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탈중앙화”가 핵심인 웹3.0은 개인이 직접 데이터를 소유하고, 블록체인, 스마트계약, 대체불가토큰(NFT) 기술 등을 토대로 다음 세대의 인터넷 생태 계를 구현하는 것이다. 웹1.0 시대 개인은 정보를 일방향으로 얻었지만, 웹
2.0 시대 개인의 역할은 생산자로 확장되어 프로슈머(Prosumer)라 칭해졌다. 플랫폼 경제 안에서 개인도 직접 재화 생산에 참여했던 것이다. 하지만, 플랫 폼 경제의 승자 싹쓸이로 대부분 이득은 소수 플랫폼 기업의 차지가 되었다. 개인의 정보와 검색 기록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아마존, 유튜브 등 플랫폼 기업의 중앙 서버에 저장되면서 플랫폼 기업들은 이를 토대로 막대한 수익 을 챙겼다. 게다가, 플랫폼의 운영 정책도 플랫폼 자사 이익에 집중됐고, 인터 넷 생태계 확장도 플랫폼 기업에 의해 좌지우지되었다.
이러한 소수 플랫폼 독점의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웹3.0이다. 개인이 데이 터 소유권을 갖고, 누구나 다양한 분산형의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으며, 참여자들 스스로 규칙을 정하고 의사 결정권자도 될 수 있다.
웹1.0이 정보 읽기, 웹2.0이 정보 공유의 민주화였다면, 웹3.0은 디지털자산 소유의 민주 화이다. 이러한 이론적 이해에도 불구하고 실제 웹3.0 비즈니스 모델에 참여 하는 데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 하지만, 각 산업에서 이미 다양한 사례들 이 등장하고 없어지는 진화 과정 속에서 그 속도는 가속화될 것이다. 이에 현 시점에서 웹3.0 철학을 좀 더 명확히 인지하고 진화가 안정화될 미래 시점에 서 현재를 바라보는 비즈니스 접근법이 필요하다. 미디어 비즈니스도 예외가 아니다.
본서인 “웹3.0 미디어 비즈니스”는 크게 두 개의 파트로 나뉘며, 총 13장으로
꾸며져 있다. 전반부에서는 웹3.0의 이해를 돕기 위해 1장의 개관과 함께 2~6 장에서 웹3.0의 5대 특성을 중심으로 하는 비즈니스 기회들을 소개한다. 후 반부는 웹3.0 미디어 비즈니스에 대한 것으로 7장의 비즈니스 모델 설계와 함께 관련 사례들을 8~12장에서 미디어 장르 중심으로 소개하고, 마지막 13 장에서 미디어 비즈니스에 필요한 인프라에 대해 웹3.0 기본 특성 중심으로 소개한다.
각 장들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1장은 웹2.0에서 웹3.0으로의 여정을 다룬 다. 먼저, 웹3.0의 등장 배경과 그 의미를 언급하고, 웹3.0을 구성하는 5대 특 성을 기본 특성과 구현 특성으로 구분해 정의하며, 현 시점에서 정책 중심에 있는 디지털자산 규제 정책에 대해 살펴본 후 다양한 시각에서 본 비즈니스 기회들을 소개한다.
2장은 웹3.0 기본 특성 중 하나인 “탈중앙화” 비즈니스 기회를 다룬다. 먼
저, 이용자 권한의 회복을 의미하는 탈중앙화에 대해 설명하고, 중앙집중적 플랫폼 기업 구조를 대체하는 탈중앙화 자율조직(DAO)의 특성을 살핀 후, 이 의 시작점이 되는 탈중앙화 금융(DeFi)과 이의 비즈니스 확장 가능성에 대해 조망한다.
3장은 웹3.0 기본 특성 중 하나인 “디지털자산” 비즈니스 기회를 다룬다. 먼 저, 소유권의 회복을 의미하는 디지털자산에 대해 설명하고, 데이터의 가치 화와 수익화를 실현하게 하는 디지털자산의 토큰화 특성을 살핀 후, 그 시작 점이 되는 유틸리티 토큰과 이의 비즈니스 확장 가능성에 대해 조망한다.
4장은 웹3.0 기본 특성 중 하나인 “분산 저장” 비즈니스 기회를 다룬다. 먼
저, 보다 높은 신뢰성의 회복을 의미하는 분산 저장에 대해 설명하고, 이용자 데이터가 특정 앱에 귀속되지 않고 여러 앱에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분산 애 플리케이션(DApp)의 특성을 살핀 후, 그 시작점이 되는 암호화폐 지갑과 이 의 비즈니스 확장 가능성에 대해 조망한다.
5장은 웹3.0 구현 특성 중 하나인 “웹3.0 인공지능(AI)” 비즈니스 기회를 다
룬다. 먼저,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웹3.0 AI에 대해 설명하고, 탈중앙화 인프라와 분산 애플리케이션 계층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웹3.0 AI의 지능화 특성을 살핀 후, 그 시작점이 되는 탈중앙화 컴퓨팅 네트워크와 이의 비즈니 스 확장 가능성에 대해 조망해 본다.
6장은 웹3.0 구현 특성 중 하나인 “웹3.0 메타버스” 비즈니스 기회를 다룬
다. 먼저, 이용자 경험의 향상을 도모하는 웹3.0 메타버스에 대해 설명하고, 웹3.0과 메타버스의 융합 실현의 전제조건이 되는 상호운용성 특성을 살핀 후, 그 시작점이 되는 대체불가토큰(NFT)과 이의 비즈니스 확장 가능성에 대 해 조망한다.
7장은 웹3.0 미디어 비즈니스 모델 설계를 다룬다. 먼저, 웹3.0이 주는 미디
어 비즈니스 기회를 신규 비즈니스, 글로벌 확장, 기술 부채로 구분해 데이터 와 콘텐츠 소유권의 가치 창출 기회를 관찰하고, 가치 제안과 이익 공식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