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데이터 저장이 주 용도인 메모리반도체와는 다르게 여러 기능을 단일 칩에 통합하여 경제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IT융합 제품에서 센서와의 조합을 통해 외부 환경을 스스로 탐지하고 판단하여 필요한 작업을 자율적으로 실행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 AI반도체산업 분야는 다른 산업들보다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해왔다. 국내외 기업들은 기존 CPU와 같은 반도체처럼 일을 순서대로 처리하는 직렬방식이 아닌 AI 연산에 특화된 반도체를 개발해 AI 학습에 필요한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의 발표에 따르면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153억 달러(20조 4,300억 원)에서 2024년에는 약 428억 달러(57조 1,600억 원)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 해외 주요기업은 전자 부품, 자동차,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첨단 반도체 기술을 개발하고 있고, 전력 밀도 극대화, 고성능 컴퓨팅, 5G 통신, 3nm 노드 프로세서 대량 생산 등을 통해 성능 향상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은 모바일, 자동차, 디지털 이미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품 라인을 다각화 중이고, 첨단공정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에 투자하고 소비자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입지를 확대 중이다. 또한 국내 중소기업은 멀티미디어 영상신호처리, AI반도체, 통신칩 등 특화된 기술 개발로 틈새시장 공략에 주력하고 있으며, 자동차, 데이터 센터, IoT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신흥 분야에서 혁신을 가속화하
고 제품 제공을 확장하기 위해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 중에 있다.
☐ OMDIA의 자료에 따르면 시스템반도체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4.5%로 증가하며 ’22년 약 2,670억 달러에서 ’28년 3,48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이러한 성장세는 전 세계적으로 고성능 컴퓨팅(HPC)과 5G 네트워크의 확산에 따른 수요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 딥러닝 및 머신러닝과 같은 데이터 기반 기술의 발전은 고성능 프로세서와 AI 가속기 역할을 하는 시스템반도체의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
- 또한 가전, 헬스케어,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IoT 디바이스가 보급되면서,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반도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 차량용 반도체 기술의 집약체인 시스템반도체는 자율주행차의 두뇌 역할을 담당하며, 관련 시장의 성장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 5G 기술 확산은 고속 데이터 전송과 처리 능력을 요구하며, 이를 가능케 하는 시스템반도체 시장의 확장을 견인하고 있다.
☐ 한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 따르면 시스템반도체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4.5%로 증가하며 ’22년 약 11조 1,100억 원에서 ’28년 14조 5,0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글로벌 시장 대비 다소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지만, 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해 국내 산업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정부와 기업의 데이터 중심 경제 전략과 AI 기술 도입 가속화는 고성능 시스템반도체 수요를 창출하고 있으며,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와 데이터센터 구축의 확대가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한다.
- 자율주행 및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차량용 반도체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시스템반도체 시장의 세부 분야로서 자동차 전용 반도체가 국내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 제조, 의료, 에너지 등 전통 산업 분야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시스템반도체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 본 보고서는 시스템반도체 및 AI반도체 시장은 물론 각 분야별 전략품목에 해당하는 분야를 선별해 각각의 시장조사도 세심하게 하고 있다. 또한 반도체 소부장 시장분석 및 전망, 반도체 장비 핵심 분야 시장조사도 하였다. 또한 반도체/시스템반도체 분야 정부 신규지원 연구개발 지원요청서(RFP)도 함께 수록했다. 본 보고서가 필요한 곳에 널리 쓰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