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릴 처칠의 희곡 〈톱 걸스〉(1982)는 대처리즘 시대 영국 사회를 배경으로 여성의 성공과 희생, 계급 문제를 다룬 작품이다. 처칠은 과거와 현재를 병치하고, 성별 교차 배역, 중첩 대화 등 실험적 기법을 사용해 여성의 삶을 조명한다. 1막에서는 말린이 회사 승진을 자축하며 역사적 여성 인물들을 초대해 만찬을 연다. 교황 조운, 여승 니조, 인내의 그리셀다, 전사 그렛, 여행가 이자벨라 등 ‘최고의 여성들’은 남성 사회에서 성취를 이뤘지만 대부분 모성을 희생하며 고통을 감내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2막과 3막은 말린의 직장과 가족사를 그린다. 말린은 하이플라이어로서 남성적 방식을 답습해 성공했지만, 딸 안지를 언니 조이스에게 맡기고 가정을 포기해야 했다. 노동자 계급에 머물며 안지를 키운 조이스는 빈곤과 좌절 속에 산다. 말린은 능력주의와 개인주의를 믿지만, 조이스는 계급의 벽과 대처리즘의 냉혹함을 비판한다.
말린의 동료 윈과 넬도 남성 중심 사회에서 강인한 여성상을 구축했지만, 그 과정에서 인간성을 상실하거나 불안정한 삶을 산다. 구직자 루이스, 쇼나, 지니인은 최고가 되지 못한 평범한 여성들로, 여성의 노동 현실과 차별을 보여준다.
처칠은 ‘최고의 여성’이 되는 과정에서 여성성이 억압되거나 남성적 가치에 동화된다는 점을 비판하며, 진정한 성공이란 무엇인지 묻는다. 여성의 연대와 사회 구조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이 작품은 현재까지도 전 세계에서 상연되며 여성과 계급 문제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