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농증이면서 마황을 복용할 수 있다면
갈근탕가천궁신이
갈근탕가천궁신이는 갈근탕에 천궁과 신이라는 2가지 약재를 추가한 처방이다. 약재 방향성 측면에서 신이가 있으면 이비인후과용, 갈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진통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이를 함유한 한방약은 갈근탕가천궁신이와 신이청폐탕이 있다. 룰을 통해 도출된 소견은 신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이비인후과용 이라는 힌트 이외에는 갈근탕과 동일하다. 곧 허실 스코어 상 약간 튼튼한 타입(실증)용 처방인 것이다. 계피가 있으므로 쉽게 상처 입는 상태(기역)에도 유효하며 얼굴은 약간 붉기도 하다. 특별한 복부소견은 없다. 복벽 긴장도(복력)는 약간 단단하며, 적어도 연약하지는 않다.
인삼 함유 시호제
일반적인 질환이 장기화될 때
소시호탕은 소양병기의 왕이라 할 수 있다. 소시호탕에 오령산을 추가한 것이 시령탕, 반하후박탕을 추가한 것이 시함방이다. 시호제와의 합방으로서 엑스제가 나와 있는 것은 모두 소시호탕과의 합방이며, 대시호탕과의 합방이 아니다. 소시호탕에는 한방엑스제 중 유일하게 경고사항이 적색으로 첨부문서에 적혀 있다. 그런데 소시호탕과의 합방에 해당하는 시령탕, 시박탕, 시함탕에는 이 경고사항이 적혀 있지 않다. 아무래도 신기한 일이다. 간질성폐렴은 언제나 주의를 기울여야만 할 중대한 부작용이다. 약 복용 후 마른기침이 생겼다면 항상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실제로 중증으로 발전하는 빈도는 적다. 복용하기 힘들다고 느낀 환자가 스스로의 판단으로 복용을 중단하기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적게 보인다고 말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만약 정말 그렇다면 환자가 복용하고 싶지 않다고 할 때 복용을 중단하게 하는 스탠스 만으로도 문제가 없는 것 아닐까 생각한다.
꽤나 맛이 없다
찬찬히 길게 복용하면
체질개선용 처방이 된다
17개 약재로 구성된 한방약이다. 구성약재수가 많은 처방은 체질개선용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분류차트 상 시호제에 해당한다. 또한 황련과 황금이 함유되어 있어 사심탕류이기도 하다. 거기에 사물탕의 구성요소인 당귀, 작약, 천궁, 지황이 함유되어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사물탕+황련해독탕(황련, 황금, 황백, 산치자)인 온청음의 구조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처방 방향성 측면에서는 형개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피부질환에 유효, 그리고 길경이 있으므로 배농작용이 강한 이미지가 있다. 허실점수 상 +1점이며 중간체형~약간 단단한 체형이고, 복부는 여기저기 긴장되어 있다. 시호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늑골궁하의 압통(흉협고만), 황련이 있으므로 명치부의 압통(심하비경)을 보일 수 있다. 한열룰 상 황련에 주목하면 강력히 식히는 효과를 지닌 한방약임을 알 수 있다.
비뇨의학적 호소에
사실 지황 함유처방!
오림산은 차전자를 함유하고 있어 처방 방향성 측면에서 비뇨기질환이 메인타깃임을 알 수 있다. 분류차트 상 복령과 택사가 있기 때문에 이수제 범주에 들어간다. 허실점수는 간이판과 정밀판 모두 0점이며, 중간정도 체형의 사람을 중심으로 폭넓게 사용 가능하다고 이해할 수 있다. 복부진찰 상피부와 피하조직의 긴장도는 중등도, 이외에 특별한 소견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황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육병위 상 지연화된 상태(소양병)에 해당하며, 설진 상 백태, 맥은 얕지도 깊지도 않게 촉지되는 상태(중간)가 전형적이다. 산치자가 들어 있기 때문에 쉽게 상처를 입는 상태(기역)에도 유효하다. 한열룰은 스텝 1에 해당하는 약재인 황련, 석고, 부자, 건강이 없으므로 스텝 2에서 판단한다. 온열하는 약재인 계피, 인삼, 당귀, 한랭하는 약재인 지황, 황금, 대황의 수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오림산에는 당귀, 지황, 황금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한랭시키는 약재의 수가 더 많다. 따라서 오림산은 한랭하는 경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체질개선 목적의 마황제
약재수는 18가지로 최다!
방풍통성산은 18가지라는 최대의 구성약재로 구성된 한방약이다. 분류차트 상 마황이 존재하기 때문에 마황제로 분류할 수 있다. 대황과 망초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승기탕류로도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대황과 당귀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구어혈제이기도 한데, 당귀가 있으면서 지황은 없으므로 온성구 어혈제의 범주에도 들어간다. 처방 방향성 측면에서는 형개와 연교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질환에도 유효하다는 생각을 해볼 수 있겠고, 길경이 존재하므로 배농작용도 기대해 볼 수 있다. 허실점수는 간이판은 1점이지만, 정밀판은 황금, 석고, 망초, 대황, 도인이 함유되어 있어 5점이다. 산치자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상태(기역)에도 유효하며, 상열감, 두통, 이명 등도 처방선택의 포인트가 될 수 있다. 한열은 석고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첫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한랭시키는 한방약으로 분류가 된다. 복부는 허실점수가 5점이기 때문에 심하게 팽만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여기에 대황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변비경향이고, 추가로 고혈의 정체를 개선(구어혈)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하복부 압통(소복경만)도 있으면 사용하기 좋다. 시호, 황련이 없기 때문에 늑골궁하의 압통(흉협고만)이나 명치부 압통(심하비경)은 나타나지 않는다. 황금이나 석고가 존재하기 때문에 소양병기로 볼 수 있으며, 설진 상 백태, 맥은 중간맥으로 나타난다. 승기탕의 성격도 있기 때문에 설진소견 상 황태가 나타나더라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