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저널리즘 연구 1

저널리즘 연구 1

  • 윤석민
  • |
  • 사회평론
  • |
  • 2025-02-27 출간
  • |
  • 600페이지
  • |
  • 140 X 210mm
  • |
  • ISBN 9791162733387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해법은 언론 현장에서,
뉴스 생산 과정에 뛰어든 5개월간의 참여관찰 연구


『저널리즘 연구 1: 뉴스의 생산』, 『저널리즘 연구 2: 뉴스 생산자』(전 2권)은 이러한 긴급하고 엄중한 물음에 대한 저널리즘 연구자 2인의 대답이다. 결론적으로 책의 저자들은 디지털 전환, 개인화된 미디어의 확산, 나아가 인공지능이 기사를 생산하는 이 시대에도 언론의 역할은 지속되어야 하고, 언론 위기를 타개할 해법은 언론 현장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 언론 현장에 대한 참여관찰 연구인가? 저자들에 따르면 뉴스 연구는 미디어 제도에 천착한 정치경제학 연구, 뉴스 텍스트 분석 연구 및 뉴스 생산 과정 연구로 나뉜다(1권 뉴스의 생산, 3장 현장 속으로). 하지만 정치경제학 연구와 텍스트 분석에 치중해온 우리 학계는 언론 위기에 대한 대응을 언론 개혁 프레임으로 획일화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저자들은 비판한다. 이는 1970~1980년대 미국 언론 황금기에 쏟아졌던 뉴스 생산 과정에 대한 참여관찰 연구가 우리 학계에 드물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결국 저자들은 뉴스 생산 과정, 즉 언론이 뉴스거리를 찾고, 선택하고, 지면으로 구성하는 각 단계에서 개별 언론인, 편집국 단위로 어떤 작업이 이루어지는지, 어떤 가치와 관행이 작동하는지, 무엇이 선택되고 배제되는지, 그리하여 어떤 사회적 현실을 재구성하는지를 들여다보는 참여관찰 연구에서 언론 위기의 실천적 대안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그 실천의 결과물인 이 책에서 저자들은 ‘언론인의 헌신’과 ‘사실(성) 확인의 규범 준수’ 노력이야말로 언론 위기 극복의 희망임을 확인한다.

총 3년간의 자료 정리와 집필,
저널리즘의 최전선을 기록한 기념비적 연구

연구년을 맞은 2021년 2학기, 윤석민 교수는 배진아 교수와 함께 뜻을 모으고 2021년 10월 1일부터 2022년 2월 18일까지 5개월 동안 조선일보 편집국을 관찰하는 참여관찰 연구를 수행했다.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편집국 한쪽 구석에 노트북을 펴고 앉아 있는 연구자들을 힐끗거리던 이들은 점점 연구자들의 존재에 익숙해지며 엘리베이터나 카페, 구내식당에서 마주치면 가벼운 이야기를 나누는 사이가 되었다. 2~3개월 후 연구자들은 전혀 특별하지 않은, 각자의 일로 바쁘게 이리저리 오가는 편집국 사람들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3장 현장 속으로). 편집국 관찰이 반복되면서 한계도 뚜렷해졌다. 외부 출입처에 나가 있는 일선 기자들의 활동과 부서 단위의 구체적 활동, 무엇보다도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수많은 커뮤니케이션을 따라잡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뉴스 생산자들의 역할과 상호작용을 더욱 정확하고 생생히 기술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심층 인터뷰, 기자 동행 취재, 부서 단위 밀착 관찰, 편집국 내부 공유 문서 및 판별 지면에 대한 분석이 추가되었다.
현장 연구 이후에도 관찰하고 수집한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지난한 작업이 남았다. 전체 지면 판갈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내용 분석 틀 작성에 3개월, 이를 기반으로 코딩 작업을 수행하는 데 6개월이 소요되었고 A4용지로 2천여 쪽에 달하는 심층 인터뷰 녹취록은 풀어서 정리하는 데 6개월, 통독하는 데 한 달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 현장 연구를 마치고 3년이 지나서야 그 결과물을 발간하게 된 사정이다.

1권 『뉴스의 생산』은 일선 기자들의 취재 및 발제에서 시작되어 전체 지면 편집 작업으로 종료되는 뉴스 생산 과정을 현장 관찰, 심층 인터뷰, 일선 기자 동행 관찰, 사회부와 정치부에 대한 밀착 관찰, 판별 지면 데이터 내용 분석 등의 방법을 동원해 다각적으로 다루었다. 책의 출발점에서 가치 있는 언론이 본질이 무엇인지 검토한 후,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쉼 없이 이어지는 현장 취재 및 기사 작성, 게이트키핑, 데스킹 및 지면 편집 작업이 이러한 본질에 얼마나 충실한지 살피고 있다.
2권 『뉴스 생산자』는 이러한 뉴스 생산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인 언론인들과의 심층 인터뷰 내용을 담고 있다. 사회부 기동취재팀장, 조선NS 기자, 편집국장과 논설위원, 주필, 그리고 사장까지 전면적인 인터뷰를 통해 이들이 각자 수행하는 작업의 디테일, 그리고 이들이 생각하는 언론의 역할, 보람과 한계, 언론이 당면한 위기 상황 등에 관한 생생한 목소리를 전한다.

목차

『저널리즘 연구 1: 뉴스의 생산』

009 머리말
023 1장 언론은 여전히 필요한가
024 - 1. 언론이란 무엇인가
028 - 2. 가치 있는 언론
041 - 3. 언론의 역할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주장
053 - 4. 소결: 언론은 여전히 필요하다

055 2장 언론의 위기
056 - 1. 언론 위기의 양상
063 - 2. 언론 위기에 대한 논의들
080 - 3. 언론의 정치적 편향성 인식
087 - 4. 소결: 언론 위기의 해법은 언론 현장에서 찾아야 한다

091 3장 현장 속으로
092 - 1. 언론 현장의 의미
093 - 2. 뉴스 생산에 관한 기존 연구들
104 - 3. 현장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설계
108 - 4. 연구 방법의 보완
116 - 5. 소결: 현장 연구의 가능성, 한계, 그리고 보완

119 4장 뉴스 생산 과정
121 - 1. 뉴스 생산 공간
128 - 2. 뉴스 생산 주체 간의 상호작용
157 - 3. 종합적인 뉴스 생산 과정
164 - 4. 게이트키핑과 데스킹
185 - 5. 지면 편집
191 - 6. 소결: 긴밀하고 숨가쁜 협업으로서의 뉴스 생산 과정

195 5장 일선 기자
197 - 1. 일선 기자 동행 관찰
200 - 2. 동행 관찰 기록
244 - 3. 일선 기자 동행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256 - 4. 소결: 일선 기자들이 보여준 희망

261 6장 밀착 관찰 I: 사회부
263 - 1. 사회부 밀착 관찰
266 - 2. 밀착 관찰 기록
319 - 3. 사회부 밀착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332 - 4. 소결: 시시포스적 헌신

335 7장 밀착 관찰 II: 정치부
337 - 1. 정치부 밀착 관찰
338 - 2. 밀착 관찰 기록
386 - 3. 정치부 밀착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396 - 4. 소결: 데스크들이 주도하는 정치 뉴스 생산

401 8장 뉴스의 편집
404 - 1. 신문의 편집
406 - 2. 판별 지면 데이터 수집과 코딩
412 - 3. 판별 기사의 변화
429 - 4. 판별 기사 제목의 변화
437 - 5. 판별 사진의 변화
460 - 6. 판별 기타 이미지의 변화
464 - 7. 소결: 편집, 모든 것을 다시 훑는 작업

467 9장 추가 편집
470 - 1. 53판의 변화
488 - 2. 54판의 변화
493 - 3. 소결: 추가 편집, 집요한 사실 확인 과정

495 10장 현장으로부터의 성찰
497 - 1. 연구의 출발점: 언론의 가치, 언론의 위기, 학계의 역할
500 - 2. 언론 현장과 뉴스 생산 과정
516 - 3. 현장으로부터의 성찰
528 본문의 주
568 부록 ① 참여관찰 일정 및 주요 관찰 내용
551 참고문헌 ② 일자별로 수집한 데이터 유형
③ 50판 분석용 코딩북
④ 51/52/53/54판 분석용 코딩북
⑤ 인용원 분석을 위한 코딩북

『저널리즘 연구 2: 뉴스 생산자』

007 머리말
021 프롤로그: 언론인은 어떤 존재인가

1부. 사회적 환경과 정치권력의 감시
048 01. 사회부 기동취재팀장 박순찬
104 02. 사회부장 최원규
138 03. 정치부 데스크 최경운
174 04. 정치부장, 정우상
208 05. 전 기자, 김수혜

2부. 언론의 파괴 혹은 새로운 언론의 창조
242 06. 조선NS 대표, 장상진
284 07. 조선NS 기자, 김소정·최훈민
338 08. 전문기자, 박종인

3부. 언론은 이렇게 세계의 그림을 완성한다

388 09. 편집부장, 이택진
420 10. 편집국장, 주용중

4부. 글이 칼보다 강한 이유
454 11. 논설위원, 선우정
500 12. 주필, 양상훈

5부. 언론의 우산
540 13. 사장, 방상훈

576 에필로그: 이제 사회가 언론을 지켜야 한다

586 본문의 주
610 부록 ① 심층 인터뷰 참여자 ② 심층 인터뷰 질문지
607 참고문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