㆍ40
성삼문成三問 호號 매죽헌梅竹軒, 단종端宗 시時 참판叅判, 사육신死六臣의 한 분 ㆍ41
이개李塏 호號 백옥白玉, 사육신死六臣의 한 분 ㆍ42
유응부兪應孚 단종端宗 시時 총관摠管, 사육신死六臣의 한 분 ㆍ42
원호元昊 호號 무암霧菴, 생육신生六臣의 한 분 ㆍ42
왕방연王邦衍, 세조世祖 시時 금부도사禁府都事 ㆍ43
성종어제成宗御製 ㆍ44
남이南怡, 태종太宗의 외손外孫, 권람여서權擥女壻, 세조世祖 시時 병조판서兵曹判書 ㆍ44
김정구金鼎九 자字 덕보德甫 본안동本安東, 연산군시인燕山君時人 ㆍ45
이정李婷 자자미字子美, 월산대군月山大君, 덕종德宗 제일남第一男, 성종의 형 ㆍ46
무풍부정총茂豐副正摠 자字 백원百源 호號 서호주인西湖主人, 연산시인燕山時人 ㆍ46
송인宋寅 호號 이암頤菴, 중종시인中宗時人 ㆍ47
농암가聾岩歌 ㆍ48
어부가漁父歌 ㆍ48
서경덕徐敬德 호號 화암花潭, 중종中宗 시時 참봉參奉 ㆍ49
자상특사황국옥당가自上特賜黃菊玉堂歌 ㆍ49
치사가致仕歌 ㆍ50
면앙정잡가俛仰亭雜歌 제이第二 ㆍ50
면앙정단가俛仰亭短歌 제칠第七 ㆍ51
송순宋純 ㆍ51
조식曹植 호號 남명南冥, 명종明宗 시時 처사處士 ㆍ52
도임사수원사작단가悼林士遂寃死作短歌 ㆍ53
자연가自然歌 ㆍ53
황진이黃眞伊, 명종明宗 시時 명기名妓 ㆍ54
김현성金玄成 자字 여경餘慶 호號 남창南窓, 명종明宗 시時 관官 좌의정左議政 ㆍ56
임진林晉, 명종明宗 시時, 임백호林白湖의 부父 ㆍ56
양사언楊士彦 자字 응빙應聘 호號 봉래蓬萊, 명종明宗 시時 부사府使 ㆍ57
선조대왕어제宣祖大王御製 ㆍ57
진풍연헌만수산가進豐宴獻萬壽山歌 ㆍ58
모부인수연가母夫人壽宴歌 ㆍ58
헌근가獻芹歌 ㆍ59
도산곡陶山曲 ㆍ59
청량산淸凉山 ㆍ60
고산구곡담高山九曲潭 일곡一曲 ㆍ61
고산구곡담高山九曲潭 이곡二曲 ㆍ61
고산구곡담高山九曲潭 칠곡七曲 ㆍ62
고산구곡담高山九曲潭 구곡九曲 ㆍ62
양응정梁應鼎 자字 공섭公燮 호號 송천松川, 선조宣祖 시時 대사성大司成 ㆍ62
이양원李陽元 자字 백춘伯春 호號 노저鷺渚, 선조宣祖 시時 유도대장留都大將 ㆍ63
고경명高敬命 자字 이순而順 호號 제봉霽峰, 선조宣祖 시時 공조참의工曹叅議 ㆍ63
이순신李舜臣 자字 여해汝諧, 선조宣祖 시時 통제사統制使 시諡 충무忠武 ㆍ64
춘산곡春山曲 ㆍ64
정철鄭澈 자字 계함季涵 호號 송강松江, 선조宣祖 시時 영상領相 ㆍ65
장진주사將進酒辭 ㆍ70
성혼成渾 자字 홍운洪源 호號 우계牛溪, 선조宣祖 시時 찬성贊成 ㆍ71
이덕형李德馨 자字 명보明甫 호號 한음漢陰, 선조宣祖 시時 영의정領議政 ㆍ71
이항복李恒福 자字 자상子常 호號 백사白沙, 선조宣祖 시時 영의정領議政 ㆍ71
호아곡呼兒曲 사장四章 ㆍ72
서익徐益 자字 군수君受 호號 만죽정萬竹亭, 선조宣祖 시時 목사牧使 ㆍ74
한우가寒雨歌 ㆍ75
임제林悌 ㆍ75
한우寒雨, 선조宣祖 시時 기妓 ㆍ75
조홍시가早紅柿歌 ㆍ76
토월봉吐月峯 ㆍ77
이매창李梅窓, 부안기扶安妓, 계생癸生 또는 계생桂生, 자字는 향금香今, 선조宣祖 시時 인人 ㆍ77
홍랑洪娘, 선조宣祖 시時 인人 ㆍ78
성천기成川妓 문향文香, 선조宣祖 시時 ㆍ79
구지求之, 기妓 ㆍ80
송이松伊, 기妓 ㆍ80
매화梅花, 기妓 ㆍ80
천금千錦, 기妓 ㆍ81
명옥明玉, 화성기華城妓 ㆍ81
이원익李元翼 자字 공려公礪 호號 오리梧里, 광해光海 시時 영상領相 ㆍ82
율리유곡栗里遺曲 ㆍ83
소백주小栢舟, 광해光海 시時 평양기平壤妓 ㆍ85
구용具容 자字 대수大叟 호號 죽창竹窓, 광해光海 시時 현감懸監, 선시善詩 ㆍ85
김상용金尙容 자字 경택景澤 호號 선원仙源, 인조仁祖 시時 우상右相, 정축순절강도丁丑殉節江都 ㆍ87
채유후蔡裕後 자字 백장伯長 호號 호주湖洲, 인조仁祖 시時 판서判書 ㆍ87
신흠申欽 자字 경숙景叔 호號 상촌象村, 인조조仁祖朝 영상領相 ㆍ88
이정구李廷龜 자字 성휘聖徽 호號 월사月沙, 인조仁祖 시時 우의정右議政 ㆍ89
조한영曺漢英 자字 수이守而 호號 회곡晦谷, 인조仁祖 시時 참판參判 ㆍ90
장만張晩 자字 호고好古 호號 낙서洛西, 인조仁祖 시時 옥산부원군玉山府院君 ㆍ90
정충신鄭忠信 자字 가행可行, 인조仁祖 시時 부원수副元帥, 금남군錦南君 ㆍ90
이명한李明漢 자字 천장天章 호號 백주白洲, 인조仁祖 시時 이판吏判 ㆍ91
효종어제孝宗御製 ㆍ92
송시열宋時烈 자字 영보英甫 호號 우암尤庵, 효종孝宗 시時 좌상左相 ㆍ93
산중신곡山中新曲 ㆍ94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 ㆍ95
견회요遣懷謠 ㆍ97
김육金堉 자字 백후伯厚 호號 잠곡潛谷, 효종孝宗 시時 영상領相 ㆍ98
이간李侃 자字 화숙和叔 호號 최락당最樂堂, 낭원군郎原君, 효종孝宗의 당숙堂叔 ㆍ98
적성군積城君 ㆍ99
허정許珽 자字 중옥仲玉 호號 송호松湖, 효종孝宗 시時 승지承旨, 선가곡善歌曲 ㆍ99
정두경鄭斗卿 자字 군평君平 호號 동명東溟, 현종顯宗 시時 참판參判 ㆍ100
강백년姜柏年 자字 숙구叔久 호號 설봉雪峰, 현종顯宗 시時 판중추判中樞 ㆍ101
남구만南九萬 자字 운로雲路 호號 약천藥泉, 숙종조肅宗朝 영상領相 ㆍ101
구지정具志禎, 현종肅宗 시時 목사牧使 ㆍ101
신정하申靖夏 자字 정보正甫 호號 서암恕庵, 숙종肅宗 시時 교리校理 ㆍ102
김창업金昌業 자字 대유大有 호號 노가재老稼齋, 숙종肅宗 시時 진사進士 불사不仕 ㆍ103
유천군儒川君 명名 정濎, 선조宣祖의 증손曾孫, 숙종肅宗 시時 인人 ㆍ103
이택李澤 자字 운몽雲夢, 숙종肅宗 시時 병사兵使 ㆍ104
유혁연柳赫然 자字 회이晦爾 호號 야당野堂, 숙종肅宗 시時 훈련대장訓鍊大將 ㆍ104
윤두서尹斗緖 자字 효언孝彦 호號 공재恭齋, 숙종肅宗 시時 진사進士 ㆍ104
유숭兪崇 자字 원지元之, 숙종肅宗 시時 참판參判 ㆍ105
이정섭李廷燮 자字 계화季和 호號 저촌樗村, 숙종肅宗 시時 부솔좌랑副率佐郞 명가名歌 ㆍ106
장현張炫, 숙종肅宗 시時 역관譯官 명가名歌 ㆍ106
주의식朱義植 자字 도원道源 호號 남곡南谷, 숙종肅宗 시時 칠원현감漆原縣監 ㆍ107
김유기金裕器 자字 대재大哉, 숙종肅宗 시時 명가名歌 ㆍ108
김성기金聖器[기基] 자字 자호子湖 호號 조은釣隱 또는 어은漁隱, 숙종肅宗 시時 인人 ㆍ109
조현명趙顯命 자字 치회稚晦 호號 귀록歸鹿, 영조英祖 시時 영상領相 ㆍ110
이유李渘 호號 소악루小岳樓, 숙종肅宗 시時 현감懸監 ㆍ110
이재李在, 영조英祖 시時 서윤庶尹 ㆍ110
조명리趙明履 자字 중례仲禮 호號 도천道川, 영조英祖 시時 예판禮判 ㆍ111
이정보李鼎輔 자字 사수士受 호號 삼주三洲, 영조英祖 시時 이판吏判, 월사오세손月沙五世孫 ㆍ112
김천택金天澤 자字 백함伯涵 호號 남파南坡, 숙종肅宗 시時 포교捕校 명가名歌 영조英祖 사년四年[1728一七二八] 청구영언靑丘永言 수백여결數百餘闋 수집蒐輯 ㆍ117
김천택金天澤 1 ㆍ118
김수장金壽長 자字 자평子平 호號 노가재老歌齋, 숙종肅宗 시時 기성서리騎省書吏, 명가名歌 영조英祖 삼십구년丗九年[1763一七六三] 해동가요海東歌謠 백사십구장百四十九章 수집蒐輯 ㆍ119
이정신李廷藎 자字 집중集仲 호號 백회옹百悔翁, 영조英祖 시時 인人 ㆍ124
이정진李廷鎭, 영조英祖 시時 현감縣監 조태억서趙泰億婿 ㆍ125
송계연월松桂烟月, 영조英祖 시時 인人 ㆍ125
김우규金友奎 자字 성백聖伯, 명가名歌 ㆍ126
임의직任義直 자字 백형伯亨, 명금名琴 ㆍ127
김시경金時慶 ㆍ127
춘앵무사春鶯舞詞 ㆍ128
익종예제翼宗睿製 ㆍ128
김민순金敏淳 자字 신여愼汝 호號 매월송풍梅月松風, 순조純祖 시時 현감縣監, 名歌명가 ㆍ129
박효관朴孝寬 자字 경화景華 호號 운애雲崖, 근세인近世人 명가名歌 고종高宗 십삼년十三年[1876一八七六] 가곡원류歌曲源流[일명一名 해동악장海東樂章] 편집編輯 ㆍ130
매화사梅花詞 제육第六 ㆍ131
매화사梅花詞 제칠第七 ㆍ131
안민영安玟英 ㆍ132
궁녀宮女 ㆍ141

명시조감상名時調鑑賞 ㆍ157
서문序文 ㆍ161
현대시조편現代時調篇
사비성泗泚城에서 ㆍ163
달 ㆍ164
진달래 ㆍ167
앉은뱅이 ㆍ167
할미꽃 ㆍ168
개나리 ㆍ168
시름 ㆍ170
석굴암石窟庵 ㆍ173
해방전解放前 ㆍ175
부르심 ㆍ176
푸른 하늘 ㆍ179
매화사삼첩梅花詞三疊 ㆍ182
근음삼수近吟三首 ㆍ185
「곤충구제昆虫九題」 중中에서 ㆍ187
시름 ㆍ190
단풍丹楓 ㆍ192
바람 ㆍ194
석류石榴 ㆍ197
아는 이는 알리라 ㆍ201
노래 ㆍ203
오목대梧木臺 ㆍ204
너를 보내고 ㆍ207
춘일春日 ㆍ209
애화哀話 ㆍ210
정은 어찌 남어 ㆍ213
밤거리를 ㆍ214
달밤에 ㆍ214
병실病室 이二 ㆍ217
영어囹圄 이二 ㆍ219
이단異端의 노래 삼三 ㆍ221
해바라기처럼 사四 ㆍ225
비 ㆍ226
머언 생각 ㆍ228
맥령麥嶺 ㆍ230
구름 ㆍ232
물소리 ㆍ234
다보탑多寶塔 ㆍ236
십일면관음十一面觀音 ㆍ238
옥적玉笛 ㆍ241
청자부靑磁賦 ㆍ243
궁거워 ㆍ245
다도해多島海 ㆍ247
서해상西海上의 낙조落照 ㆍ249
춘일장금春日長吟 ㆍ252

고시조편古時調篇
춘산春山에 눈 녹인 바람 ㆍ256
한 손에 ㆍ257
이호梨花에 월백月白하고 ㆍ259
구름이 무심無心탄 말이 ㆍ262
이 몸이 죽어 죽어 ㆍ265
백설白雪이 자자진 골에 ㆍ268
대추 볼 붉은 골 ㆍ272
삭풍朔風은 나모 끝에 불고 ㆍ275
수양산首陽山 바라보며 ㆍ278
창窓안에 혓는 촉불 ㆍ282
가마귀 ㆍ284
간밤에 ㆍ285
이시렴 부듸 갈다 ㆍ286
장검長劔을 빠혀들고 ㆍ288
추강秋江에 밤이 드니 ㆍ291
어부가漁父歌 ㆍ294
마음이 어린 후니 ㆍ298
황국가黃菊歌 ㆍ301
치사가致仕歌 ㆍ304
꽃이 진다 하고 ㆍ307
두류산頭流山 ㆍ310
자연가自然歌 ㆍ313
어져 내일이여 ㆍ316
내 언제 신信이 없어 ㆍ319
동짓달 기나 긴 밤 ㆍ321
도산곡陶山曲 ㆍ324
재 넘어 성권농成勸農 집의 ㆍ328
내 양자 남만 못한 줄 ㆍ330
한 잔 먹새그녀 ㆍ333
한우寒雨에게 ㆍ336
조홍시가早紅柿歌 ㆍ339
이화우梨花雨 흩날릴 제 ㆍ342
묏버들 갈해 걲어 ㆍ345
노래 삼긴 사람 ㆍ348
님이 혜오시매 ㆍ351
잔 들고 혼자 앉아 ㆍ353
압록강鴨綠江 해진 날에 ㆍ356
강호江湖에 노는 고기 ㆍ359
화개동花開洞 북록하北麓下에 ㆍ363
일신一身이 사자하니 ㆍ365

잡지 시조선 ㆍ369
고시조선古時調選 ㆍ371
평시조平時調
여조麗朝 우탁禹倬 ㆍ373
이조년李兆年 ㆍ373
이존오李存吾 ㆍ373
정몽주鄭夢周 ㆍ374
길재吉再 ㆍ374
원천석元天錫 ㆍ374
이색李穡 ㆍ374
이조태종어제李朝太宗御製 ㆍ375
정도전鄭道傳 ㆍ375
황희黃喜 ㆍ375
김종서金宗瑞 ㆍ375
성삼문成三問 ㆍ376
이개李塏 ㆍ376
유응부兪應孚 ㆍ376
원호元昊 ㆍ377
왕방연王邦衍 ㆍ377
성종어제成宗御製 ㆍ377
황국가黃菊歌 ㆍ377
치사가致仕歌 ㆍ378
면앙정잡가俛仰亭雜歌 제이第二 ㆍ378
면앙정단가俛仰亭短歌 제칠第七 ㆍ379
김정구金鼎九 ㆍ379
조식曺植 ㆍ380
송인宋寅 ㆍ380
서경덕徐敬德 ㆍ380
농암가聾岩歌 ㆍ381
어부가漁父歌 ㆍ381
도산곡陶山曲 ㆍ381
도임사수원사작단가悼林士遂寃死作短歌 ㆍ382
임진林晉 ㆍ382
황진이黃眞伊 ㆍ383
김현성金玄成 ㆍ384
헌근가獻芹歌 ㆍ384
고산구곡표가高山九曲漂歌 제이第二 ㆍ384



고산구곡표가高山九曲漂歌 제삼第三 ㆍ385
선조어제宣祖御製 ㆍ385
진풍연헌만수산가進豊宴獻萬壽山歌 ㆍ385
모부인수연가母夫人壽宴歌 ㆍ386
양응정梁應鼎 ㆍ389
이양원李陽元 ㆍ389
춘산곡春山曲 ㆍ389
서익徐益 ㆍ389
이덕형李德馨 ㆍ390
이항복李恒福 ㆍ390
한우가寒雨歌 ㆍ390
임제林悌 ㆍ391
박인로朴仁老 ㆍ391
한호韓濩 ㆍ391
이순신李舜臣 ㆍ391
이정구李廷龜 ㆍ392
이원익李元翼 ㆍ392
홍적洪迪 ㆍ392
홍랑洪娘 ㆍ392
한우寒雨 ㆍ393
송이松伊 ㆍ393
매화梅花 ㆍ393
매창梅窓 ㆍ393
명옥明玉 ㆍ394
성천기成川妓 ㆍ394
구지求之 ㆍ394
유천군儒川君 ㆍ394
율리유곡栗里遺曲 ㆍ395
김상헌金尙憲 ㆍ396
장만張晩 ㆍ396
신흠申欽 ㆍ396
강백년姜栢年 ㆍ397
조한영曺漢英 ㆍ398
김육金堉 ㆍ398
적성군積成君 ㆍ398
효종어제孝宗御製 ㆍ398
산중신곡山中新曲 ㆍ399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 ㆍ400
유회요遺懷謠 ㆍ400
윤선도尹善道 ㆍ401
낭원군朗原君 ㆍ401
송시열宋時烈 ㆍ402
남구만南九萬 ㆍ402
윤두서尹斗緖 ㆍ402
장현張炫 ㆍ402
신정하申靖夏 ㆍ403
김창업金昌業 ㆍ403
김유기金裕器 ㆍ404
김성기金聖器 ㆍ404
조현명趙顯命 ㆍ404
이재李在 ㆍ404
이유李渘 ㆍ405
조명이趙明履 ㆍ405
윤선도尹善道 ㆍ405
이언적李彦迪 ㆍ406
이정보李鼎輔 ㆍ406
김천택金天澤 ㆍ408
김수장金壽長 ㆍ409
박효관朴孝寬 ㆍ411
운애산방매화사雲崖山房梅花詞 제육第六 ㆍ411
이하以下 작자미상作者未詳 ㆍ411

엇시조旕時調
자연가自然歌 ㆍ417
채유후蔡裕後 ㆍ417
운애산방매화사雲崖山房梅花詞 제7第七 ㆍ417
궁녀宮女 ㆍ418
이하以下 작자미상作者未詳 ㆍ418

사설시조辭說時調
장진주사將進酒辭 ㆍ420
정철鄭澈 ㆍ420
이정보李鼎輔 ㆍ420
오경화吳慶華 ㆍ421

[부록] 시조선집 상세목록 ㆍ42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