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선물 최적 헤징 대응전략 수립
유럽 탄소배출권 시장 운영 경험 분석
지은이는 현물거래 중심인 현재 탄소배출권 시장이 선물거래를 통해 손익을 고정하는 헤징 기능을 제공하기를 바라며 이 책을 썼다. 선물거래를 이용한 헤징 전략은 탄소배출권 자산-부채관리, 유연성 메커니즘, 유상 경매시장, 시장 안정화조치(MSR), 자발적 탄소크레딧 시장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 책은 모두 10개의 PART로 구성되어 있으며, PART 1은 파생상품 시장 개요를 소개한다. 파생상품 시장의 정의, 거래유형, 상장요건, 경제적 기능을 살펴본다. PART 2는 파생상품(선물, 옵션, 스왑, 레포 등) 시장에서 전문용어가 많이 쓰이므로, 일반 투자자들의 시장접근과 이해를 돕기 위한 용어 설명을 담았다. PART 3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기본적 분석으로, 수요 측 요인과 공급 측 요인을 시장 관점에서 알려준다. PART 4는 탄소배출권 시장 기술적 분석이다. 핵심이 되는 분석지표인 이동평균선, 상대강도지수, MACD, 볼린저 밴드의 정의와 활용 방법을 소개한다. PART 5는 규제적 탄소배출권 시장과 자발적 탄소크레딧 시장의 가격 결정요인들을 다루었다. PART 6에서는 현물가격과 보유비용에 의해 결정되는 선물이론가격 결정요인들을 살펴본다. PART 7은 ‘최적 헤징 대응전략 수립’이라는 제목으로 실무 차원에서 파생상품을 이용한 최적 헤징 전략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PART 8은 탄소배출권 선물상품 명세를 살펴보고 선물을 이용한 실질적인 대응 방안들을 모색한다. PART 9는 많은 투자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탄소배출권 상장지수펀드를 소개한다. PART 10에서는 ‘유럽 탄소배출권 시장 운영 경험’이라는 제목으로 ‘K-ETS 2기 시장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 자료를 정리해서 소개한다. 부록으로는 ‘대한민국 탄소포럼 2024 발표 자료’와 ‘ISDA 장외 파생상품 거래약정서 권고(안)’을 소개해 참고하도록 했다. 탄소배출권 시장과 거래제도를 이해하고, 탄소배출권 선물시장 투자전략의 인사이트를 얻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