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

  • 홍석모
  • |
  • 한국학자료원
  • |
  • 2025-03-20 출간
  • |
  • 158페이지
  • |
  • 155 X 265mm
  • |
  • ISBN 9791168879461
판매가

200,000원

즉시할인가

18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세시의 내용은 일반세시, 명절세시, 농경세시, 신앙세시, 음식세시, 놀이세시, 언어세시, 복식세시 등에 걸쳐 매우 다양하다. 신앙세시에는 민간신앙을 중심으로 기원, 금기가 포함되어 있고, 언어세시에는 속신과 속담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항목으로 보아 신앙세시와 음식세시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시기로는 정초와 정월대보름 중심의 정월 세시가 가장 분량이 많다.

『동국세시기』에는 수많은 국내외 문헌과 지역의 사례가 나타난다. 중국 문헌이 40여 편에 이를 정도로 많다. 빈도로 보면 송나라 여원명(11~12세기)의 『세시잡기(歲時雜記)』, 양나라 종름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6세기), 유가의 경전인 『예기(禮記)』의 월령(月令), 송나라 맹원로(孟元老)의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1147), 명나라 유동 · 우혁정의 『제경경물략(帝京景物略)』 등의 순이다. 국내 문헌은 10편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적은데,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峯類說)』(1614), 노사신 등이 편찬한 『여지승람(輿地勝覺)』(15세기, 동국여지승람), 『고려사』 등이 2회 이상 인용되었다. 가장 많이 인용한 유득공의 『경도잡지』(1796)는 굳이 인용 표기를 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중국 문헌의 인용이 많이 나타나는 것은 세시의 연원을 밝히거나 조선과 중국의 세시를 비교하기 위한 의도로 파악된다. 그리고 중국 자료에 비해 국내의 세시 자료가 적은 것도 국내 인용 자료가 적은 이유라고 판단된다.

그에 비해 국내의 각 지방, 각 관청의 사례는 매우 풍부하다. 특히 서울, 제주, 경주에 대한 풍속이 많으며, 지역별로 충청도, 함경도, 평안도에 대한 풍속이 자주 나오지만, 상대적으로 전라도에 대한 풍속은 적은 편이다. 구체적인 인용 지명으로 안동, 강릉, 춘천, 풍기, 상주, 진주, 보은, 고성, 통영, 해주, 보은, 광주(廣州) 등이 나타난다. 특히 ‘우리나라 풍속(東俗)’, ‘사대부[士大夫家, 卿士家]의 풍속’이란 표기가 여러 번 나오며, 시대별로 ‘고려풍속’, ‘조선풍속’이란 표기도 나온다. 관청의 경우에는 ‘내의원’, ‘관상감’의 풍속이 서너 번 나오며, ‘각 관청’, ‘대궐안’이란 표기도 나온다. 특히 민간의 ‘떡집’, ‘술집’, ‘항간(巷間)’의 풍속도 수차례 나온다.

이처럼 전반적으로 다양한 사례를 객관적으로 서술하였으며, 본인이 익히 알고 있는 내용은 굳이 인용 표시를 하지 않았다. 한편 편찬자인 홍석모의 주관적 생각을 담은 “생각컨대(按)”의 표기도 몇 차례 나타난다.

이 책은 최초의 세시기인 유득공의 『경도잡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전반적인 체재를 받아들이고,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거나 일부 보완 · 첨가했다. 시기별로 2030년 간격으로 출간된 유득공의 『경도잡지』와 문체반정의 핵심 인물인 김려의 「상원이곡」(18171819), 그리고 홍석모의 『동국세시기』(1849)의 상원 부분을 비교하면 상호 영향 관계가 나타난다. 이 3편은 일반세시, 농경세시, 음식세시 등은 1~2종목을 제외하고 별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놀이 부분에는 큰 차이가 있다. 『경도잡지』 상원의 놀이는 석전, 연날리기의 2종목인데, 「상원이곡」에는 널뛰기, 윷놀이, 교현을 첨가해 5종목으로 늘었으며, 『동국세시기』에는 널뛰기와 윷놀이가 제석부터 정초 세시로 옮기고, 대신 팔랑개비, 고고매, 동전치기, 횃불싸움, 줄다리기, 차전놀이, 놋다리밟기, 원놀이 등의 8종목이 추가되어 전부 10종목으로 늘었다. 이런 점을 살펴보면, 『동국세시기』는 조선 후기 세시기 중에 가장 내용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이런 점에서 조선 후기의 민간과 상층의 시대적 생활상이 총체적으로 정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목차

이 도서는 목차가 없습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