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진도별 변시·사시 기출 두문자 민법사례연습 (개정10판)

진도별 변시·사시 기출 두문자 민법사례연습 (개정10판)

  • 곽낙규
  • |
  • 수북
  • |
  • 2025-02-17 출간
  • |
  • 948페이지
  • |
  • 182 X 257mm
  • |
  • ISBN 9791189446420
판매가

55,000원

즉시할인가

49,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9,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 책의 구성
이해와 암기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두문자와 해설의 중요한 내용에 별색 처리하였으며, 실제 답안 분량과 유사하게 압축하여 간결하게 작성하였습니다.
■ 책의 순서 : 제1편 민법총칙, 제2편 채권총론, 제3편 채권각론, 제4편 물권법, 제5편 가족법
■ 추가된 해설 : 2024년 법전협 3회분 모의고사 문제, 2025년 제14회 변호사시험

▣ 보조교재와의 시너지
■ 1문1쪽 변사기 민법비법노트 : 학습용 보조교재로써 변사기의 약 88%의 문제를 압축하여 정리한 교재입니다. 한 페이지에 사실관계와 문제, 필기노트 형식의 해설을 모두 수록한 것이 특징입니다. 법리가 다른 경우 다른 색의 형광펜으로 표시하여, 사실관계와 문제에서 키워드와 핵심문장을 파악하는 능력을 기르고 자연스럽게 논점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Core 민법 암기장 : 최종정리용 보조교재로써 민법 사례형 · 선택형 기출문제를 망라하여 해당 조문 · 법리 · 판례를 압축정리 한 교재입니다. 변사기를 학습한 후, 암기장의 해당부분을 표시 해놓으면 최종정리할 때 더욱 효과적일 것입니다.

항상 수험생의 눈높이에서 아름다운 양질의 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 꼭 외워야 할 요건사실
제1편 민법총칙
사 례 1 신의성실의 원칙
사정변경의 원칙과 보증인의 책임 :〔변시 13년 제2회 제1문의 2 〈문제〉 1.〕 3
사 례 2 미성년자
미성년자의 법률행위의 효력과 친권자의 동의권 행사의 방법 :〔법전협 22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5
사 례 3 법 인
3-1. 이사의 대표권제한 :〔법전협 20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7
3-2. 법인 대표기관의 대표권 제한의 대항요건 :〔법전협 23년 제3차모의. 제1문의 3. 문제 1.〕 8
3-3. 종중의 원고적격과 표현대리 인정여부 :〔법전협 12년 제2차모의. 제1문 문 3.〕 10
3-4. 비법인사단의 불법행위책임과 대표자의 책임 :〔법전협 12년 제2차모의. 제1문 문 4.〕 12
3-5. 비법인사단의 불법행위책임과 손해배상의 범위 :〔사시 2015년 제57회 제3문 문 2.〕 14
3-6. 총유물의 관리·처분행위와 대표권 제한의 구별 :〔사시 2015년 제57회 제3문 문 1.〕 15
3-7. 총유물의 관리·처분행위 :〔사시 2015년 제57회 제3문 문 4.〕 17
사 례 4 목적의 사회적 타당성
4-1. 부동산 이중매매 :〔사시 2013년 제55회 제2문의 1〕 18
4-2. 부동산 이중매매에서의 제570조의 담보책임 :〔사시 2013년 제55회 제2문의 2〕 20
4-3. 부동산 이중매매 :〔변시 16년 제5회 제2문의 2 〈문제〉 1.의 가.〕 21
4-4. 이중매매가 유효한 경우 제1매수인이 매도인에게 행사할 수 있는 권리 :〔변시 16년 제5회 제2문의 2 〈문제〉 1.의 나.〕 22
4-5. 제1매수인의 원상회복 또는 손해배상의 근거와 범위 :〔법무부 10년 제1차모의. 제2문의 문 2.〕 24
4-6. 부동산 이중매매와 상속재산분할 협의의 효력 :〔법전협 19년 제2차모의. 제1문의 6. 문제 1. 유사 사시 2015년 제57회 제2문의 1.〕 27
사 례 5 의사와 표시의 일치
5-1. 통정허위표시의 선의의 제3자 :〔법전협 16년 제2차모의. 제2-1문. 문 1.〕 29
5-2. 착오를 이유로 한 취소 여부 :〔법전협 23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31
5-3. 착오와 사기를 이유로 한 취소 :〔변시 15년 제4회 제2문의 1 문 1.〕 33
5-4. 제3자의 사기 취소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 :〔변시 2018년 제7회 제2문의 1. 문1〕 35
5-5.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의 취소와 법정추인 :〔법전협 16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 2.〕 37
사 례 6 대 리
6-1. 수권행위해석을 통한 임의대리권의 범위 :〔변시 23년 제12회. 제1문의 5.〕 39
6-2. 대리권 남용의 성립여부 :〔법전협 13년 제2차모의. 제2-1문 문 1.〕 40
6-3. 손해배상청구권의 성립요건 :〔법전협 13년 제2차모의. 제2-1문 문 2.〕 42
사 례 7 표현대리
7-1. 제125조의 표현대리 성립 여부 및 대리권 남용 :〔변시 25년 제14회. 제1문의 4〕 44
7-2. 일상가사대리권을 기본대리권으로 하는 표현대리의 성부 :〔변시 23년 제12회. 제2문의 3. 문제 2.〕 47
7-3. 타인명의를 사용한 법률행위의 계약당사자 확정 :〔변시 15년 제4회 제1문의 5 〈 문제 〉 1.〕 50
7-4. 대리권 소멸 후의 표현대리 :〔법전협 1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 1.〕 52
사 례 8 무권대리
8-1. 무권대리행위의 추인 :〔변시 13년 제2회 제1문의 1 〈문제〉 1.의 다.〕 54
8-2. 계약의 무권대리에 관한 제132조의 의미 :〔사시 2016년 제58회 제2문의 2. 문 1〕 56
8-3. 무권대리행위의 추인의 소급효 :〔사시 2016년 제58회 제2문의 2. 문 2〕 57
8-4. 무권대리행위의 추인의 소급효가 제한되는 경우 :〔변시 19년 제8회 제2문의 1 〈문제〉 1.〕 59
8-5. 무권리자의 처분행위에 대한 권리자의 추인의 효력 :〔법전협 20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1〕 61
사 례 9 무 효
유동적 무효의 법리 :〔법전협 21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63
사 례 10 소멸시효
10-1. 불법행위로 인한 손배청구의 소멸시효의 기산점 1 :〔법전협 12년 제3차모의. 제2문 문 3.〕 65
10-2. 불법행위로 인한 손배청구의 소멸시효의 기산점 2 :〔변시 22년 제11회. 제2문의 1. 문제 2.〕 66
10-3. 시효중단을 위한 후소가 전소 판결이 확정된 후 10년이 지나 제기된 경우 법원이 취할 조치 :〔변시 21년 제10회. 제1문의 1. 문제〕 68
10-4.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채권양수인이 재판상 청구를 한 경우 소멸시효가 중단되는지 여부 :〔법전협 17년 제3차모의. 제2문. 문제 2.〕 69
10-5. 대여금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지 아니한 경우 근저당권설정등기청구권의 소멸 여부 :〔사시 2012년 제54회 제2문의2 문1.〕 70
10-6. 저당권설정등기청구의 소를 제기한 경우 그 피담보채권의 소멸시효 중단 여부 :〔사시 2012년 제54회 제2문의2 문2.〕 71
10-7. 채권양도로 인한 재판상 청구가 기각된 경우의 소멸시효 중단 :〔변시 16년 제5회 제1문의 1 〈문제〉 2.〕 72
10-8. 채무자가 제기한 재판상 청구로 인하여 발생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추심채권자의 추심소송에서도 그대로 유지되는지 여부 :〔법전협 23년 제1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1.〕 74
10-9. 가압류 집행절차에 착수하지 않은 경우에도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 효력이 있는지 여부 :〔변시 19년 제8회 제1문의 1 〈문제〉 2.〕 77
10-10. 처분금지 가처분등기로 인한 사해행위 취소에 기한 원상회복청구권의 소멸시효 중단 여부 :〔법전협 21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78
10-11. 명시적 일부청구의 경우 시효중단의 효력발생범위 1 :〔법전협 22년 제3차모의. 제1문의 3. 문제 1〕 80
10-12. 명시적 일부청구의 경우 시효중단의 효력발생범위 2 :〔법전협 22년 제1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1.〕 82
10-13. 명시적 일부청구의 경우 시효중단의 효력발생범위 3 :〔법전협 22년 제1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2.〕 84
10-14. 주채무가 시효소멸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보증채무가 시효소멸되는지 여부 1 :〔법전협 18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86
10-15. 주채무가 시효소멸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보증채무가 시효소멸되는지 여부 2 :〔법전협 18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4.〕 88
10-16. 시효중단의 효력이 미치는 인적 범위 :〔변시 16년 제5회 제1문의 1 〈문제〉 3.〕 90
10-17. 소멸시효이익 포기와 그 효력(상대효) :〔변시 16년 제5회 제1문의 1 〈문제〉 4.〕 91
10-18. 가압류로 인한 소멸시효의 중단 여부 :〔변시 14년 제3회 제2문의 2〕 92
10-19. 소멸시효이익의 포기 :〔법전협 16년 제3차모의. 제1문의 1. 문 4.〕 95
10-20.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무를 피담보채무로 하는 근저당권이 실행된 경우 채무자의 시효이익의 포기 여부 :〔법전협 21년 제1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3.〕 97
10-21. 채무자의 일반채권자의 시효이익의 원용 여부 :〔법전협 21년 제1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4.〕 99
10-22. 시효이익 포기의 효력 :〔법전협 16년 제2차모의. 제1문의 1. 문 2.〕 101
10-23. 소멸시효 기간 연장 약정의 효력과 사해행위취소소송에서 수익자의 채권자의 채권에 대한 소멸시효 완성 항변 :〔변시 20년 제9회. 제2문의 2. 문제 1.〕 104
제2편 채권총론
사 례 1 이행보조자
이행보조자의 과실로 인한 채무자의 책임 :〔변시 21년 제10회. 제2문의 3. 문제 2.〕 106
사 례 2 채권의 목적
2-1. 종류채권의 특정 :〔변시 15년 제4회 제2문의 1 문 2.〕 108
2-2. 이행보조자의 고의·과실과 채권자지체의 효과 :〔변시 15년 제4회 제2문의 1 문 3.〕 110
2-3. 쌍무계약에서 위험부담 :〔변시 15년 제4회 제2문의 1 문 4.〕 111
2-4. 이자제한법에 위반하여 지급된 초과이자의 법적 취급 :〔법전협 22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112
사 례 3 변 제
채권의 준점유자에 대한 변제와 부당이득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1문의 2 문 4.〕 114
사 례 4 변제충당
변제충당 :〔법전협 22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116
사 례 5 변제자대위
5-1. 변제자대위 :〔사시 2009년 제51회 제3문〕 118
5-2. 근저당권자와 근저당권 일부를 대위하는 물상보증인 사이의 배당순서 :〔법전협 20년 제2차모의. 제1문의 4. 문제 2.〕 120
5-3. 일부대위자가 수인인 경우 채권자와 대위변제자의 우선순위 및 대위변제자 상호간의 관계 :〔법전협 24년 제1차모의. 제1문의 6. 문제 1. 유제 : 법전협 19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122
5-4. 우선회수특약이 변제자대위로 행사할 수 있는 권리 등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전협 21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124
5-5. 후순위저당권자의 보증인에 대한 법정대위 :〔법전협 15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126
5-6. 구상권과 변제자대위권 :〔법전협 16년 제2차모의. 제1문의 1. 문 1.〕 128
5-7. 제3취득자의 보증인 및 물상보증인에 대한 법정대위 :〔법전협 18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130
5-8. 보증인과 물상보증인 사이의 변제자대위 :〔법전협 18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132
5-9. 제482조 제2항 제5호 단서 후문에 대한 다수설과 판례의 입장 :〔법전협 18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3.〕 134
5-10. 제3취득자의 구상권 :〔변시 14년 제3회 제2문의 1 문 1.〕 135
5-11. 변제자대위권이 침해된 경우 법정대위권자의 면책범위 :〔법전협 18년 제3차모의. 제1문의 1. 문제 5.〕 137
사 례 6 공 탁
일부공탁, 불법원인급여, 장래이행판결 :〔법전협 14년 제1차모의. 제2문 문제 1.〕 140
사 례 7 상 계
7-1. 상계항변 :〔사시 2016년 제58회 제1문. 문 2〕 144
7-2. 임대차 기간 중 임대인 甲이 임차인의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여 상계할 수 있는지 여부 (긍정) :〔변시 24년 제13회. 제2문의 2. 문제 2.〕 146
7-3. 상계적상의 현존에 대한 예외로서 제495조 1 :〔변시 22년 제11회. 제2문의 2〕 148
7-4. 상계적상의 현존에 대한 예외로서 제495조 2 :〔법전협 22년 제2차모의. 제2문의 4. 문제〕 151
7-5. 소멸시효가 완성된 차임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한 상계 및 공제 여부 :〔법전협 23년 제1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2.〕 153
7-6. 보증인의 주채무자 상계권 행사 및 보증인의 최고·검색의 항변권 :〔법전협 18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156
7-7. 지급금지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한 상계 :〔법전협 12년 제3차모의. 제2문 문 5.〕 157
7-8. 전세권저당권자의 물상대위권 행사에 따른 추심금청구를 받은 전세권설정자의 상계항변 여부 :〔변시 19년 제8회 제2문의 2 〈문제〉 2.〕 159
7-9. 전세권저당권자의 물상대위권 행사에 따른 추심금청구를 받은 전세권설정자의 상계 여부 :〔법전협 23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2.〕 161
7-10. 물상대위권자가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는 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한 상계 (부정) :〔법전협 19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162
7-11. 통지의 효력과 채무자의 상계항변 :〔변시 15년 제4회 제1문의 3〕 164
7-12. 지급금지된 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 허용 여부 1 :〔법전협 14년 제1차모의. 제2문 문제 1〕 166
7-13. 지급금지된 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 허용 여부 2 :〔법전협 18년 제2차모의. 제1문의 1. 문제 4.〕 169
7-14. 지급금지된 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 허용 여부 3 :〔변시 20년 제9회. 제1문의 1. 문제 3〕 172
7-15. 지급금지된 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 허용 여부 4 :〔법전협 17년 제3차모의. 제1문의 3. 문제 2.〕 174
7-16. 지급금지된 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 허용 여부 5 :〔법전협 21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2〕 177
7-17. 비교 : 채권양도 통지의 효력과 채무자의 상계항변 :〔출제 예상 문제〕 180
7-18. 압류의 효력 발생 이전에 발생한 수탁보증인의 사전구상권을 자동채권으로 피압류채권과 상계하기 위한 요건 1 :〔법전협 20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82
7-19. 압류의 효력 발생 이전에 발생한 수탁보증인의 사전구상권을 자동채권으로 피압류채권과 상계하기 위한 요건 2 :〔변시 23년 제12회. 제2문의 2. 문제 〕 185
7-20. 지급금지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한 상계 여부 및 상계의 효과 :〔법전협 24년 제2차모의. 제1문의 6. 문제 2.〕 188
7-21. 상계충당 :〔변시 14년 제3회 제2문의 3 문 1.〕 191
사 례 8 대상청구권
대상청구권의 요건과 범위 :〔사시 2015년 제57회 제3문 문 3.〕 193
사 례 9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9-1.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에 있어서의 입증책임 :〔변시 20년 제9회. 제1문의 2. 문제 1.〕 195
9-2. 손해배상의 범위 :〔법전협 14년 제3차모의. 제1문의 3 문 2. (2)〕 197
9-3. 물권적 청구권의 불능을 이유로 하는 전보배상청구 인정 여부 :〔법전협 19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3.〕 199
9-4. 과실상계 :〔사시 2007년 제49회 제2문의1〕 201
사 례 10 채권자지체
채권자지체의 성질과 효과 :〔법전협 12년 제2차모의. 제2문 문 1.〕 203
사 례 11 채권자대위권
11-1. 채권자대위소송과 통정허위표시의 선의의 제3자 :〔법전협 11년 제1차모의. 제1문의 4.〕 205
11-2. 책임재산의 보전방법 :〔변시 12년 제1회 제2문의 3 〈문제〉 1〕 207
11-3. 채권자대위권 행사의 상대방 :〔변시 12년 제1회 제2문의 3 〈문제〉 2.〕 209
11-4. 채권자대위권과 소멸시효 완성 :〔법무부 11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211
11-5. 채권자대위권 행사 통지 후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한 계약해제의 항변 :〔법전협 17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2.〕 214
11-6. 채권자대위소송에서 확정된 판결에 따라 대위채권자가 제3채무자로부터 지급받을 채권에 대한 압류명령 등의 효력 :〔변시 20년 제9회. 제2문의 2. 문제 2.〕 215
11-7. 무효인 가등기의 유용합의로 대위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 :〔법전협 23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1.〕 217
사 례 12 채권자취소권
12-1. 부동산 이중양도행위에 대한 사해행위 취소의 가부 :〔법전협 21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2〕 219
12-2. 채권자취소소송의 피고적격과 요건사실 :〔법전협 12년 제2차모의. 제2문 문 2.〕 221
12-3. 채권자취소권이 피대위권리가 되는지 여부 :〔법전협 12년 제2차모의. 제2문 문 3.〕 223
12-4. 사해행위인지 여부 1 :〔변시 19년 제8회 제2문의 3 〈문제〉 1.〕 225
12-5. 사해행위인지 여부 2 :〔변시 15년 제4회 제1문의 5 〈 문제 〉 2.〕 227
12-6. 매도인 선의의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의 대물변제가 사해행위인지 여부 :〔법전협 18년 제1차모의. 제1문의 3. 문제 3.〕 229
12-7. 매도인 선의인 계약명의신탁에서 수탁자의 처분이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전협 20년 제2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231
12-8. 수인의 수익자를 상대로 하여 사해행위취소 및 원상회복을 구하는 경우 원상회복의 방법 :〔법전협 22년 제3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1.〕 233
12-9. 채권자취소권의 요건을 갖춘 각 채권자가 동일한 법률행위에 대해 채권자취소 및 원상회복소송을 제기한 경우의 법리 :〔법전협 22년 제3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2.〕 235
12-10. 사해행위취소 승소판결이 확정된 후에 원물반환불능시 다시 제기한 가액반환청구 인정 여부 :〔법전협 19년 제3차모의. 제1문의 4. 문제 1.〕 236
12-11. 사해행위취소 승소판결이 확정된 후에 원물반환불능시 대상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 :〔법전협 19년 제3차모의. 제1문의 4. 문제 2.〕 238
12-12. 채권자취소권의 요건과 가액배상의 범위 :〔변시 13년 제2회 제2문의 2〕 239
12-13. 사해행위의 경우 원상회복의 방법과 취소의 범위 :〔법전협 21년 제3차모의. 제1문의 7. 문제 1〕 243
12-14. 저당권설정행위가 사해행위로 취소된 것이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 부동산이 사해행위로 양도된 경우 그 원상회복의 범위에 미치는 영향 :〔법전협 20년 제3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246
12-15. 사해행위 당시 그 목적물이 책임재산인지 여부가 문제되는 경우 :〔법전협 23년 제2차모의. 제1문의 6.〕 248
12-16. 채권자취소권의 행사와 가액배상 금액의 산정 1 :〔법전협 18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250
12-17. 채권자취소권의 행사와 가액배상 금액의 산정 2 :〔변시 22년 제11회. 제1문의 5. 문제 4.〕 253
12-18. 사해행위 판단시 책임재산의 산정기준 1 :〔법전협 18년 제3차모의. 제1문의 1. 문제 4.〕 255
12-19. 사해행위 판단시 책임재산의 산정기준 2 :〔법전협 21년 제3차모의. 제1문의 6. 문제 1.〕 257
12-20. 채무자 소유의 재산이 다른 채권자의 채권에 물상담보로 제공되어 있는 경우 책임재산의 산정 :〔법전협 24년 제3차모의. 제1문의 6. 문제 2.〕 259
12-21. 채무자 소유의 재산이 다른 채권자의 채권에 물상담보로 제공되어 있는 경우 책임재산의 산정 및 취소의 상대효 :〔법전협 17년 제3차모의. 제2문. 문제 5〕 262
12-22. 채무자 소유의 재산이 다른 채권자의 채권에 물상담보로 제공되어 있는 경우 책임재산의 산정 및 취소의 상대효 :〔법전협 17년 제3차모의. 제2문. 문제6.〕 264
12-23. 채권자대위소송의 제3채무자의 시효원용 여부와 채권자대위소송에서 피대위권리의 존재 여부 :〔법전협 24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2.〕 266
12-24. 사해행위취소 소송의 수익자가 원상회복으로서 채권자에게 가액배상을 할 경우, 수익자의 상계 인정 여부 (부정) :〔법전협 19년 제3차모의. 제1문의 4. 문제 3.〕 268
12-25. 사해행위취소 소송의 수익자가 원상회복으로서 채권자에게 가액배상을 할 경우, 가액배상채권에 대한 수익자의 압류 및 전부명령의 효력 (유효) :〔법전협 19년 제3차모의. 제1문의 4. 문제 4.〕 270
12-26. 채권양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 경우 사해행위의 취소 및 원상회복의 범위 :〔변시 21년 제10회. 제2문의 2. 문제 1.〕 271
12-27. 채권양도가 사해행위로 취소된 경우 취소채권자가 채무자를 대위하여 제3채무자에게 채권에 관한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 (부정) :〔변시 21년 제10회. 제2문의 2. 문제 2.〕 272
12-28. 사해행위취소소송에서 사해행위취소의 방법과 범위 :〔법전협 24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1.〕 273
12-29. 사해행위 취소의 상대효 :〔변시 19년 제8회 제2문의 3 〈문제〉 2.〕 276
12-30. 해제의 효과, 채권자취소소송의 피고적격과 요건 :〔법전협 13년 제1차모의. 제2문 문 1.〕 278
12-31. 특정채권을 보전하기 위한 채권자취소의 소의 취급 :〔법전협 13년 제1차모의. 제2문 문 2.〕 282
12-32. 채권자취소권에서 피보전채권의 성립시기 :〔법전협 13년 제1차모의. 제2문 문 3. (2)〕 282
12-33. 채권자취소의 소의 제척기간 :〔법전협 22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1〕 283
12-34. 채권자가 전득자를 상대로 채권자취소의 소를 제기하는 경우 :〔변시 22년 제11회. 제1문의 5. 문제 3.〕 285
사 례 13 채권양도
13-1. 채권양도와 가압류의 경합시 우열판단과 전부명령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 :〔변시 14년 제3회 제1문의 3 〈문제〉 2.〕 287
13-2.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의 양도 :〔사시 2013년 제55회 제1문 문제1〕 289
13-3. 매매예약완결권의 단독 행사여부 :〔사시 2013년 제55회 제1문 문제2〕 291
13-4. 채권양도 금지특약 및 다른 채무의 담보조로 채권양도를 한 경우에 관한 법리 :〔변시 24년 제13회. 제2문의 2. 문제 1.〕 292
13-5. 양도금지특약을 위반하여 이루어진 채권양도의 효력 :〔법전협 21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294
13-6. 지명채권의 양도에서 통지나 승낙이 없는 경우의 법률관계 :〔변시 16년 제5회 제1문의 1 〈문제〉 1〕 297
13-7.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에 관한 양도제한의 법리의 적용 여부 :〔법전협 24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298
13-8. 양도금지의 특약이 있는 채권의 양도, 채권양수인 명의로 한 채권양도 통지의 효력 :〔법전협 15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 2.〕 300
13-9. 채무자의 이의보류 없는 승낙의 효력과 상계항변 :〔법전협 15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 3.〕 302
13-10. 이의보류 없는 승낙의 효력과 공유자의 임대차보증금반환채무의 범위 :〔법전협 20년 제3차모의. 제1문의 3. 문제 1.〕 303
13-11. 민법 제451조의 통지의 효력과 채무자의 항변관계 :〔법전협 15년 제3차모의. 제1문의 [문제 1] 〈문 1〉〕 305
13-12. 채무자의 이의보류 없는 승낙의 효력과 채무자의 항변관계 :〔법전협 22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308
13-13. 채무자의 이의보류 없는 승낙의 효력과 보호되는 양수인의 범위 :〔법전협 17년 제3차모의. 제2문. 문제 3.〕 309
13-14. 채권양도통지의 효력과 채무자의 항변관계 :〔변시 12년 제1회 제1문의 1 문 1.〕 310
13-15. 채권자대위소송과 양수금청구소송 :〔변시 12년 제1회 제1문의 1 문 2.〕 312
13-16. 민법 제451조의 단순승낙의 효력과 채무자의 항변관계 :〔법전협 15년 제3차모의. 제1문의 [문제 2] 〈문 2〉〕 314
13-17. 채권의 이중양도와 단순승낙의 효력 1 :〔법전협 18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5.〕 317
13-18. 채권의 이중양도와 단순승낙의 효력 2 :〔법전협 17년 제1차모의. 제1문의 1. 문제 1.〕 318
13-19. 채권양도의 제3자에 대한 대항요건 :〔법전협 13년 제3차모의. 제2문 문 4.〕 321
13-20. 민법 제450조 제2항의 제3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변시 25년 제14회. 제2문2.〕 323
13-21. 채권의 이중양도, 보증채무 :〔법전협 16년 제3차모의. 제1문의 1. 문 3.〕 326
13-22. 가압류와 채권양도의 경합시 우열 :〔변시 12년 제1회 제1문의 1 문 5.〕 328
13-23. 채권의 이중양도의 경우 우열 결정 기준과 채권양도계약이 합의해지된 경우의 법리 :〔법전협 17년 제3차모의. 제2문. 문제 4.〕 330
13-24. 채권양도 통지와 압류 및 전부명령이 동시에 도달된 경우의 법리 :〔법전협 24년 제2차모의. 제1문의 6. 문제 1.〕 332
사 례 14 면책적 채무인수
면책적 채무인수의 경우 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인수인의 항변사유 :〔변시 19년 제8회 제2문의 1 〈문제〉 2.〕 334
사 례 15 이행인수
15-1. 이행인수의 법률관계 1 :〔사시 2016년 제58회 제1문. 문 4〕 336
15-2. 이행인수의 법률관계 2 :〔법전협 20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2.〕 337
15-3. 이행인수의 법률관계 3 :〔법전협 22년 제2차모의. 제1문의 6. 문제 1.〕 339
사 례 16 다수당사자의 채권관계
16-1. 불가분채무를 일부 변제한 경우 구상범위 :〔법전협 23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3.〕 342
16-2. 다른 채권자가 이미 가압류한 채권에 관한 압류 및 전부명령의 효력과 연대채무자 1인에 대하여 소멸시효가 완성된 경우의 효력 등 :〔변시 19년 제8회 제1문의 1 〈문제〉 1.〕 344
16-3. 부진정연대채무의 경우 다액채무자의 일부변제 :〔법전협 22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348
16-4. 병존적 채무인수, 부진정 연대채무자가 다른 부진정 연대채무자의 채권으로 상계할 수 있는지 여부 :〔법전협 22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3.〕 350
16-5. 공동보증인 사이의 구상권과 연대보증인의 구상채무의 범위 :〔법전협 20년 제3차모의. 제1문의 3. 문제 2.〕 352
제3편 채권각론
사 례 1 계약의 성립
1-1. 청약의 유인과 청약의 구별 :〔변시 21년 제10회. 제2문의 3. 문제 1.〕 355
1-2. 청약의 확정성 및 의사표시를 한 사람이 생각한 의미가 상대방이 생각한 의미와 다른 경우 의사표시를 해석하는 방법 :〔법전협 23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357
사 례 2 위험부담
2-1. 제537조의 위험부담과 대상청구권 :〔법전협 1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 2.〕 359
2-2. 채권자위험부담주의의 적용요건 :〔변시 25년 제14회. 제2문의 1. 문제1.〕 361
2-3. 이행인수, 채권자위험부담주의, 이행불능에 귀책사유가 있는 매수인의 계약해제 주장 :〔법전협 15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 1.〕 363
2-4. 이행인수와 채권자위험부담주의 :〔법전협 1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 4.〕 366
사 례 3 제3자를 위한 계약
제3자를 위한 계약의 법률관계 :〔사시 2016년 제58회 제1문. 문 3〕 368
사 례 4 해 제
4-1. 해제의 요건 :〔법전협 14년 제3차모의. 제1문의 3 문 1.〕 370
4-2. 이행거절로 인한 계약의 해제 :〔사시 2011년 제53회 제2문의2〕 372
4-3. 계약해제와 제3자 보호 :〔법전협 12년 제2차모의. 제2문 문 4.〕 374
4-4. 지연손해금율에 관한 약정은 없고 이자율에 관한 약정만 있는 경우 지연손해금률 :〔법전협 18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376
4-5. 해제권 행사에 조건을 붙일 수 있는지 여부 :〔법전협 18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378
4-6. 주택임대차에서 임대권원의 바탕이 되는 매매계약이 해제된 경우 임차권의 대항력이 인정되는지 여부 :〔법전협 18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3.〕 379
4-7. 해제의 효과 :〔법전협 14년 제2차모의. 제1문의 4 문 1.〕 380
4-8. 민법 제548조 1항 단서의 제3자 :〔법전협 14년 제2차모의. 제1문의 4 문 2.〕 384
4-9. 소유권에 기한 부동산 인도청구에 대한 항변사유들 :〔법전협 19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385
4-10. 민법 제548조 1항 단서의 제3자로서 보호되는지 여부 :〔사시 2016년 제58회 제1문. 문 1〕 388
4-11. 합의해제로 인정되는 경우 :〔변시 25년 제14회. 제2문의 1. 문제 3.〕 390
4-12. 실권조항에 의한 자동해제 가부 :〔변시 13년 제2회 제1문의 1 〈문제〉 1.의 라.〕 392
사 례 5 증 여
유증의 철회에 관한 민법 제1108조 제1항이 사인증여에 준용되는지 여부 :〔변시 24년 제13회. 제2문의 1. 문제 2.〕 394
사 례 6 해약금에 기한 해제
6-1. 제565조 해약금에 기한 해제의 요건구비 여부 :〔변시 17년 제6회 〈제1문의 1 - 문제〉 1.〕 396
6-2. 계약금의 일부를 받은 매도인이 그 배액을 상환한 계약의 해제 여부 :〔변시 16년 제5회 제2문의 2 〈문제〉 2.〕 398
6-3. 해약금에 기한 해제권행사 :〔사시 2011년 제53회 제2문의 2〕 400
6-4. 중도금 지급기일 전에 중도금 지급이 제565조 1항의 이행의 착수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전협 21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1.〕 402
사 례 7 담보책임
7-1. 제570조의 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 :〔법전협 1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 1.〕 404
7-2. 제570조에 의한 해제에 따른 원상회복과 손해배상 :〔법전협 12년 제3차모의. 제1문 문 5.〕 406
7-3. 손해배상의 법적근거로서 하자담보책임 등 :〔법전협 14년 제3차모의. 제1문의 3 문 2. (1)〕 409
7-4. 하자담보책임 성립 여부, 제척기간과 소멸시효의 양립 :〔법전협 19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1〕 410
7-5. 오염된 토지 매수인의 구제수단 :〔변시 24년 제13회. 제2문의 3〕 412
7-6. 제580조의 하자담보책임과 제109조에 의한 착오취소 :〔법전협 20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415
사 례 8 임대차
8-1. 임차인의 임차목적물 보존의무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 :〔법전협 19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1.〕 418
8-2. 임차인의 비용상환청구권과 유치권의 성립 :〔법전협 12년 제3차모의. 제1문 문 2.〕 420
8-3. 임차인의 비용상환청구권, 임대차보증금의 담보적 효력 :〔법전협 15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 2〕 422
8-4. 임차인의 부속물매수청구권 :〔사시 2014년 제56회 제2문의 1〕 424
8-5. 임대차 종료시 부합물과 부속물에 대한 법률관계 :〔법전협 14년 제1차모의. 제1문 문 8.〕 425
8-6. 건물의 소유를 목적으로 한 토지임차권의 대항력과 임차권 양도의 법률관계 :〔사시 2017년 제59회 제1문의 2. 문 2.〕 427
8-7. 토지임대차에서 임대차기간 중 토지소유자가 변동된 경우 토지임차권의 대항력, 임차인의 지상물매수청구권 :〔법전협 15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 2.〕 429
8-8. 토지임차인의 지상건물에 관한 매수청구권과 토지 소유자의 건물임차인에 대한 건물로부터의 퇴거 청구 :〔변시 21년 제10회. 제2문의 1. 문제 1.〕 432
8-9. 지상물매수청구권의 행사와 부당이득 :〔법전협 17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434
8-10. 토지 임대인의 원상회복청구권 행사에 대해 임차인이 지상물매수청구권을 행사한 경우의 법률효과 :〔사시 2016년 제58회 제3문. 문 4〕 436
8-11. 토지 임대인의 원상회복청구권 행사에 대해 임차인이 지상물매수청구권을 행사한 경우의 법률효과 :〔법전협 22년 제1차모의. 제1문의 2. 문제 1.〕 438
8-12. 지상물매수청구권의 행사와 법원의 석명 및 부당이득 :〔법전협 2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3.〕 440
8-13. 부당이득반환채권과 임대차보증금의 성격 :〔사시 2013년 제55회 제1문 문제3〕 443
8-14. 건물임대차계약이 종료한 후 임차인에게 불법점유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이나 부당이득반환채무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변시 21년 제10회. 제2문의 1. 문제 2.〕 445
사 례 9 주택임대차보호법
9-1. 주택임대차의 대항력과 우선변제적 효력 :〔법전협 1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 3.〕 447
9-2. 보증금의 일부만 변제받은 경우의 법리 :〔법전협 1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 4.〕 449
9-3. 대항력을 갖춘 임차권의 소멸 ㆍ 유치권의 행사 ㆍ 상계 여부 :〔법전협 19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3.〕 450
9-4. 주택임대차의 양수인과 보증금반환의 법리 :〔변시 13년 제2회 제2문의 1 문 2.〕 453
9-5. 대항력 있는 임차권이 갱신된 후의 임차권 양수인과 기존 저당권자의 우열관계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 3.〕 456
9-6. 임대인의 동의 없는 전대차가 임대인에 대하여도 적법, 유효하다고 평가되는 경우의 법리 :〔법전협 22년 제3차모의. 제2문의 3.〕 458
9-7. 대항력있는 임차권과 저당권의 우열 판단 :〔변시 17년 제6회 〈제2문의 1 - 문제〉 1.〕 460
9-8. 임대차 종료시의 효과 :〔변시 17년 제6회 〈제2문의 1 - 문제〉 2.〕 462
9-9. 대항요건을 갖춘 임대주택의 양수인의 지위 :〔법전협 23년 제2차모의. 제1문의 7. 문제 2.〕 464
9-10. 양수인이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하는 경우 채권가압류의 제3채무자 지위도 승계하는지 여부 :〔법전협 15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 3.〕 466
9-11. 상속 또는 경매에 의해 주임법 제3조 4항의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하는지 여부 :〔법전협 23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468
9-12. 이미 발생한 연체차임 채권이 임차건물의 양수인에게 승계되는지 여부와 보증금의 담보적 효력의 범위 :〔변시 2018년 제7회 제2문의 3. 문 1.〕 470
9-13. 차임채권에 관하여 압류 및 추심명령이 있는 경우의 보증금의 담보적 효력 :〔변시 2018년 제7회 제2문의 3. 문 2.〕 472
사 례 10 도 급
10-1. 도급의 경우 신축건물의 소유권 귀속, 계약인수 및 채권자대위권 :〔사시 2012년 제54회 제1문〕 473
10-2. 도급의 법률관계 :〔법전협 21년 제2차모의. 제1문의 3. 문제 1.〕 476
10-3. 수급인의 담보책임 :〔법전협 17년 제3차모의. 제1문의1. 문제 2.〕 478
10-4. 수급인의 하자담보책임과 복이행보조자 및 민법 제669조의 법리 :〔변시 24년 제13회. 제1문의 4. 문제1.〕 480
10-5. 도급, 상계항변의 적법여부 :〔법전협 13년 제3차모의. 제2문 문 3.〕 483
10-6. 건축공사도급계약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계약 해제의 효과 :〔법전협 21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487
사 례 11 임 치
11-1. 착오로 계좌이체를 한 경우의 법리 :〔법전협 24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489
11-2. 착오로 마이너스 통장에 계좌이체를 한 경우의 법리 :〔법전협 24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491
사 례 12 조 합
12-1. 합유재산의 보존행위 :〔법전협 22년 제2차모의. 제1문의 2. 문제 1.〕 493
12-2. 조합채무에 대한 조합원의 책임 :〔사시 2009년 제51회 제2문의 2〕 494
12-3. 조합채무에 대한 책임 :〔법전협 21년 제2차모의. 제1문의 3. 문제 2.〕 496
12-4. 상행위에 따른 조합원의 연대책임 :〔법전협 13년 제3차모의. 제2문 문 1.〕 498
12-5. 조합채무에 대한 조합원의 책임 :〔사시 2009년 제51회 제2문의 2〕 500
사 례 13 화 해
공동불법행위와 화해계약 :〔법전협 17년 제2차모의. 제1문의 2. 문제1.〕 502
사 례 14 부당이득
14-1. 타인 소유의 토지 위에 권한 없이 미등기 건물을 소유하는 자와 위 건물에 관한 사실상의 처분권을 보유하게 된 양수인의 토지소유자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채무 :〔법전협 24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504
14-2. 채무자위험부담주의의 법리 및 악의의 수익자의 부당이득 반환 범위 :〔변시 25년 제14회. 제2문의 1. 문제2.〕 506
14-3. 제3자의 변제와 도의관념에 적합한 비채변제 :〔법전협 17년 제2차모의. 제1문의 2. 문제2.〕 508
14-4. 동기의 불법과 불법원인급여 :〔법전협 16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 1.〕 509
14-5. 불법원인급여의 반환청구금지와 동기의 불법 :〔법전협 22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511
14-6. 전용물소권의 인정여부 :〔변시 15년 제4회 제1문의 4〕 512
14-7. 임차인의 임차물의 신소유자에 대한 유익비상환청구와 부당이득반환청구가 인정되는지 여부 :〔법전협 19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514
14-8. 제203조에 의한 비용상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 비용지출자와 판례의 전용물소권 부인론 :〔법전협 19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516
14-9. 유동적 무효의 법리와 삼각관계에서의 부당이득 :〔사시 2017년 제59회 제1문의 1〕 518
14-10. 삼각관계에서의 급부가 이루어진 경우 부당이득반환청구의 상대방 :〔변시 22년 제11회. 제2문의 1. 문제 1.〕 521
14-11. 횡령한 금전으로 자신의 채무를 변제한 경우 부당이득 성립 여부 :〔변시 25년 제14회. 제1문의 4. 문제2.〕유제 법전협 17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3. 523
14-12. 삼각관계에서의 급부와 횡령ㆍ편취한 금전에 의한 채무변제의 경우 부당이득 :〔변시 2018년 제7회 제1문의 2. 문 1.〕 526
14-13. 무권대리와 횡령ㆍ편취한 금전에 의한 채무변제 :〔변시 2018년 제7회 제1문의 2〕 528
사 례 15 사용자책임
15-1. 사용자책임 1 :〔사시 2015년 제57회 제2문의 2.〕 530
15-2. 사용자책임 2 :〔사시 2014년 56회 제1문의 2〕 532
15-3. 사용자책임이 면책되는 경우 :〔변시 24년 제13회. 제1문의 5. 문제1.〕 535
사 례 16 공작물책임
16-1. 공작물책임 :〔사시 2007년 제49회 제2문의1〕 537
16-2. 보호의무와 공작물책임 :〔법전협 19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2.〕 538
16-3. 유족의 위자료청구권 인정 여부와 위자료청구권의 상속여부 :〔법전협 19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3.〕 540
사 례 17 공동불법행위
17-1. 협의의 공동불법행위책임과 운행자책임 :〔변시 17년 제6회 〈제2문의 3 - 문제〉 1.〕 542
17-2. 피용자가 공동불법행위자인 경우 사용자의 구상권 :〔변시 17년 제6회 〈제2문의 3 - 문제〉 2.〕 544
17-3. 협의의 공동불법행위책임과 사용자책임 :〔법전협 17년 제3차모의. 제1문의1. 문제 3.〕 546
17-4. 협의의 공동불법행위책임과 그 손해배상액, 사용자책임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1문의 2 문 1.〕 548
17-5. 공동불법행위자들 상호간의 구상권 행사와 그 범위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1문의 2 문 2〕 551
17-6. 사용자책임과 부진정연대채무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1문의 2 문 3.〕 551
17-7. 공동불법행위에 따른 책임범위와 과실상계 :〔법전협 13년 제2차모의. 제1-1문 문 1.〕 553
17-8. 고의의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한 상계의 금지 :〔법전협 13년 제2차모의. 제1-1문 문 2.〕 556
17-9. 부진정연대채무와 구상권 :〔법전협 13년 제2차모의. 제1-1문 문 3.〕 557
17-10. 공동불법행위와 사용자책임 :〔법전협 16년 제1차모의. [문제 1] 문 1.〕 559
17-11. 부진정연대채무자 1인에 관하여 생긴 사유의 효력 :〔법전협 16년 제1차모의. [문제 1] 문 2.〕 562
17-12. 공동불법행위와 보험자대위 :〔법전협 16년 제1차모의. [문제 1] 문 3.〕 563
제4편 물권법
사 례 1 물권법 서론
1-1. 점유의 소와 본권의 소의 관계 :〔변시 24년 제13회. 제1문의 6.〕 564
1-2. 토지소유자의 건물소유자 및 대항력있는 주택임차인에 대한 건물퇴거청구 :〔법전협 2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566
1-3. 소유권에 기한 방해배제청구권에서의 방해의 개념 〔사시 2011년 제53회 제1문〕 568
1-4. 소유물이 훼손된 경우 손해배상의 범위 〔사시 2011년 제53회 제1문〕 569
사 례 2 등 기
2-1. 등기가 불법말소된 경우의 법리 :〔법전협 17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1.〕 570
2-2. 말소회복 등기의 상대방 :〔법전협 23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571
2-3. 등기의 추정력 :〔법전협 19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572
2-4. 중간생략등기 청구의 요건 :〔법전협 22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574
2-5. 중간생략등기 :〔변시 13년 제2회 제2문의 3 〈문제〉 1.〕 575
2-6. 중간생략등기 합의의 성질 :〔변시 13년 제2회 제2문의 3 〈문제〉 2.〕 576
2-7. 중간생략등기 :〔변시 23년 제12회. 제2문의 3. 문제 1.〕 577
2-8. 중간생략등기가 유효한지 여부 :〔변시 17년 제6회 〈제1문의 1 - 문제〉 2.〕 579
2-9. 무효인 근저당설정등기의 유용과 등기상의 이해관계인 :〔변시 21년 제10회. 제1문의 5. 문제 2〕 580
사 례 3 선의취득
3-1. 선의취득 :〔법전협 17년 제2차모의. 제1문의 1. 문제1.〕 582
3-2. 선의취득과 도품 및 유실물에 관한 특칙의 인정 여부 :〔변시 20년 제9회. 제1문의 2. 문제 2.〕 584
사 례 4 점유자와 회복자의 관계
4-1. 부당이득반환청구와 선의 점유자의 과실수취권 :〔법전협 19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585
4-2. 권원없는 점유자에 대한 반환청구 :〔법전협 14년 제1차모의. 제1문 문 9.〕 587
4-3. 물권적 청구권과 점유자의 부당이득반환 범위 :〔법전협 12년 제3차모의. 제1문 문 1.〕 590
사 례 5 소유권 총설
5-1. 토지의 배타적 사용수익권 포기 여부와 권리남용 여부 :〔법전협 23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594
5-2. 특정인의 공로통행을 방해하는 행위가 불법행위인지 여부와 이 경우 불법행위의 법적 효과로서 통행방해의 금지를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 :〔법전협 23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596
5-3. 주위토지통행권 :〔법전협 22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1.〕 598
5-4. 무상주위토지통행권에 관한 민법 제220조는 토지의 직접 분할자, 일부 양도의 당사자 사이에만 적용되는지 여부 :〔법전협 22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2.〕 600
사 례 6 취득시효
6-1. 등기부취득시효의 주장 가부 :〔법전협 23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2.〕 601
6-2. 부동산 점유취득시효 완성자의 등기청구 :〔변시 17년 제6회 〈제2문의 2 - 문제〉 2.〕 604
6-3. 부동산 점유취득시효 완성자의 등기청구 2 :〔변시 22년 제11회. 제1문의 2.〕 606
6-4. 점유승계와 취득시효의 요건 :〔법전협 12년 제2차모의. 제1문 문 2.〕 609
6-5. 채권자대위권과 점유취득시효 :〔법전협 24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611
6-6. 상속이 새로운 점유권원이 되는지 여부 :〔법전협 14년 제2차모의. 제2문 문 1.〕 613
6-7. 취득시효로 인한 이전등기청구권이 시효대상인지 여부 :〔법전협 14년 제2차모의. 제2문 문 2.〕 615
6-8. 점유취득시효 기산점의 성질 및 시효완성후의 법률관계 :〔법전협 13년 제1차모의. 제1-2문 문 1〕 616
6-9. 취득시효 완성후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한 경우의 법률관계 :〔법전협 13년 제1차모의. 제1-2문 문 3.〕 618
6-10. 취득시효완성 후 명의신탁자에게 소유권이 복귀한 것이 권리변동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전협 19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619
6-11. 수증자가 상속에 의해 증여자의 지위를 포괄승계한 경우에 취득시효 완성 후의 새로운 이해관계인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 (부정) :〔법전협 20년 제1차모의. 제2문. 문제 2.〕 621
6-12. 점유취득시효 완성자의 등기 전에 한 가처분의 효력 :〔법전협 20년 제1차모의. 제2문. 문제 3. 유사한 문제 : 법전협 24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3.〕 622
6-13. 부동산 점유취득시효의 효과 :〔변시 16년 제5회 제1문의 2 문 1.〕 624
6-14. 점유취득시효의 완성을 알고 있는 부동산 소유자가 그 부동산을 처분한 경우 시효완성자의 구제책 :〔변시 16년 제5회 제1문의 2 문 2.〕 628
6-15. 시효 완성 후 소유권이 타에 이전된 경우의 법률관계 :〔법전협 17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629
6-16. 압류 또는 가압류가 취득시효의 중단사유가 되는지 여부와 취득시효 완성의 효력(= 원시취득) :〔법전협 21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631
6-17. 점유취득시효에서의 부당이득반환의 성부 :〔변시 15년 제4회 제2문의 2 문 1.〕 633
6-18. 점유취득시효에서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의 성부 :〔변시 15년 제4회 제2문의 2 문 2.〕 634
6-19. 등기부취득시효에 관한 법리 :〔변시 24년 제13회. 제2문의 1. 문제 1.〕 635
사 례 7 부 합
7-1. 부합과 선의취득의 법리 :〔법전협 17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637
7-2. 민법 제261조에 따른 보상 청구의 타당성 여부 :〔법전협 21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1〕 639
사 례 8 공동소유
8-1. 공유물의 관리행위의 법률관계 :〔변시 17년 제6회 〈제2문의 2 - 문제〉 1.〕 641
8-2. 공유물의 관리행위와 공유자간의 부당이득 반환관계 :〔법전협 18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643
8-3. 공유물의 무단관리행위에 대한 법리 :〔변시 12년 제1회 제2문의 2 〈문제〉 2.〕 645
8-4. 공유물의 관리에 관한 대리행위의 효과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 1.〕 647
8-5. 공유물의 관리행위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 2.〕 648
8-6. 공유물 분할청구의 소에서 분할방법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 3.〕 649
8-7. 공유지분에 관하여 저당권이 설정된 후 부동산이 현물분할된 경우 : 공동저당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 4.〕 650
8-8. 2차 점유취득시효 완성과 중단 여부 등 :〔법전협 20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1.〕 652
8-9. 선의의 점유자가 패소한 경우 부당이득반환의무와 그 범위 :〔법전협 20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2.〕 655
사 례 9 명의신탁
9-1. 구분소유적 공유의 대외관계 :〔변시 14년 제3회 제1문의 1 〈문제 1〉〕 657
9-2.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의 승계 여부 :〔사시 2016년 제58회 제3문. 문 3〕 659
9-3. 명의신탁과 진정명의회복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 부동산실명법제4조 3항의 제3자 :〔법전협 16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 3.〕 660
9-4. 명의신탁과 부동산실명법 제4조 제3항의 제3자 :〔법전협 14년 제2차모의. 제2문 문 5.〕 662
9-5. 부동산 실명법 제4조 제3항의 제3자인지 여부와 소유권이전등기가 실체관계에 부합하는지 여부 :〔변시 23년 제12회. 제2문의 1. 문제 2.〕 665
9-6. 부부간의 명의신탁과 소송계속 중 신탁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의 소송수계 인정여부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 5.〕 667
9-7. 명의신탁관계가 존속하는지 여부 :〔법전협 17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1.〕 669
9-8. 양자간 명의신탁의 법률관계 :〔법전협 18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671
9-9. 양자간 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의 신탁부동산 처분행위의 법률관계 :〔법전협 18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673
9-10. 등기의 효력발생 시점과 3자간 등기명의신탁 :〔변시 23년 제12회. 제2문의 1. 문제 1.〕 675
9-11. 3자간 등기명의신탁의 법률관계 :〔법전협 20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676
9-12. 3자간 등기명의신탁부동산을 수탁자가 처분하거나 수용되어 받은 금원에 대한 신탁자의 부당이득 반환 청구 인정 여부 :〔법전협 20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678
9-13. 3자간 등기명의신탁부동산에 수탁자 乙이 저당권을 설정하고 대출받은 금원에 대한 신탁자 甲의 부당이득 반환 청구 인정 여부 :〔법전협 22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679
9-14. 부동산실명법 시행 전의 계약명의신탁에 따른 법률관계 :〔법전협 24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681
9-15. 매도인 선의의 계약명의신탁에서 부당이득반환 청구의 대상 :〔법전협 18년 제1차모의. 제1문의 3. 문제 2.〕 683
9-16. 계약명의신탁의 법률관계 :〔변시 16년 제5회 제2문의 1 〈문제〉 1.〕 685
9-17. 부동산실명법 시행 후의 계약명의신탁에 따른 법률관계 :〔변시 16년 제5회 제2문의 1 〈문제〉 2〕 687
9-18. 부동산실명법 시행 전의 계약명의신탁에 따른 법률관계 :〔변시 16년 제5회 제2문의 1 〈문제〉 3〕 690
9-19. 계약명의신탁의 법리와 유치권 :〔변시 13년 제2회 제2문의 1〕 692
9-20.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신탁자가 명의신탁약정에 따라 부동산을 점유하는 경우에 자주점유의 추정이 깨어지는지 여부 :〔법전협 24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696
9-21. 간접점유에 의한 점유취득시효도 가능한지 여부 및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신탁자의 점유가 자주점유인지 여부 :〔변시 25년 제14회. 제2문의 3. 문제 1.〕 699
9-22.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신탁자의 점유가 자주점유인지 여부 (부정) :〔변시 25년 제14회. 제2문의 3. 문제 2.〕 702
9-23. 매도인이 악의인 계약명의신탁 :〔법전협 23년 제3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2.〕 704
9-24. 매도인 악의의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가 부동산을 제3자에게 처분한 경우 매도인의 명의수탁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인정 여부 :〔법전협 19년 제3차모의. 제2문의 3.〕 707
사 례 10 지상권
10-1. 담보지상권의 경우, 피담보채무가 존재하는지 여부 :〔법전협 19년 제1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1〕 709
10-2. 담보지상권과 민법 제256조 단서의 권원 :〔법전협 19년 제1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2.〕 710
10-3. 사용수익권이 없는 담보지상권자의 부당이득반환 청구 :〔법전협 19년 제1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3.〕 712
10-4. 지료연체로 인한 지상권소멸청구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 2.〕 713
사 례 11 분묘기지권
11-1. 분묘기지권 :〔법전협 22년 제1차모의. 제2문의 4. 문제 1.〕 715
11-2. 분묘기지권에서의 분묘의 소유자 :〔법전협 22년 제1차모의. 제2문의 4. 문제 2.〕 716
사 례 12 법정지상권
12-1. 관습상 법정지상권을 취득한 건물의 소유자가 건물을 제3자에게 처분한 경우의 법리 :〔법전협 24년 제3차모의. 제1문의 6. 문제 1.〕 717
12-2. 법정지상권의 승계 :〔법전협 14년 제2차모의. 제2문 문 7.〕 720
12-3. 토지와 그 지상 건물에 공동저당권설정 후 건물이 철거되고 다시 신축된 경우의 법정지상권 인정 여부 :〔법전협 24년 제1차모의. 제1문의 6. 문제 3. 유제 : 사시 2009년 제51회 제3문 문 2.〕 722
12-4. 저당권의 실행으로 토지가 낙찰되기 전에 건물이 제3자 乙에게 양도된 경우 乙의 제366조의 법정지상권의 취득 여부 :〔법전협 2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724
12-5. 구분소유적 공유와 법정지상권 :〔변시 14년 제3회 제1문의 1 〈문제 2〉의 문 2.〕 726
12-6. 법정지상권자의 지료 연체를 이유로 지상권소멸청구가 인정되는지 여부 :〔법전협 18년 제3차2모의. 제2문의 1. 문제 1.〕 728
12-7. 관습상 법정지상권의 성립여부 :〔변시 12년 제1회 제2문의 2 〈문제〉 1.〕 731
12-8. 관습상의 법정지상권 :〔법전협 15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 1.〕 733
12-9. 저당권 설정된 후 강제경매된 경우 관습상의 법정지상권 취득 여부 :〔법전협 23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735
12-10. 토지소유자의 건물을 매수하여 점유하고 있는 자에 대한 건물철거청구의 정당성 검토와 법정지상권 :〔법전협 16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 2.〕 737
12-11. 토지소유자의 대항력있는 주택임차인에 대한 건물퇴거청구의 정당성 검토 :〔법전협 16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 1.〕 739
12-12. 법정지상권의 성립 여부와 그 승계취득 :〔법전협 16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 1.〕 740
12-13. 사해행위취소 확정판결을 원인으로 동일인 소유였던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달라지게 된 경우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의 성립 여부 :〔법전협 16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 2.〕 743
12-14. 관습상의 법정지상권과 제366조의 법정지상권 성립요건 구비 여부 :〔변시 17년 제6회 〈제1문 의 3 - 문제〉 1.〕 745
사 례 13 전세권
13-1. 전세권이 설정된 건물이 경매된 경우의 법률관계 :〔사시 2013년 제55회 제3문〕 747
13-2. 전세기간 만료후 전세권 양도의 법리 :〔법전협 14년 제2차모의. 제2문 문 5.〕 749
13-3. 전세권 저당권의 행사방법 :〔변시 15년 제4회 제1문의 2〕 750
13-4. 일반 채권자가 압류 및 추심명령을 먼저 받은 뒤 물상대위권의 행사로 인한 전부명령의 효력 :〔변시 19년 제8회 제2문의 2 〈문제〉 1.〕 752
13-5. 물상대위권의 추급력 :〔법전협 16년 제2차모의. 제2-1문. 문 2.〕 754
13-6. 물상대위권의 추급력 :〔법전협 16년 제2차모의. 제2-1문. 문 3.〕 755
13-7. 물상대위권의 추급력과 제108조 2항의 제3자 :〔법전협 23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1.〕 756
사 례 14 유치권
14-1. 소유권에 기한 인도청구와 유치권의 항변 :〔법전협 14년 제1차모의. 제1문 문 7.〕 759
14-2. 제213조 단서의 점유할 권리로서 전세권 및 유치권 행사 여부 :〔법전협 18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3.〕 761
14-3. 압류의 효력 발생 전에 민사유치권이 성립한 경우 경매절차의 매수인에 대한 유치권행사 여부 (긍정) :〔변시 2018년 제7회 제1문의 3. 문제1.〕 763
14-4. 체납처분압류등기 후에 민사유치권이 성립한 경우 경매절차의 매수인에 대한 유치권행사 여부 (긍정) :〔변시 2018년 제7회 제1문의 3. 문제2.〕 765
14-5. 선행(先行)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사유치권이 성립한 경우 임의경매절차의 매수인에 대한 유치권행사 여부 (부정) :〔변시 2018년 제7회 제1문의 3. 문제3.〕 766
14-6. 압류의 효력 발생 후에 민사유치권이 성립한 경우 경매절차의 매수인에 대한 유치권행사 여부 (부정) :〔사시 2012년 제54회 제1문〕 767
14-7. 유치권과 동시이행항변권의 행사 여부 :〔법전협 16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 1.〕 769
14-8. 토지소유자의 건물 점유자에 대한 건물에서의 퇴거청구의 정당성 검토와 관습상의 법정지상권 성립 여부 :〔법전협 16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 2.〕 771
14-9. 피담보채권의 시효완성으로 인한 유치권의 소멸 여부 :〔법전협 21년 제3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773
14-10. 유치권에 기한 항변 :〔법전협 23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775
사 례 15 질 권
15-1. 지명채권에 대한 질권의 대항요건 :〔변시 23년 제12회. 제1문의 6. 문제 1.〕 778
15-2. 채권질권과 임대인지위 승계 여부 :〔법전협 20년 제1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1.〕 780
15-3. 질권자 동의 없는 질권설정자의 이익침해 행위 :〔법전협 20년 제1차모의. 제1문의 5. 문제 2.〕 784
15-4. 질권이 설정된 채권에 대한 전부명령의 효력 :〔법전협 23년 제2차모의. 제1문의 7. 문제1.〕 786
15-5. 사후에 설정된 저당권이 질권의 목적이 되는지 여부 1 :〔법전협 21년 제3차모의. 제2문의 4. 문제〕 788
15-6. 사후에 설정된 저당권이 질권의 목적이 되는지 여부 2 :〔변시 23년 제12회. 제1문의 6. 문제 2〕 790
사 례 16 저당권
16-1. 저당권의 효력이 미치는 목적물의 범위 :〔법전협 22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793
16-2. 저당권의 효력이 미치는 목적물의 범위와 선의취득 :〔법전협 23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795
16-3. 저당권의 효력이 저당부동산의 종된 권리에도 미치는지 여부 :〔법전협 22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798
16-4. 가압류와 저당권의 우열관계 :〔법전협 17년 제1차모의. 제1문의 1. 문제 2.〕 799
16-5. 저당권자와 선행 가압류채권자 및 후행 압류채권자 사이의 배당관계 :〔법전협 23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801
16-6. 토지저당권자의 일괄경매청구권 1 :〔변시 2018년 제7회 제2문의 1. 문 2.〕 803
16-7. 토지저당권자의 일괄경매청구권 2 :〔법전협 2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3.〕 804
16-8. 저당부동산의 제3취득자가 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소를 제기한 경우 저당권자가 승소할 수 있는 전략 :〔변시 21년 제10회. 제1문의 5. 문제 1.〕 806
16-9. 저당권 실행에 대하여 토지 소유권을 계속 보유할 법적 수단 :〔변시 20년 제9회. 제2문의 1. 문제 2.〕 808
16-10. 저당권의 침해에 대한 저당권자의 방해배제청구권의 행사와 손해배상청구의 인정여부 :〔법전협 17년 제3차모의. 제2문. 문제 1.〕 810
16-11. 근저당권에 있어서 채무액이 채권최고액을 초과하는 경우 물상보증인의 변제액 :〔변시 17년 제6회 〈제1문의 4 - 문제〉 1.〕 812
16-12. 근저당권에 있어서 채무액이 채권최고액을 초과하는 경우 채무자의 변제액 :〔변시 17년 제6회 〈제1문의 4 - 문제〉 2.〕 813
16-13.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의 확정시기 1 :〔변시 20년 제9회. 제2문의 1. 문제 1.〕 814
16-14.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의 확정시기 2 :〔법전협 19년 제1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3.〕 816
16-15.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의 확정시기 3 :〔법전협 20년 제2차모의. 제1문의 4. 문제 1.〕 818
16-16. 공동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의 확정시기와 우선변제권의 범위 :〔법전협 23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1.〕 820
사 례 17 공동저당
17-1. 누적적 근저당권 :〔법전협 21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822
17-2. 공동저당에서 이시배당에 따른 배당액 :〔법전협 13년 제2차모의. 제2-2문 문 1.〕 824
17-3. 공동저당에서 이시배당의 법리 :〔법전협 13년 제2차모의. 제2-2문 문 2.〕 825
17-4. 저당권이 원인 없이 말소된 경우 저당권이 소멸하는지 여부 :〔사시 2016년 제58회 제3문. 문 2〕 827
사 례 18 비전형담보물권
18-1. 양도담보의 법리 :〔법전협 21년 제2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829
18-2. 양도담보권의 실행과 임차주택의 대항력의 우열 :〔법전협 17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830
18-3. 양도담보 목적물인 토지의 소유권 및 사용ㆍ수익권자 :〔법전협 2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832
18-4. 이중의 동산양도담보와 선의취득의 요건 :〔사시 2014년 제56회 제2문의1〕 834
18-5. 동산의 양도담보와 선의취득 :〔법전협 20년 제3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3.〕 836
제5편 가족법
사 례 1 혼 인
출산 경력을 고지하지 아니한 것이 혼인취소사유인 사기인지 여부 :〔변시 24년 제13회. 제2문의 1. 문제 3.〕 838
사 례 2 이해상반행위
2-1. 이해상반행위 :〔사시 2012년 제54회 제2문의1〕 840
2-2. 이해상반행위와 친권(대리권)남용 :〔법전협 20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841
2-3. 친권남용에 의해 무효가 된 경우에 선의의 제3자가 보호되는지 여부 :〔법전협 20년 제1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2.〕 842
사 례 3 부양과 양육
3-1. 미성년자에 대한 과거의 양육비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 :〔사시 2016년 제58회 제2문의 1. 문 1〕 843
3-2. 부부간의 상호부양의무의 경우 이행청구 전 과거의 부양료에 대한 청구 인정 여부 :〔사시 2016년 제58회 제2문의 1. 문 2〕 844
3-3. 양육비채권과 재산분할청구권의 상계 여부 :〔사시 2016년 제58회 제2문의 1. 문 3〕 845
사 례 4 상속회복청구권
4-1. 상속회복청구권 :〔법전협 1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3 문 1.〕 847
4-2. 상속회복청구권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전협 24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1.〕 849
4-3. 포괄적 유증과 상속회복청구권 :〔법전협 21년 제3차모의. 제2문의 5. 문제〕 851
4-4. 제척기간의 경과로 상속회복청구권이 소멸한 경우의 법률관계 :〔법전협 20년 제1차모의. 제2문. 문제 1.〕 853
사 례 5 상속재산의 분할
5-1. 상속재산의 협의분할과 면책적 채무인수 1 :〔변시 14년 제3회 제2문의 3 문 2. 2-2.〕 856
5-2. 상속재산의 협의분할과 면책적 채무인수 2 :〔법전협 23년 제2차모의. 제2문의 1. 문제 2.〕 858
5-3. 상속재산의 협의분할과 면책적 채무인수 3 :〔변시 22년 제11회. 제2문의 3. 문제 1.〕 859
5-4. 상속재산의 협의분할과 면책적 채무인수 4 :〔법전협 18년 제3차모의. 제2문의 2. 문제 3.〕 860
5-5. 가분채권이 상속재산분할대상인지 여부 :〔법전협 19년 제2차모의. 제1문의 6. 문제 2.〕 862
5-6. 상속재산의 분할협의가 채권자취소권 행사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 여부 :〔법전협 19년 제2차모의. 제1문의 6. 문제 3.〕 863
5-7. 공동상속인 중 1인이 무단으로 상속재산에 대해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한 경우의 법리 :〔변시 20년 제9회. 제2문의 3. 문제 1.〕 865
5-8. 상속재산의 분할의 소급효 :〔변시 20년 제9회. 제2문의 3. 문제 2.〕 866
5-9. 상속재산 분할협의가 합의해제된 경우의 법리 :〔변시 20년 제9회. 제2문의 3. 문제 3.〕 867
5-10. 상속재산분할의 소급효와 소급효의 제한 :〔법전협 23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3.〕 869
5-11. 피인지자의 상속문제 :〔사시 2012년 제54회 제2문의1〕 871
5-12. 피인지자의 상속회복청구권 :〔법전협 22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문제 3.〕 873
5-13. 상속재산분할 후에 인지 또는 재판에 의해 공동상속인으로 된 자의 청구권 :〔변시 22년 제11회. 제2문의 3. 문제 2.〕 875
사 례 6 상속의 승인과 포기
6-1. 상속인의 확정 및 공동상속인들의 임대인의 지위승계 :〔법전협 24년 제1차모의. 제2문의 3.〕 878
6-2. 한정승인에 따른 법률관계 :〔법전협 20년 제2차모의. 제2문의 3.〕 882
6-3. 상속포기의 경우 상속권자 :〔법전협 16년 제2차모의. 제2-2문. 문 1.〕 883
6-4. 상속결격과 상속포기 :〔변시 14년 제3회 제2문의 3 문 2. 2-1.〕 885
6-5. 상속포기 신고 후 수리심판 전에 상속재산에 대한 처분행위를 한 경우 :〔사시 2017년 제59회 제1문의 3. 문 3.〕 887
6-6. 상속포기의 법률관계와 관습상의 법정지상권 :〔변시 2018년 제7회 제2문의 2〕 889
6-7. 상속포기와 채권자취소권 :〔사시 2010년 제52회 제1문〕 892
사 례 7 유 언
7-1. 유언의 효력과 상속관계 :〔법전협 19년 제1차모의. 제2문의 4.〕 894
7-2. 비밀증서에 의한 유언이 무효인 경우 무효행위의 전환 :〔법전협 22년 제3차모의. 제2문의 4. 문제 1〕 896
사 례 8 유류분
8-1. 유류분반환청구권 1 :〔법전협 15년 제3차모의. 제2문의 3〕 897
8-2. 유류분반환청구권 2 :〔법전협 22년 제3차모의. 제2문의 4. 문제 2.〕 899
판 례 색 인 90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