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CCUS 및 친환경공정전환 (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CCUS 및 친환경공정전환 (Ⅱ)

  • 산업동향연구소
  • |
  • 산업동향연구소
  • |
  • 2024-02-28 출간
  • |
  • 615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91512663
판매가

440,000원

즉시할인가

39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9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탄소중립 사회로 가는 과정과 방식은 국가마다의 에너지 수급구조, 경제구조와 성장전략, 그리고 정부의 추진의지와 국내외 여건변화에 대한 대응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그래서 주요 에너지 국제기구들이 최근에 발표한 글로벌 차원의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이행 시나리오와 주요 선진국(미국, 일본, EU, 독일, 프랑스, 영국)들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을 중국의 탄소중립 전략과 비교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제기구와 주요 선진국들은 글로벌 차원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조하고 있으며, 중국도 녹색 일대일로 전략과 같은 개도국의 탄소배출 감축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미국과 유럽은 탄소국경조정제도(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를 자국으로 수입되는 주요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려고 한다.
그리고 현재 미국은 중국으로의 첨단기술 유출·이전을 최대한 막으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데, 향후 청정에너지 기술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과의 마찰도 예상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 선진국의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 및 추진전략은 이들 정부가 발표한 장기저탄소개발전략(Low Emission Development Strategy)과 탄소중립 관련 법률 및 프로그램 등으로 이미 공개되어 있다. 또한 국제기구인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와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서도 글로벌 차원의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Net Zero by 2050)가 발표되었다(IPCC(2018), IEA(2021c)).

이에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저탄소 발전전략(LEDS, 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y)를 수립하기로 결정하였으며, LEDS 수립 단계부터 민간 전문가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기 위해 학계, 산업계, 시민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2050 저탄소 사회 비전 포럼’을 구성하고 다양한 205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비전을 검토하였다

이에, 당사는 탄소중립을 위한 CCUS 및 친환경에너지전환 등의 주요 이슈 등을 정리 분석하고, 관련된 핵심 유망 사업 분야를 조명하였으며, 주요 리딩 국가를 중심으로 산업 육성 지원정책 등을 조사하여, 마케팅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본서를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모쪼록, 본 보고서가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분뿐만 아니라, 관심을 갖고 계신 모든 분들의 업무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목차

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CCUS 기술동향
1. CCUS
1) 개요
(1) 개념
가. 정의
나. 필요성/시급성
(2) 구축 범위
가. 산업특징 및 구조
나. 대표적 분류 기준
다. 기술로드맵 전략품목 특정
2) 환경 분석
(1) 정책동향
가. 주요국 정책동향
① 미국
② EU
③ 일본
④ 중국
⑤ 그 외 국가
나. 국내 정책동향
① K-CCUS 추진단
② CCS 유망 저장소 발표
③ CCUS 기술 관련 지원 및 정책
(2) 산업여건 및 시장현황
가. 국내 산업여건
나.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다. 주요 업체동향
① 해외 업체
② 국내 업체
(3) 기술 및 표준화(규제) 동향
가.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술개발 동향
② 국내 기술개발 동향
나. 표준화(규제) 동향
(4) 환경분석 종합
3) 품목 로드맵
(1) 품목 후보군 도출 및 선정
가. 품목 후보군 도출
나. 전략품목 선정
다. 전략품목 정의서(안)
① 중·소형 CO2 포집 시스템
② CO2 화학전환 시스템
③ CO2 광물 탄산화 시스템
④ 탄소감축량 인증 플랫폼
⑤ CCU 활용 친환경 SAF 제조 시스템
⑥ DAC 연료생산공정 최적화 시스템
(2) 전략품목 로드맵 구축
2. 중·소형 CO2 포집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 동향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경쟁력 및 기술수명측정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특허 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정의서(안)
① CO2 포집 공정 최적화 기술
② CO2 포집 소재 성능 향상 기술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3. CO2 화학 전환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 동향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경쟁력 및 기술수명측정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정의서(안)
① 신재생 에너지 연계 탄화수소 생산 기술
② 전기화학 CO2 직접 전환 기술
③ CO2 화학적 폴리머 생산 기술
④ CO2 활용 친환경 원료 생산기술
⑤ 유기성 폐자원 연계 CO2 화합물 합성 기술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4. CO2 광물 탄산화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 동향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경쟁력 및 기술수명측정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분석
다. 기술집중력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특허 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정의서(안)
① 칼슘 기반 광물탄산화·CO2 활용 생산 기술
② CO2 양생 건설 소재 공정 기술
③ 고순도 PCC 제조 기술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5. 탄소감축량 인증 플랫폼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분석
(1) 특허 동향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경쟁력 및 기술수명측정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분석
다. 기술집중력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정의서(안)
① CO2 모니터링 기술
② 국제적 CCUS 탄소감축량 산정 기술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6. CCU 활용 친환경 SAF 제조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 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분석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정의서(안)
① CCU 기반 e-SAF 제조 공정 최적화 기술
② 바이오매스 활용 SAF 제조 기술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7. DAC 연료생산공정 최적화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 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분석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정의서(안)
① 공기중 CO2 직접 포집 기술
② CO2 전환 촉매용 재생에너지 활용 기술
③ 합성가스 촉매반응 활용 연료 생산 기술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8. 섹터 커플링의 탄소중립 기여도 분석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방법
2) 연구내용 및 주요분석 결과
(1) 섹터커플링 활용 필요성 및 사례조사
(2) P2H 기술 및 사업 활성화 동인
(3) 순부하 추정 결과
(4) 에너지시스템 모형 분석 결과
3)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3) 한계점
Ⅱ. 국내 탄소중립 관련 정부정책
1. 2025년 환경부 주요정책 추진계획
1) 기후위기 걱정없는 「민생·안전」
(1) 새로 짜는 범부처 기후위기 적응대책
(2) 기후재난에 흔들리지 않는 탄탄한 물 관리 시스템
(3) 대기질·수질 오염으로부터 국민 안전 보호
2) 도전하며 성장하는 「탄소중립」
(1) 도전적 감축목표와 실현 가능한 액션플랜
(2) 산업·수송 등 부문별 맞춤형 대책으로 온실가스 감축 가속화
(3) 시장 메커니즘을 통한 녹색산업 견인
3) 전 국민이 혜택받는 「환경복지」
(1) 국민 일상을 지키는 환경 안전망 구축
(2) 국토의 자연 생태적 가치 증진 및 폭넓은 향유 기반 마련
(3)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환경서비스
2.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조사 및 분석결과
(1) 탄소중립 이행과 에너지 전환
가. 에너지안보와 에너지 전환
나. 최근 에너지 시장 특징 및 주요국의 대응
다. 국내 탄소중립 및 에너지안보 관련 정책
(2)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 대응에서의 주요 쟁점 분석
가.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나. 핵심광물 공급망
다.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를 위한 지원
(3)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 차원의 국제협력
가. 주요 쟁점별 국제협력
나. 주요 다자협력 쟁점 및 기회분석
3) 정책 제언
(1)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대외협력 강화
(2) 신에너지 기술 혁신 및 국제표준 수립 노력 강화
(3) 청정에너지 투자 촉진과 개도국 지원 확대
Ⅲ. 주요국 탄소중립 관련 산업동향 및 정책현황
[1] 미국
1.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기후변화・에너지 분야 정책변화 전망 및 시사점
1) 개요
2) 각 정권별 미국 기후변화・에너지 기술정책 방향 비교
(1) 트럼프 1기 행정부 (’17.1.~’21.1.)
(2) 바이든 행정부 (’21.1.~’25.1.)
(3) 트럼프 2기 행정부 (’25.1.~’29.1.)
3) 결론 및 시사점
2. 미국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산업 동향 및 전망
1) 미국 탄소포집·활용·저장 산업 동향 및 전망
(1) 최근 정책동향
(2) 산업 동향
가. 원포인트파이브사社 DAC 프로젝트
나. HIF 글로벌社 e퓨얼 생산 프로젝트
다. 미셸 시멘트 공장 탄소저감 프로젝트
(3) 기회와 제한요인
가. 기회 요인
나. 제한 요인
2) 미국 탄소포집·활용·저장 산업 주요 기업 동향
(1) 엑슨모빌(Exxon Mobil)
가. 회사 개요
나. 탄소포집·활용·저장 산업 동향
(2) 원포인트파이브 (1Pointfive)
가. 회사 개요
나. 탄소포집·활용·저장 산업 동향
(3) 에어룸카본테크놀로지(Heirloom Carbon Technologies)
가. 회사 개요
나. 탄소포집·활용·저장 산업 동향
(4) 카본엔지니어링(Carbon Engineering)
가. 회사 개요
나. 탄소포집·활용·저장 산업 동향
(5) 카본캡쳐(CarbonCapture Inc.)
가. 회사 개요
나. 탄소포집·활용·저장 산업 동향
(6) 글로벌서모스탯(Global Thermostat)
가. 회사 개요
나. 탄소포집·활용·저장 산업 동향
(7) 8리버스 (8 Rivers)
가. 회사 개요
나. 탄소포집·활용·저장 산업 동향
3) 미국 주별 탄소포집·활용·저장 산업 동향
(1) 텍사스주
(2) 루이지애나주
(3) 와이오밍주
(4) 일리노이주
4) 결론 및 시사점
(1) 미국 주요 탄소포집·활용·저장 관련 기업
(2) 미국 주요 탄소포집·활용·저장 관련 협회
3. 미국 CCS 기반 탈탄소 가치사슬 구축 현황
4. 미국 원자력 에너지 확대 목표 및 프레임워크 수립
[2] 중국
1. 중국의 탄소중립 정책 및 법제동향
1) 개요
(1) 중국의 주요 에너지원 현황
(2) 온실가스 감축을 둘러싼 중국과 주요국의 입장
(3) 중국의 탄소중립 선언
2) 중국 탄소중립 관련 주요정책
(1) 탄소중립 정책체계
가. 정책 배경 및 체계
나. 탄소중립 정책 이행 거버넌스
(2) 주요 정책
가. 신발전 이념 달성을 위한 탄소배출 정점과 탄소중립 업무에 관한 의견
나. 2030년 전까지 탄소배출 정점에 도달하기 위한 행동 방안
다. 국가 기후변화 적응 전략 2035
3) 중국 탄소중립 관련 주요 법제
(1) 개요
가. 입법 배경
나. 관련 법제 현황
다.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 관련 입법 계획
(2) 환경보호 관련 법제
가. 대기오염방지법
(3) 에너지 관련 법제
가. 재생가능에너지법
나. 에너지절약법
(4) 지방 조례
가. 톈진시 탄소배출 정점 및 탄소중립 촉진조례
4) 결론 및 시사점
2. 중국의 환경상태 변화 추이와 주요 환경정책 동향
1) 중국의 환경상태 변화 추이
(1) 대기질 변화 추이
가. 339개 도시의 연평균 대기질 변화 추이
나. 추동계(秋冬季) 대기오염 중점관리지역 PM2.5 농도변화 추이
(2) 담수 수질 변화추이
가. 지표수 수질 변화추이
나. 하천 수질 변화 추이
(3) 해양환경 변화추이
가. 황해 해수 수질 변화추이
나. 해양쓰레기 변화 추이
(4) 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추이
가. 에너지 소비 및 화력 발전 변화추이
나.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 추이
2) 중국의 주요 환경정책 동향
(1) 추진전략 및 주요정책
가. 시진핑 3기의 환경정책 종합 추진전략
나. 대기오염 종합관리정책
다. 물환경과 해양환경 주요 정책
라. 탄소중립 주요 정책
(2) 2024년 주요 환경정책
가. 2024년 중국 정부의 환경 분야 주요 업무
나. 2024년 환경 분야 신규 정책 및 입법 계획
3) 결론 및 시사점
3. 중국의 수소에너지와 CCUS 연계를 통한 탄소중립 대응 전략
1) 중국의 수소산업 동향
2) 중국 내 수소에너지 및 CCUS의 중요성
3) 결론 및 시사점
4. 「에너지 절약 및 탄소저감 액션플랜 2024~2025년」 발표
5. 2024년 중국의 탄소중립 달성 촉진 방안 검토
6. 중국의 신에너지차 산업 성장 현황
[3] 유럽(EU)
1. EU 집행위 ‘에너지 연합 보고서 2024’
1) 개요
2) 보고서 주요 내용
(1) 에너지 안보 및 경쟁력 강화
(2) 청정에너지 전환에서의 소비자 권한 부여
(3) 향후 전망
2. EU 탄소중립산업법의 주요내용
[4] 일본
1.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일본의 탄소중립정책 동향연구
1) 탄소중립의 정의 및 개요
(1) 탄소중립의 배경
가. UN기후변화협약의 주요 내용
나. 교토의정서의 주요 내용
다. 파리협정의 주요내용
라. 국제 탄소중립의 전망
(2) 탄소중립의 정의와 탄소중립정책의 범위
가. 탄소중립의 정의
나. 탄소중립정책의 범위
2) 글로벌 탄소중립 관련 동향
(1) 글로벌 탄소중립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중국
다. EU
라. 한국
3) 일본의 탄소중립정책 동향
(1) 일본 탄소중립정책 및 법률 동향
가. 아베 내각의 탄소중립정책
나. 스가 내각의 탄소중립정책 동향
다. 기시다 내각의 탄소중립정책
라. 「GX 추진법」과 「GX탈탄소전원법」
(2) 일본 탄소중립 세부정책
가. 일본의 탄소중립 현황
나. 에너지정책
(3) 일본의 중소기업 GX 정책
가. 일본 중소기업 GX의 현황
나. 중소기업 탄소중립 대처 사례
(4) 한일 탄소중립 현황 비교분석 및 시사점
가. 한일 탄소중립 정책 비교
나. 한국에의 시사점
다. 한국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제언
2. 일본 중소기업의 탄소중립과 지방은행의 역할
3. 일본 에너지절약・비화석 에너지 전환 기술전략 2024(안)
[5]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 동향
1) 전 세계 탄소가격제도 도입 및 운영 현황
2) 자발적 탄소시장의 세계 수요
3) 자발적 탄소시장의 현안 과제
4) 자발적 탄소시장의 정책 시사점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