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여행자를 위한 도시 인문학, 군산

여행자를 위한 도시 인문학, 군산

  • 신정일
  • |
  • 신아출판사
  • |
  • 2025-03-10 출간
  • |
  • 236페이지
  • |
  • 150 X 225mm
  • |
  • ISBN 9791194595229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과거는 지나간 장례식과 같고, 미래는 불청객처럼 온다. 미래를 알려거든 먼저 지나간 일을 살펴보라. 현재는 과거보다 더욱 나의 관심을 끈다. 과거를 슬프게 들여다보지 말라. 그것은 다시 오지 않는다. 현재를 슬기롭게 이용하라. 그것은 그대의 것이다. 남자다운 기상으로 두려워 말고 나아가 그림자 같은 미래를 막으라. 오늘의 일이 의심스럽거든 옛 역사에 비추어보라. 미래의 일을 알지 못하겠거든 과거에 비추어보라.”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노래한 바이런의 글과 같이 지나간 역사와 지금의 현재가 충돌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고 있는 군산 지역을 흐르는 강이 금강이다.

“산은 높고 물은 길다”는 산고수장의 고장 장수에서 시작된 금강의 물줄기가 진안 무주를 지나 충청도 땅을 감싸고 돌아 전라도 땅에 접어든다. 군산이 고향이고, 생의 마지막을 익산에서 맞이했던 채만식은 그의 소설 《탁류》에서 금강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이 강은 지도를 펴놓고 앉아 가만히 들여다보노라면 물줄기가 중등께서 남북으로 납작하니 째져 가지고는 그것이 아주 재미있게 벌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번 비행기라도 타고 강줄기를 따라가면서 내려다보면 또한 그럼직할 것이다.
저 준험한 소백산맥이 제주도를 건너보고 뜀을 뛸 듯이, 전라도의 뒷덜미를 급하게 달리다가 우뚝… 높이 솟구친 갈재(노령)와 지리산의 산협 물을 받아 가지고 장수로 진안으로 무주로 이렇게 역류하는 게 금강의 남쪽 줄기다. 그놈이 영동 근처에서 다시 추풍령(秋風嶺)과 속리산의 물까지 받으면서 서북으로 좌향坐向을 돌려 충청 좌우도의 접경을 흘러간다…. 부여를 한바퀴 휙 돌려다 가는 남으로 꺽여 놀뫼(논산(論山)) 강경에까지 들이 닫는다.”

채만식이 《탁류》에서 묘사한 금강이 강경을 지나 전라도의 익산 땅으로 접어들어서 성당창과 웅포를 지나 나포에 이른다. 비단강이라고 이름 지은 금강은 다섯 성인의 자취가 남은 오성산과 한산 모시의 고장 서천 사이에 가로놓인 금강 하구둑 에서 강으로서의 생애를 마무리 하고 서해로 들어간다.

완주 거쳐 익산과 군산이라는 도시를 흘러 바다에 가 닿는 만경강은 또 어떤가. 완주군 동상면 사봉리에서 비롯된 만경강이 고산과 봉동, 삼례의 비비정을 지나서 춘포에 이르고 오산면의 목천포를 지나 군산과 김제 사이를 가로지른 새창이 다리에 이른다.
그곳에서 강을 수놓은 갈대 잎 사이를 헤집고 진봉면 심포리의 망해사에서 몸을 풀던 만경강이 새만금 간척 사업에 가로막혀 새만금 방조제를 지나야 서해에 이른다.

금강과 만경강 사이에 자리 잡은 도시, 군산은 먼 옛날은 백제의 땅이었다.
하지만 신라에 병합된 이후 공주나 부여와 마찬가지로 역사의 뒤안길에 들어갔다가 견훤이 `후백제를 세우면서 새롭게 용트림을 했다. 그러나 후백제도 삼한통일의 대업을 이루지 못하고 고려의 왕건에게 합병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 이전, 고려 말에 군산의 하구인 진포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최무선의 진포대첩의 현장이 군산이고, 이 싸움이 이성계가 왜구를 크게 무찌른 황산대첩의 실마리를 제공했다.
군산은 조선 후기인 1989년에 나라 안에서 일곱 번째로 개항이 되었다. ‘개항(開港)’이란 말 그대로 ‘외국인이 왕래하고 무역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특별히 허용된 지역’이란 뜻이다. 1909년에 조선총독부의 전신인 조선통감부의 조사에 의하면 군산항의 전채 수출액 중 95퍼센트가 쌀이었다. 개항이 되면서 군산은 놀랍도록 변모를 했으나 정작 군산에 살고 있던 군산 사람들의 사람은 비참하기만 했다.
“급하게 경사진 언덕 비탈에 게딱지 같은 초가집이며 낡은 생철 집 오막살이들이 손바닥만한 빈틈도 남기지 않고 콩나물 길 듯 다닥다닥 주어 박혀 언덕이거니 짐작이나 할 뿐이다. 이러한 몇 곳이 군산의 인구 칠만 명 가운데 육만 명도 넘는 조선 사람들의 거의 대부분이 어깨를 비비면서 옴다옴닥 모여 사는 곳이다. 대체 이 조그만 군산 바닥이 이러한 바이면 조선 전체는 어떠한 곳인고, 이것을 생각해 보았을 때의 승재는 기가 탁 질렸다.”

채만식이 소설 《탁류》에서 언급한 것처럼 그 당시 군산의 인구 칠만 명 가운데 만 명의 일본인들이 군산의 중심가에서 살았고, 조선인들은 겨우겨우 살고 있었다.
해방이 되고, 한국 전쟁을 거쳤음에도 군산은 별로 변하지 않아서 1970년 말만 해도 두 집 건너 한집이 일본식 가옥이었으니 그 당시는 어떠했을까?

눈물 없이는 회상할 수 없는 일제강점기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오늘날의 군산 관광의 한 축이 되었으니, 역사란 얼마나 많은 비밀들을 숨겨 놓고 후대를 살아갈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는가를 추론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에 이른 군산, 먼 훗날에는 어떤 모습으로 변하고 또 변할 것인가를 생각하며, 고군산군도를 품고 있는 군산의 역사와 문화 속으로 천천히 들어가 보자.

목차

서문

1부
서해안의 큰 항구, 군산이라는 도시
일본으로 실려 가는 쌀로 인해 만들어진 전군 도로
군산의 옛 고을 임피
군산 발산초등학교의 불교 문화유산들
군산에서 가장 큰 농장주 구마모토 농장
최치원의 자취가 서린 자천대와 그 고향 군산
저 아름다운 고군산군도
명승으로 지정된 선유도 망주봉
서해바다에 외롭게 떠 있는 물 맑은 섬, 어청도
군산의 빵집, 이성당과 조화당 그리고 태극당

2부
군산진과 군산창을 아는가?
군산 신흥동 히로쓰 일본식 가옥(群山新興洞日本式家屋)과 여미랑
째보선창의 어제와 오늘
초원사진관과 영화 속 군산 이야기
군산에 남은 일본식 절 동국사
군산의 오래된 절 은적사와 천방산
최무선과 진포대첩
진포 해전의 영웅 최무선은 누구인가?
의병장 임병찬과 동학의 지도자 김개남
채만식과 《탁류》
군산 조선은행
3부
구 군산세관 본관(舊 群山稅關 本館)
대야 탑동마을 삼층 석탑과 옥구 들노래
군산 은파 호수공원
군산 월명공원
군산 오성산과 서시포
고은 시인의 고향, 군산
오송회 사건의 시인 이광웅
고향을 지키며 고향을 노래했던 이병훈 시인
군산의 이름난 중화요리집 빈해원과 복성루

4부
문화예술인들이 많이 태어난 도시, 군산
영화 배우 이은주의 고향 군산
역전의 명수, 군산상고를 기억하는가?
한국의 슈바이처로 알려진 이영춘 박사
군산의 적산가옥 중 대표적인 이영춘 가옥
군산의 오래된 절 상주사와 보천사
군산 경암동 철길 마을
군산과 김제 사이를 흐르는 새창이 다리와 망해사
새만금 사업의 역사와 전망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