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리말 ●
재경관리사는 재무회계, 원가회계, 세무회계 실무 전문가임을 인증하는 자격증입니다.
일반적으로 회계와 세법을 공부하시는 수험생들은 전산세무시험을 위주로 자격증을 취득하고 있습니다. 전산세무시험은 이론 뿐만 아니라 회계프로그램을 습득하여 기업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자격증이라 가장 많은 수험생(연간 약 20만명 정도)이 응시하는 자격증입니다. 자격증 취득 후 회사에 입사하고 나서 실무자에서 관리자가 되기까지 적어도 5년 이상 걸리며, 무엇보다 실무프로그램보다 이론을 정립하여야 회계 및 세법의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전산세무1급 자격증이면 회계, 세법의 전문가라 자부할 수 있지만, 일반회계기준으로 공부하다 보니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기업에 적용되며 상장법인이나 규모가 큰 기업에서 적용되는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을 다시 공부해야 합니다.
따라서 본서는 전산세무1급 자격증을 취득한 수험생을 위하여 재경관리사 자격증을 취득과 동시에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기본적인 내용을 추가하여 집필하였습니다.
본서는 전산세무1급 자격증 취득자(또는 수험생)를 위하여 집필된 교재이므로 먼저 전산세무 1급 정도의 회계와 세법의 실력이 있어야 합니다.
재경관리사의 응시료는 70,000원이므로 “ONE SHOT, ONE KILL”의 각오로 한번에 합격하셔야 합니다.
본서는 삼일회계법인에서 출간한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원가회계, 세무회계 교재를 기초로 하여 작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매년 재경관리사 교재가 출간 후 약 2주 정도 이후에 출간될 것입니다.
전산세무1급 합격자라하면 아무런 준비 없이 재경관리사를 응시했다고 가정하면, 개인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재무회계 30점, 원가회계 50점, 세무회계 80점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따라서 수험생이 어떤 과목에 신경을 써야 하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이 교재는 100점을 획득하기 위한 교재가 아닙니다. 90점을 목표로 하여 재경관리사 합격을 위한 교재입니다.
교재에 대한 오류사항이나 미비점을 제가 운영하는 카페에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재무회계 70%, 원가회계 20%, 세무회계 10%정도 시간을 안분하여 공부하여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재경관리사 시험은 문제은행식으로 출제되어 기출문제(미공개)를 입수하여 최종적으로 점검하시면 됩니다. 재경관리사를 합격하고 본인이 회계와 세법의 최고전문가가 되고자 하는 의지와 흥미를 갖고 있으면 공인회계사나 세무사 자격증 도전하기를 권합니다.
도전하십시오.
도전해서 실패했다고 인생을 실패한게 아닙니다.
도전하는 자체가 아름답습니다.
2025년 2월
김 영 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