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주권론’
창조주권이란 “창조하는 본성을 타고난 주체가 스스로 창조하는 권한이자 능력”을 말한다. 저자는, 천인합일의 동아시아 기학氣學(최한기)에 바탕한 창조주권이 신과 인간 사이의 차등을 전제로 한 서구의 천부인권과 대조됨을 보인다. 이로써 유럽문명의 자연법 관념을 전복시키며, 정치주권(국민주권), 시민의식을 창조주권과 비교하여 창조주권론으로 탈근대의 개벽을 선언한다. 천부인권이 차등론의 대안인 평등론에 근거한다면, 창조주권론은 귀천 현우 구별 없이 나와 다름을 인정하기에 대등론에 기초한다. 나아가 저자는 공동체 유대를 다지는 대등의식이 대등사회를 이룬다고 전망한다. 따라서 창조주권론은 생극론의 사회이론적 확장이자 인류 역사의 단선적 발전궤도를 타파하는 대전환이다.
어떻게 창조주권이 발현되는가
창조주권론은 거대담론이면서도 동시에 소박하다. “누구나 대등하게 타고난 창조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는 긍정의 존재론이라는 점에서 일상생활의 모토가 된다. 저자는 의식주를 스스로 마련하던 예전과는 다르지만 오늘날에도 저마다 자신의 일로 창조주권을 발현할 수 있다고 본다. 주부가 정성들인 밥상은 곧 베토벤의 실내악에 견줄 정도의 창조라는 것이다. 특히 저자는 창조주권이 외부의 학습보다는 자연을 스승으로 삼고 스스로 깨우치는 것으로 발현된다고본다. 자연의 움직임에 밀착한 농부가 정확하게 기상을 관측하는 것이나 학습하지 않아도 본원문법으로 말을 깨치는 것처럼, 예술, 학문도 가르쳐서가 아니라 자신의 절실함으로부터 출발된다는 것이다.
학문이 성립되는 조건
두 번째 책은 저자가 창조주권을 발휘하여 내놓은 결과물로서 창조주권론을 스스로 입증한다. 학문의 위 공사는 학문에 대한 근본 자세, 학문의 아래 공사는 이론 만들기의 방법론이다. 저자는 “자연을 스승으로 삼고 천지만물의 이치를 깨달아 창조하는” 창조학과 내 학문적 토양에서 내 공부를 스스로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며, 학문의 동심원을 넓혀가는 거시적 안목을 키워야 한다고 지적한다. 내 공부란 저자가 〈나가며〉에서 말한 본원학문이며, 저자의 연구가 바로 본원학문의 본보기이다. 문제의식과 집중력을 갖추어 깨달음을 얻는 학문을 보여 주기 위해 저자는 일반론과 함께 저자의 문학사 조망과 문학이론을 제시하여 구체화한다. 학문은 교육과 같이 가는바, 첫 권의 제4장 〈고침〉에서는 창조주권의 발현으로서 학문을 뒷받침하는 연구, 교육을 개선하는 대안들을 밝힌다. 문제를 발견하게 하고, 교과서를 없애며, 대등을 알려주는 문화사·문명사 교육 등 고등교육과 박사제도 개선안, 연구교수제, 학술총괄원, 공개강의제 등 대학교육과 대학원 교육을 총망라한다.
소통의 결실
유투브 강연의 모음집인 이 책은 댓글이 포함된 공저이다. 한 강연인 각 절 끝에 댓글이 달리는데, 그 댓글은 강연을 요약하거나 새 논의의 실마리를 던져 주고 저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창발적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한다. 댓글과 답글의 소통은 바로 또 다른 창조를 예기하고 품는다. 저자는 “예술의 본질이 소통”이라고 보았지만, 학문 또한 소통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이 두 책으로 증명한다.
탈춤의 탈놀이에는 서로 대결하던 놀이패들이 춤 대목에서 한바탕 춤추며 어울린다. 이러한 생극生克에서 나온 대등론은 갈등의 한복판에서 춤으로 한판 대동大同을 펼쳐낸다. “한국인은 각자의 창조주권을 사회적 협동을 위해 발현하는 데 남다른 열의가 있다”고 저자가 말했듯이, 적대와 반목을 뚫고 ‘상생’의 대등의식이 우리 안에서 다시 발현되어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