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시스 보몬트와 존 플레처는 공동 극작으로 당대 가장 찬사를 받은 작가들이다. 엘리자베스 및 자코비언 시대에는 극작가 간 협업이 흔했으며, 셰익스피어도 플레처와 공동 작업을 진행한 바 있다.
〈처녀의 비극(The Maid’s Tragedy)〉은 보몬트가 주요 테마를 설정하고 최종 편집을 맡았으며, 플레처가 2막 2장, 4막 1장, 5막 12장을 집필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통적인 극적 흐름을 벗어나 궁정 드라마의 새로운 유형을 정립했으며 17세기 궁정극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극은 전쟁 영웅 멜란티우스가 친구 아민토의 강제 결혼 사실을 알게 되면서 전개된다. 아민토는 왕의 강요로 약혼녀 아스파시아 대신 에바드네와 결혼하지만, 첫날밤 그녀의 거부로 혼란에 빠진다. 이후 에바드네가 왕의 정부임을 알게 된 아민토는 그의 권력 앞에서 복종을 선택한다. 그러나 멜란티우스는 가문의 명예를 되찾기 위해 누이동생 에바드네에게 왕을 직접 살해하도록 강요한다.
멜란티우스는 전형적인 군인으로, 누이와 왕의 부정이 가문의 명예를 더럽혔다고 생각해 왕에 대한 복수를 결심한다. 그는 에바드네를 이용해 왕을 살해하게 만든다. 직접 반역을 시도하지 않고도 왕을 제거하는 전략을 취한 것이다. 반면 아민토는 소극적이며 윤리적 갈등에 시달리는 인물로, 왕의 부당한 명령에 저항하기보다 신하로서 의무와 사회적 체면을 우선한다. 그는 아내의 불륜 사실을 알고도 왕의 권위에 복종해 이를 묵인한다.
한편 여성 인물 아스파시아와 에바드네는 당대 여성의 억압된 위치를 반영한다. 아스파시아는 약혼자의 배신에 남장을 하고 결투를 신청하는 방식으로 복수하며, 결국 아민토를 따라 죽음에 이른다. 에바드네는 왕의 정부로 살아야 하는 운명을 강요받았지만 자신을 억압한 왕을 직접 살해함으로써 명예를 회복하려 한다. 그러나 두 여성 모두 당대 사회 질서에서 벗어난 제거되어야 할 존재로 그려지며, 결말에서 사라진다.
이 극은 절대 군주제와 권력의 남용을 비판하며, 부당한 권력에 맞서는 것이 정당한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왕은 자신의 권력을 남용하고도 반성하지 않으며, 결국 에바드네의 손에 살해된다. 그러나 그의 죽음이 국가에 해악을 미치지 않고 후계자가 곧바로 왕위를 계승한다는 점에서 극작가는 절대 권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유지하면서도 체제 전복의 위험은 피해 간다. 이는 정치적 검열을 피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일 가능성이 높다. 결국 〈처녀의 비극〉은 단순 궁정 복수극을 넘어 당대 권력 구조, 남성 중심의 도덕관념, 여성의 위치 등을 탐구하는 작품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