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중국 근대 사상문화사

중국 근대 사상문화사

  • 사카모토 히로코
  • |
  • 빈서재
  • |
  • 2026-02-28 출간
  • |
  • 400페이지
  • |
  • 128 X 188mm
  • |
  • ISBN 9791198765277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근현대 중국사상사 고전/사료 소개
공자개제고 ㅣ 캉유웨이 / 세창출판사
대동서 ㅣ 캉유웨이 / 을유문화사
신민설 ㅣ 양계초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음빙실자유서 ㅣ 량치차오 / 푸른역사
정치학이란 무엇인가ㅣ 옌푸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천두슈 사상선집 ㅣ 천두슈 / 산지니
신청년의 신문학론 ㅣ 후스·천두슈 / 한길사
중국문학 50년 - 1872-1922 ㅣ후스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채원배의 중국윤리학사 | 채원배 / 새문사
마오쩌둥 : 실천론·모순론 | 마오쩌둥 / 프레시안북
루쉰 전집 | 루쉰 / 그린비


근현대 중국사상사 연구서 소개
중국근대사상사론 | 리쩌허우 / 한길사
번역과 중국의 근대 | 쩌우전환 / 궁리
근대 중국사상사 약론 | 천샤오밍, 단스롄, 장융이 / 그린비
중국정치사상사 | 김영민 / 사회평론아카데미
중국근현대사 | 요시자와 세이이치로 / 삼천리
중국근대철학사 | 알프레드 포르케 / 예문서원
중국의 근대 혁명과 전통 사상 사이에서 - 유사배 평전 | 사가 다카시 / 경인문화사
중국 근대 미디어와 소설의 시대 | 김수연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량치차오 평전 | 셰시장 / 글항아리
량치차오 : 문명과 유학에 얽힌 애증의 서사 | 이혜경 / 태학사
옌푸 : 중국의 근대성과 서양 사상 | 양일모 / 태학사
근현대 중국의 지식인들 - 인간을 묻다 | 이은상 외 /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제국주의 담론과 동아시아 근대성 | 차태근 / 소명출판
20세기 중국의 지식인을 말하다 | 쉬지린 / 길

목차

차 례 . . . . . . . . . . . . . . . . . . . . . . . 6
시작하며 . . . . . . . . . . . . . . . . . . . . . 13

제 I 편 청조말기와 초기 글로벌화 19
제 1 장 전근대 사상사의 조망 . . . . . . . . . 21

제 2 장 서양문명과의 조우로부터 양무로 - 교육 ·
출판의 정비 . . . . . . . . . . . . . . 31
2.1 프로테스탄트의 활동과 출판, 서학 . . . . . 32
2.2 궁쯔전 ·웨이위안 ·쉬지위와 아편전쟁 . . . 35
2.3 태평천국의 포교와 진압 . . . . . . . . . . 39
2.4 개항 후의 미디어와 위생 의료 . . . . . . . 42
2.5 양무와 근대교육의 태동 . . . . . . . . . . 45
2.6 상하이의 상업신문 . . . . . . . . . . . . 48
2.7 막료의 활약과 중체서용론 . . . . . . . . . 52
2.8 펑구이펀과 쉐푸청 . . . . . . . . . . . . 53
2.9 왕타오 ·정관잉 ·마젠중 . . . . . . . . . . 55

제 3 장 변법운동 시기 전통의 창조 . . . . . . 61
3.1 변법과 캉유웨이의 대동 유토피아 ·진화론 . 61
3.2 강학회와 기관지 . . . . . . . . . . . . . 64
3.3 『시무보』와 량치차오 . . . . . . . . . . . 66
3.4 탄스통의『인학』과 후난의 신정 . . . . . . 68
3.5 옌푸와 번역 -『천연론』. . . . . . . . . . 73
3.6 양원후이와 청말 거사불교 . . . . . . . . . 78
3.7 전족 비판 운동 - 신체의 근대화로 . . . . . 80
3.8 변법유신과 그 좌절 . . . . . . . . . . . . 82

제 4 장 청말 입헌준비와 민족/공화혁명 . . . . 85
4.1 량치차오의 역사 ·민족 ·국민관 . . . . . . 86
4.2 과거의 폐지와 교육개혁 . . . . . . . . . . 90
4.3 혁명단체의 대두 . . . . . . . . . . . . . 92
4.4 거아운동,『소보』사건과 혁명파 - 상하이 ·도쿄 . . . . 94
4.5 황제신화 ·황종과 인류관 사건 . . . . . . . 99
4.6 중국 본토의 미디어 활성화 . . . . . . . . 103
4.7 『신민총보』와 중국동맹회『민보』의 지면 논쟁 105
4.8 청조의 입헌 준비와 출판계의 활황 . . . . . 112
4.9 쑨원 - 이동형 혁명 정치가 . . . . . . . . 115
4.10 장빙린의 개(個)와 민족, ‘국수’ . . . . . . 117
4.11 문자개혁의 태동 . . . . . . . . . . . . . 121
4.12 추진과 여성 혁명가상의 창조 . . . . . . . 122
4.13 혁명연습 - 심신과 젠더 . . . . . . . . . . 126
4.14 우창기의, 신해혁명과 ‘허군공화정체’론 . . 131

제 II 편 중화민국과 신문화의 조류 135
제 5 장 ‘공화국’의 성립 - 혼돈에서 5 · 4신문화운동으로 . . . . 137
5.1 쑨원의 난징정부, 임시약법 . . . . . . . . 137
5.2 위안스카이의 베이징정부 . . . . . . . . . 142
5.3 1차 세계대전과 제정 ·복벽 . . . . . . . . 145
5.4 민국 초기의 교육 . . . . . . . . . . . . . 148
5.5 민국 초의 신문계 . . . . . . . . . . . . . 152
5.6 혁명의 좌절과 각오 - 천두슈『신청년』, 5 · 4시기의 신문잡지 . .. . 155
5.7 문학혁명과 후스, 5 · 4문학과 루쉰 형제 . . 158
5.8 문자개혁 ·국어통일의 모색 . . . . . . . . 164
5.9 교육혁신과 차이위안페이, 듀이 . . . . . . 167
5.10 윤리혁명과 연애 신성 . . . . . . . . . . . 169
5.11 ‘노공신성’과 아나키즘 . . . . . . . . . . 172
5.12 5 · 4운동 - 공리와 강권 . . . . . . . . . . 177
5.13 ‘주의’ ‘연구’ 논쟁과 신문화비판 . . . . . . 181
5.14 국공 양당의 탄생과 코민테른 . . . . . . . 187
5.15 여성해방 ·산아제한 ·우생사상 . . . . . . . 194
5.16 동서문화 ·과현(科玄) 논쟁 . . . . . . . . 201
5.17 국공합작, 국민혁명 . . . . . . . . . . . . 213
5.18 교육개혁에서 평민 ·향촌 교육운동으로 . . 218
5.19 포스트 5 · 4신문화의 새로운 대립 . . . . . 221
5.20 우생학 논쟁 . . . . . . . . . . . . . . . 224

제 6 장 난징 국민정부 시기의 문화건설 . . . . 229
6.1 국공합작의 붕괴, 난징 통일정부의 성립 . . 229
6.2 국민의 신체와 전족의 해방 . . . . . . . . 232
6.3 국민당의 「삼민주의」 . . . . . . . . . . . 235
6.4 교육제도 재편 ·아카데미즘의 구축으로 . . 239
6.5 국어를 향하여 . . . . . . . . . . . . . . 245
6.6 중국공산당의 방황과 중화 소비에트 . . . . 247
6.7 훈정 비판과『신월』인권파 . . . . . . . . 250
6.8 만주사변과 안내양외 . . . . . . . . . . . 253
6.9 민족부흥론과『독립평론』. . . . . . . . . 257
6.10 중국사회 성질 ·사회사 논전 . . . . . . . . 264
6.11 신생활운동 - 신체 ·생활의 근대화와 신복고 268
6.12 ‘중국본위문화’와 ‘전면서양화’론 . . . . . . 270
6.13 향촌건설 . . . . . . . . . . . . . . . . . 275
6.14 대도시의 출현 . . . . . . . . . . . . . . 277
6.15 신사회층과 신여성 ·모던 걸 . . . . . . . . 282
6.16 좌익문예와 근대 연극과 영화 . . . . . . . 286

제 7 장 항일전쟁 시기 이후의 문화와 사상논전 . . 291
7.1 중일전쟁의 전면화와 항일 통일전선 . . . . 291
7.2 일본의 문화침략과 중화전국문예계항적협회 293
7.3 대학의 소개와 저우쭤런의 잔류 . . . . . . 300
7.4 항일 민족주의와 현대 신유가 . . . . . . . 302
7.5 마오쩌둥의 혁명전쟁 철학과 신민주주의론 . 305
7.6 항일 근거지, 정풍운동과 옌안문화 . . . . . 309
7.7 항일 전쟁과 여성 . . . . . . . . . . . . . 315
7.8 전시의 입헌 요구 . . . . . . . . . . . . . 319
7.9 장제스와 마오쩌둥의 ‘전후’ 전망 . . . . . . 320
7.10 항일전 승리와 ‘민주 ·평화’ ·내전 . . . . . 323
7.11 항일전 이후의 중간노선 . . . . . . . . . . 329
7.12 추안핑의『관찰』 . . . . . . . . . . . . . 332
7.13 토지 개혁과 공산당의 승리 . . . . . . . . 339
7.14 중화민국의 분해와 마오쩌둥의 ‘인민민주독재’ 343

제 III 편 전망 351
제 8 장 중화인민공화국의 전망 . . . . . . . . 353
8.1 청말과 민국을 통하여 . . . . . . . . . . . 353
8.2 사회진화론과 중국의식 . . . . . . . . . . 354
8.3 입헌 지향과 그 비판의 흐름에서 . . . . . . 356
8.4 윤리혁명 ·범노동주의 ·젠더 ·정풍운동 . . . 358
8.5 중화인민공화국 . . . . . . . . . . . . . . 360
8.6 ‘미 ·소 냉전’ 구조 아래에서 출발한 건국사업 361
8.7 사상 ·문화 통제, 농업의 집단화와 대약진, 중-소 관계 악화 . . . . 363
8.8 간체자 ·병음 ·보통화 . . . . . . . . . . . 366
8.9 마오쩌둥과 문화대혁명 . . . . . . . . . . 367
8.10 ‘하늘의 절반을 떠받친다’ - 젠더 . . . . . . 370
8.11 문혁의 종언과 개혁개방 정책 . . . . . . . 372
8.12 천안문 사태와 이후 고도시장경제 발전 . . . 376
8.13 덩샤오핑의 남순강화와 시장경제의 고속발전 378
후기와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38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