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있잖아요〉는 인간 내면에서 발생하는 생각의 움직임과 그 파괴력을 탐구한 작품이다. 원제를 직역하면 ‘그녀가 여기 있다’라는 뜻이지만 여기서 ‘그녀(Elle)’는 단순히 여성 등장인물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녀’는 침묵 속에 감춰진 생각, 말로 표현되지 않은 관념까지 포함한다. 또한 ‘여기’는 그녀가 있는 물리적 장소이자 그녀의 생각이 머무는 심리적 공간을 가리킨다.
작품에는 남자 셋(남 1, 2, 3)과 여자 하나가 등장한다. 남 2는 남 1과 토론하던 중 동료 여성의 침묵에 위협을 느낀다. 초반부에 남 2는 독단적이고 공격적인 기득권자처럼 보인다. 그는 여자를 동업자이자 동료라 칭하면서도 사실상 자신의 생각에 따르도록 강요한다. 여자는 남 2가 자신과 다른 생각을 견디지 못한다고 비난한다. 남 2는 상대의 생각을 근절시키기 위해 막무가내로 소리치고, 직접 찾아가 설득과 회유를 반복한다. 이러한 집착적인 태도는 마치 직장 내 괴롭힘을 연상시키며, 오늘날까지도 이어지는 권력 관계와 폭력의 문제를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곧 상황은 역전된다.
이처럼 작품은 관용과 불관용의 대립을 넘어, 맹목적인 군중과 깨어 있는 소수의 충돌로 확장된다. 남 2와 남 3의 생각은 연약한 새싹이나 반짝이는 잠자리, 아름다운 나비 같은 이미지로 표현되는 반면 여자의 생각은 사람들 머릿속에 똬리를 튼 더러운 뱀이나 분쇄기에 비유된다. 남 2와 남 3은 자신들의 생각이 자유롭게 자라나고 퍼지기를 바라지만, 여자의 생각은 그런 진실을 짓밟고 으깨 버리는 적대적인 존재로 그려진다.
사로트는 이 작품에서 생각이라는 비가시적이고 유동적인 존재가 인간관계에서 얼마나 큰 긴장과 위협을 불러일으키는지 보여 준다. 이러한 주제의식은 초기 작품 《트로피즘》에서도 확인된다. 인간 내면에서 발생하는 감정의 미묘한 흐름을 기생충, 거머리 같은 끈끈한 이미지로 표현한 바 있다. 〈여기 있잖아요〉에서는 생각이 뱀처럼 기어다니고 분쇄기처럼 파괴하는 이미지로 발전하여, 한곳에 머물지 않고 퍼져나가는 내면의 긴장과 충돌을 극적으로 형상화한다.
사로트의 희곡은 문학성과 시사성을 겸비해 연출 방식에 따라 무한히 재해석될 수 있는 열린 텍스트다. 〈여기 있잖아요〉는 인간 내면에서 발생하는 불안과 집착, 생각의 충돌을 섬세하게 포착하며, 진실과 생각에 대한 질문을 무한히 던지는 작품이다. 우리가 믿는 진실은 과연 안전한가? 아니면 남 2와 같이 생각에 사로잡혀 스스로를 파괴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사로트는 이 작품을 통해 관객에게 내면 깊숙한 곳에 존재하는 생각의 실체를 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