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유익
1. 16-17세기 청교도 운동을 전체적으로 개관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다.
2. 청교도 운동이 어떻게 일어나고, 그들이 무엇을 주장했으며, 어떻게 쇠퇴했는지, 무엇이 아쉬웠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3. 한국교회가 왜 21세기에 16-17세기 잉글랜드 청교도를 알아야하는지 알 수 있다.
4. 종교개혁을 국가적으로 성공시켰던 스코틀랜드 존 녹스의 개혁운동과, 결과적으로 종교 개혁에 실패했던 잉글랜드 청교도들의 개혁운동을 비교하며 교훈을 얻을 수 있다.
5. 청교도 운동의 중추적 역할을 했던 존 오웬의 생애와 개인적인 회심기를 살펴볼 수 있다.
6. 존 오웬이 청교도 운동 안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 아쉬운 점은 무엇인지 살펴볼 수 있다.
7. 언약 신학을 중시한 청교도들이 발전시킨“교회 언약”을 통해, 기독교 정신으로 국가와 사회를 설계했던 청교도들의 교회관을 살펴볼 수 있다.
7. 미대륙 뉴잉글랜드에서의 장로교회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개관할 수 있다.
8. 신앙의 부흥과 회심을 경험했던 부모들이, 신앙의 쇠퇴기에 있는 자녀들에게 과연 교회 회원권을 어떻게 부여해야할지 고민했던 청교도들의 고민을 살펴볼 수 있다.
9. 청교도 운동에 대한 역사적 자료를 해석하는 3가지 관점을 소개받을 수 있다.
10. 세속화된 교회와 사회, 변질되고 왜곡된 신학을 자정하려 노력했던 청교도들을 통해, 오늘날 교회의 목회적 대안을 도움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