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 그리고 ‘세자’ 자리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치열한 물밑 경쟁
그물망처럼 얽힌 ‘정치적 역학 관계’를 촘촘히 아우르며 조선 왕 등극기를 다루다
조선의 왕위 계승권은 정실부인, 즉 중전이 낳은 맏아들인 ‘적장자’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 하지만 자식 두는 일이 어디 맘먹은 대로 되던가. 중전이 아들을 낳지 못하거나, 낳았더라도 일찍 죽은 일이 다반사였다. 그러다 보니 세자 자리를 둘러싼 물밑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조선은 적장자를 제외하고는 왕위 계승 서열 같은 게 없었다고 한다. 애초에 왕위 계승을 둘러싼 암투가 성행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안고 있었다. 그래서 조선 왕 즉위기는 왕의 여인들이 벌이는 핏빛 가득한, 숨 막히는 왕위 쟁탈전이라고 할 수 있다.
왕의 즉위는 단순히 ‘왕의 가계도’만 보고 이해할 수 없다. 행간을 가득 채운, 그물망처럼 얽히고설킨 복잡한 정치적 역학 관계까지 살펴봐야 비로소 제대로 볼 수 있다. 인간관계에서부터 조상, 외척, 소신, 학문, 당파, 정치 입장, 여느 가문과 관계까지 망라해야 한다.
장자 승계 원칙을 따르려 노력했던 조선 전기,
‘정변, 반정, 사화’로 얼룩진 시기를 지나, ‘서자’가 왕위를 이으며 더욱 치열해진 암투사,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역사 속으로 사라진 왕실의 모습까지
조선 전기에는 그래도 적장자 원칙을 지키려는 의지가 강했다. 태종이 ‘왕자의 난’을 일으키고도 형 정종에게 왕위를 양보한(?) 것도 장자 승계 원칙을 따르기 위함이었다. 그 자신도 ‘세제’가 아니라 정종의 ‘양자’로 입적하여 정종을 승계했다. 이게 유교 질서라는 거였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며 조선 왕실에도 왕위를 강제로 끌어내리는 정변이 여러 차례 일어난다. 왕자의 난, 계유정난, 중종반정, 인조반정. 이는 유교 국가에서는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이다. 따라서 이 일은 당대에는 함부로 언급하면 큰일 나는 ‘뜨거운 감자’였다. 물론 패륜의 연산군과 폐모살제의 광해군을 끌어내리기 위해 일어난 중종반정과 인조반정은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다’는 의미인 ‘반정(反正)’의 뜻처럼 맹자의 ‘혁명론’[왕이 인의(仁義, 도리)를 해치면 보통 사람과 다름없으므로 중국 하나라 걸왕이나 은나라 주왕처럼 바꿀 수 있다]을 바탕으로 어느 정도 정당화가 가능하다지만, 훈구파가 사림파를 마구 죽이는 ‘사화(士禍)’라는 피비린내 나는 역사를 만들기도 했다.
조선 후기로 가면서 왕위를 둘러싼 암투는 더욱 치열해진다. 적통의 대가 끊긴 게 가장 큰 이유였다. 그런 점에서 14대 선조는 조선 왕 역사에서 특별한 지위를 가진다. 선조는 명종의 먼 친척이었다. 게다가 서자였다. 하지만 선조의 즉위를 둘러싸고 큰 잡음은 없었다. 그래서인지 이후 조선 왕실은 방계승통의 역사가 시작된다.
조선 왕의 마지막은 고종이 장식했다. 즉위기부터 드라마틱했던 고종은 숱한 이야기를 만들며 500년 역사 조선의 마침표를 찍었다. 그런 뒤 고종은 1897년 환구단에 올라 새로운 국가 ‘대한제국’을 선포하여 스스로 초대 황제가 된다.
많은 사람이 조선과 대한제국은 겉옷만 갈아입은 거 아니냐고 할지 모르겠다. 어느 정도 맞다. 하지만 대한제국은 헌법이랄 수 있는 조선의 ‘경국대전’ 대신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를 따로 반포한 별개의 국가이다.
고종으로 조선은 끝났지만, 저자는 이 책의 완결성을 위해 ‘번외편’으로 순종까지 썼다. 대한제국 2대 황태자 순종은 일제와 친일파 이완용 등의 꼼수로 강제(?) 즉위했다. 고종의 헤이그밀사 파견이 몹시 못마땅했던 일제가 고종더러 순종에게 ‘대리청정’ 시키라고 요구했다. 고종은 저항했으나 결국 그 요구를 받아들였다. 그러자 일제는 대리청정이라 하고는 아예 순종 황제에게 강제로 ‘선위’하게 한다.
일제의 불법적 강제 병합으로 졸지에 식민지가 된 대한제국은 일제의 한 지역으로 편입되는 한편 도로 국호가 ‘조선’, 황제가 ‘조선 왕’이 되었다. 황실도 ‘이 왕가’로 불렸다. 이후 조선 왕실은 해방 후 미 군정 때인 1947년에 가서야 일제가 신헌법을 제정하며 이 왕가의 황공족을 폐지하면서 여느 가문처럼 ‘전주 이씨’ 가문이 되었다.
조선 왕 즉위기를 반면교사로 삼아 비극의 역사를 반복하지 않아야
조선 왕 즉위기는 당사자들에게는 피눈물 나는 고통이었고, 후손인 우리에게는 흥미진진한 역사 이야기다. 하지만 이 즉위기를 재미로만 읽는 역사로 소비해서는 안 된다. 이 ‘고통’과 ‘흥미’가 고스란히 담긴 숨 막히는 대서사는 우리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하는 ‘역사의 거울’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