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5 국내외 2차전지/차세대전지 시장총람 및 해외진출과 비즈니스 전략 상

2025 국내외 2차전지/차세대전지 시장총람 및 해외진출과 비즈니스 전략 상

  • 신성장동력산업정보기술연구회
  • |
  • 산업경제리서치
  • |
  • 2025-02-14 출간
  • |
  • 2025페이지
  • |
  • 640쪽
  • |
  • ISBN 9791194179306
판매가

460,000원

즉시할인가

414,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14,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2024년 국내외 2차전지 시장분석과 향후 전망

1. 2차전지 분야
1) 국내외 정책 및 시장 분석
(1) 해외 정책동향
가. 미국
나. 중국
다. EU
라. 일본
(2) 국내 정책 동향
2) 국내외 산업 여건 및 시장 현황
(1) 국내 산업 여건
가. 산업특징 및 구조
나. 국내 산업생태계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주요 업체 동향
3) 국내외 기술개발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2) 정부 R&D 투자동향
가. 지원 현황 일반
나. 중소기업 지원 현황
(3) 표준화(규제) 동향
4) 국내 환경 분석
(1) 관점별 환경분석 종합
(2) 중소기업 대응전략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 품목
(2) 국내 핵심품목 정의
가. 실리콘 복합 음극재
나. 리튬인산철 양극재
다. 고안전성·친환경 바인더
라. 고안전성 이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마.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
바. 차세대 이차전지
사.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시스템
아. 폐배터리 재활용 시스템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별첨] "2차전지"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산업적 특징 및 구조
(4) 2차전지 전략 분야

2. 2차전지 수출 변동 요인과 향후 전망
1) 서론
2) 국내 2차전지 수출입 동향
3) 수출 변동 요인
(1) 배터리 공장의 해외 생산 확대
(2) 전기차 수요 둔화
(3) LFP 배터리 선호도 증가
(4) 중국 기업과의 경재 심화
4) 시차별 파급효과 및 요인별 영향력 비교
5) 향후 전망 및 대응 방안
6) 시사점

3. 전세계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 및 시장 분석
1) 글로벌 전기차 판매
(1) 전기차 "24년 9월 판매 171.2만대(BEV+PHEV), xEV(BEV+PHEV+HEV) 판매량 239.0만대
(2) 지역별 및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3) 글로벌 전기차 기업별 판매
가. "24년 9월 137만대 중 글로벌 Top10 Group 판매 116만대
나. 글로벌 기업별 전기차 판매량
(4) 글로벌 기업별 전기차 판매량(중국 제외)
가. 9월 판매(중국 제외) 55만대 중 글로벌 Top10 판매 46만대
나. 글로벌 전기차 기업별 판매(중국 제외)
(5) 미국 전기차 판매 동향
가. "24년 9월 미국 전기차 판매
나. 미국 전기차 판매량
(6) 유럽 전기차 판매 동향
가. "24년 9월 유럽 전기차 판매
나. 유럽 전기차 판매량
(7) 중국 전기차 판매 동향
가. "24년 9월 중국 전기차 판매
나. 중국 전기차 판매량
(8) 글로벌 전기차 침투율
가. "24년 9월 전기차 침투율 22.2% (MoM +0.2%p, YoY +5.8%p)
나. 글로벌 전기차 침투량
2) 글로벌 배터리 판매
(1) Global Battery Shipment(지역별)
가. 9월 글로벌 배터리 출하량은 88.1GWh (MoM +18.9%, YoY 30.0%)
나. 글로벌 배터리 선적량(지역별)
(2) Global Battery Shipment(배터리 기업별)
가. 9월 글로벌 배터리 출하량은 88.1GWh (MoM +18.9%, YoY 30.0%)
나. 글로벌 배터리 선적량(배터리 기업별)
(3) Global Battery Shipment(배터리 기업별, 중국 제외)
가. 9월 글로벌(중국 제외) 배터리 출하량은 34.3GWh (MoM +20.8%, YoY +18.2%)
나. 글로벌 배터리 선적량(배터리 기업별, 중국 제외)
(4) 미국 Battery Shipment(배터리 기업별)
가. 9월 미국 배터리 출하량은 10.6 GWh(MoM -10.5%, YoY +21.3%)
나. 미국 배터리 선적량( 배터리 기업별)
(5) 유럽 Battery Shipment(배터리 기업별)
가. 9월 유럽 배터리 출하량은 17.8GWh (MoM +.1%, YoY +17.5%)
나. 유럽 배터리 선적향(배터리 기업별)
(6) 중국 Battery Shipment(배터리 기업별)
가. 9월 중국 배터리 출하량은 53.8GWh (MoM +17.6%, YoY 38.9%)
나. 중국 배터리 선적량(배터리 기업별)
(7) 글로벌 Battery Shipment(배터리 타입별)
가. 9월 글로벌 LFP 배터리 침투율 46.5% (MoM +0.7%p, YoY +8.4%p)
나. 9월 글로벌(중국 제외) LFP 배터리 침투율 9.6% (MoM -0.3%p, YoY +0.7%p)
다. 9월 글로벌 LFP 배터리 침투율 46.5% (MoM +0.7%p, YoY +8.4%p)
(8) Global Battery Shipment(기업별)
(9) 배터리 주요 소재 수출입 추이
(10) 배터리 주요 광물 가격 추이
(11) 자동차 글로벌 Supply Chain Peer Table
3) 전기자동차 수요의 지연은 있어도 사라지진 않는다
(1) 매크로 불확실성 확대 속에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 부각
(2) 한국 배터리 산업의 희망인 미국 전기차 수요 양호
(3) 미 완성차 빅2의 전기차 계획 변화로 전기차 전환 속도에 대한 눈높이 조정은 필요
(4) 2024년 미국 대선은 또 다른 변수
(5) 국내 업체들의 유럽향 전기차 배터리 수요 약세 장기화될 전망
가. 유럽 전기차 수요 둔화
나. 유럽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재고 증가로 인한 부품 수요 둔화
다.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 내 한국과 중국 업체들간 점유율 경쟁 심화
(6) 대부분 유럽 완성차 업체들은 CATL 배터리를 채택 중
(7) LFP 배터리 채택시 유럽내 중국 업체들의 점유율 상승세 지속될 전망
(8)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무게 중심은 중국으로 이동 중
(9) 중국도 유럽 공장 증설이 만만치만은 않다
가. EU 배터리법
나. 해외 공장 가동시에도 자국에서만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까?
(10) 전기차 시장의 중장기 성장성은 여전히 긍정적, 다만 기존 시장의 기대치는 부담
(11)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전환 계획 연기
(12) 전기차 수요의 이연으로 전환 속도에 대한 눈높이 조정
(13) 전세계/북미 전기차 판매량 및 배터리 수요 전망
(14) 2차전지 산업 성장률 변화로 인한 주가 밸류에이션 변동
(15) 전세계 배터리 셀 업체들의 북미 공장 건설 현황 및 전망
(16) 2030년 국내 배터리 셀 업체 캐파 1,450GWh 전망
(17) 국내 배터리 셀 업체들의 실적 성장세 지속된다
(18) 주요 배터리 셀 업체 고객사별 출하용량 비중
(19) 국내 양극재 업체 고객사별 출하량 비중
4) 배터리 성능은 기본, 이제는 가격 경쟁력
(1) 소비자들은 가성비 전기차를 바란다
(2) 완성차 제조사들의 수익성 압박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3) 가격 경쟁력 높은 LFP 배터리 채택 확대 전망
(4) 미국 IRA 소비자세액공제 최대 $7,500 혜택 Vs. 중국산 LFP 배터리 가격 이점
(5) 2025~20년 전기차 차세대 플랫폼에서 LFP 배터리 채택 본격화 → 전기차 대중화
(6) 자동차의 혁신이 계속된다면 LFP도 정답은 아니다
(7) SDV 기반 자율주행 구현을 위한 중앙집중형 E/E 아키텍처의 두뇌이자 심장이 될 고성능 AP
(8) 완전자율주행 상용화될 경우 고에너지밀도 배터리 필요성 증가
(9) 한국 이차전지 산업을 위해서는 각 국의 폐배터리 재활용 의무화 절실
(10) 다양한 신제품 라인업에 대한 기술 및 가격 경쟁력 확보 노력
(11) 배터리 성능 높이는 소재 개발뿐만 아니라 제조비용 낮추기 위한 공정 개발의 중요성 부각될 전망
(12) 건식 전극 공정 도입에 진심인 Tesla
(13) Tesla는 음극부터 건식 공정 양산 적용 중
(14) 건식 전극 공정 적용시 배터리 셀 제조원가 약 20% 절감
(15) 속도 조절 중인 전기차 시장,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할 때

4. 2024년 2차전지 산업 9대 이슈
1) 2024년 2차전지 정책 환경 - IRA와 EU배터리 법안
(1) (이슈 1) 미국 IRA - 배터리 부품에 대한 FEoC 적용 시작과 AMPC 전체 반영 문제
(2) (이슈 2) 유럽 배터리법안 영향권
(3) (이슈 3) 미국 정치권력 정책 변수
2) 2024년 2차전지 수요 환경
(1) (이슈 4) 완성차 업체의 판매 및 생산 계획 변화
(2) (이슈 5) 중고 전기차 크레딧 할인 효과
3) 2024년 2차전지 공급 환경
(1) (이슈 6) 메탈 - 리튬 가격 반등 기회는 재고 소진과 성수기 진입 시기 예상
(2) (이슈 7) OEM의 LFP 선택 확대와 저가 소재 대응 변화
(3) (이슈 8) 4680 양산 누가 성공할 것인가
(4) (이슈 9) 반도체 탑재 차량 확대와 전고체 양산 선두 경쟁

Ⅱ. 국내외 2차전지 전방산업과 애프터마켓 시장분석

1. 글로벌 2차전지 전방산업 시장분석
1) 국가별 전기자동차 시장 분석
(1) 미국
가. 전기자동차 시장 분석
나. 전기차 생산 주요 기업 및 개발 로드맵
ⓐ Ford
ⓑ GM
ⓒ Stellantis(FCA)
ⓓ Tesla
다.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 정부 정책
(2) 독일
가. 전기자동차 시장 분석
ⓐ 전기자동차 시장 규모
ⓑ 주요 OEM별 전기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
나. 전기차 생산 주요 기업 및 개발 로드맵
ⓐ 폭스바겐(VW)
ⓑ (Mercedes-Benz*)
ⓒ (BMW)
ⓓ (Audi)
ⓔ (Next.e.GO Mobile SE)
다.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 정부 정책
ⓐ 탄소중립/자동차 탄소배출규제
ⓑ 전기차 지원 강화
ⓒ ’21년 1월 탄소세(CO2세) 도입
ⓓ 구매지원
ⓔ 충전인프라 지원
(3) 중국
가. 전기자동차 시장 분석
나. 전기차 생산 주요 기업 및 개발 로드맵
다.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 정부 정책
(4) 일본
가. 전기자동차 시장 분석
나. 전기차 생산 주요 기업 및 개발 로드맵
ⓐ Alliance 2030
ⓑ 도요타「배터리 EV 전략」
ⓒ 도요타, 2030 자동차 리튬이온 2차전지 생산능력 향상
ⓓ 혼다, 중국 중심의 EV 생산 투자 확대
ⓔ 마츠다, EV 비중 25%까지 확대
다.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 정부 정책
ⓐ 제6차 에너지 기본 계획 수정안(’21년 10월 22일)
ⓑ (CO2 삭감 목표) 지구온난화대책 수정안 (’21년 10월 22일)
2) 국가별 개인형 모빌리티(2, 3륜) 시장 동향
(1) 북미
가. 개인형 모빌리티(전동 스쿠터 및 전동 모터사이클) 시장 분석
나. 개인형 모빌리티 생산 및 서비스 주요 기업
다. 개인형 모빌리티 산업 관련 정부 정책
(2) 독일
가. 개인형 모빌리티(2, 3륜) 시장 분석
ⓐ 전기자전거 시장 규모 및 전망
ⓑ 전동 킥보드(E-Scooter) 시장 규모 및 전망
나. 개인형 모빌리티 생산 및 서비스 주요 기업
ⓐ 전기자전거 생산 주요 기업
ⓑ E-Scooter 생산 주요 기업
ⓒ 전기자전거 및 E-Scooter 서비스 기업
다. 개인형 모빌리티 산업 관련 정부 정책
ⓐ 전기자전거
ⓑ 전동 킥보드
(3) 스페인
가. 개인형 모빌리티(2, 3륜) 시장 분석
나. 개인형 모빌리티 생산 및 서비스 주요 기업
(4) 태국0
가. 개인형 모빌리티(2, 3륜) 시장 분석
나. 개인형 모빌리티 생산 및 서비스 주요 기업 현황
다. 개인형 모빌리티 산업 관련 정부 정책
(5) 인도네시아
가. 개인형 모빌리티(2, 3륜) 시장 분석
나. 개인형 모빌리티 생산 및 서비스 주요 기업
다. 개인형 모빌리티 산업 관련 정부 정책
3) 소형기기(모바일, IT, 공구) 및 의료기기 시장분석
(1) 미국
가. 소형기기(모바일, IT 기기) 시장 동향
나. 소형기기 생산 주요 기업 동향
(2) 독일
가. 소형기기(소형가전, 의료기기) 시장동향
ⓐ 소형 가전 시장 규모
ⓑ 소형 가전 시장 성장 전망
ⓒ 의료기기 시장 규모
ⓓ 의료기기 시장 성장 전망
나. 소형기기 생산 주요 기업 동향
다. 소형기기 산업 육성 관련 정부 정책
ⓐ 의료기기 육성정책
ⓑ 소형 가전 규제 정책
ⓒ 이식형 의료기기 규제정책
(3) 일본
가. 소형기기(의료기기) 시장 동향
나. 소형기기(의료기기) 생산 주요 기업 동향
다. 소형기기(의료기기) 산업 육성 관련 정부 정책
(4) 중국
가. 소형기기(모바일, IT, 공구, 의료기기) 시장 동향
나. 소형기기 생산 주요 기업 동향
다. 소형기기 산업 육성 관련 정부 정책
(5) 베트남3
가. 소형기기(모바일, IT, 공구, 의료기기) 시장 동향
나. 소형기기 생산 주요 기업 동향
ⓐ 휴대전화
ⓑ IT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IT - 웨어러블 디바이스
다. 소형기기 산업 육성 관련 정부 정책
4) 국가별 ESS 시장 동향
(1) 미국
가. ESS 시장 동향
ⓐ 에드워드 산본 솔라 스토리지(Edwards Sanborn Solar Storage) 프로젝트
ⓑ 모스 랜딩 배터리 스토리지(Moss Landing Battery Storage) 프로젝트
나. ESS 주요 생산 기업 동향
ⓐ 테슬라(Tesla)
ⓑ 제너럴 일렉트릭(GE)
ⓒ 플루언스 에너지(Fluence Energy)
다. ESS 관련 주요 정부 정책
(2) 중국
가. ESS 시장 동향
나. ESS 주요 생산 기업 동향
다. ESS 주요 생산 기업 동향
(3) 일본
가. ESS 시장 동향
나. ESS 주요 생산 기업
다. ESS 관련 주요 정부 정책
(4) 영국
가. ESS 시장 동향
나. ESS 주요 생산 기업 동향
다. ESS 관련 주요 영국정부 정책
(5) 독일
가. ESS 시장 규모
나. 향후 시장 성장 전망
다. 최근 독일 ESS 관련 프로젝트 현황
라. ESS 관련 주요 정부 정책

2. 국내외 2차전지 애프터마켓 시장분석
1) 호시탐탐, 사용후 배터리 산업
(1) 전기차/배터리 시장의 Needs, 배터리 애프터마켓을 키운다
(2) 사용후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업계안 발표(산업통상자원부)
(3) 사용후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업계안 발표(산업통상자원부)
(4) 완성차 기업들도 재사용/재활용에 적극적
(5) 다양한 Players 등장 예정
(6) 사용후 배터리 산업 수직계열화 움직임
(7) 사용후 배터리 운송, 해체, 분리 시장 잠재력
(8) 미국 사용후 배터리 운송 관련 지침
(9) 사용후 배터리 확보 네트워크를 위한 노력
(10) 완성차 기업들의 사용후 배터리 확보 노력
2) 배터리 테스트 시장 확대 전망
(1) 사용후 배터리 테스트 시장 확대될 것
(2) 배터리 상태와 BMS
(3) 배터리 상태
(4) 배터리 테스트의 핵심은 충방전
(5) 사용후 배터리 테스트 기술
(6) 사용후 배터리 테스트 동향
(7) 배터리 테스트 장비 및 기술기업
3) 무궁무진한 BaaS
(1) BaaS, 무궁무진한 사업영역
(2) BaaS, 데이터 수집과 플랫폼 구축으로
(3) 정책적 요구-EU, 새로운 배터리법 및 배터리 여권 제도
(4) 독일의 Catena-X
(5) 독일의 Catena-X
(6) 중국의 EVMAM TBRAT
(7) 한국 전기차부품데이터플랫폼 구축 준비중
(8) 글로벌 주요 기업 현황
4) 배터리 애프터 마켓 관련 주식
(1) 인선이엔티 : 국내 사용후 배터리 확보망 접수
(2) 원익피앤이 : 충방전 장비 No.1 기업
(3) 고려아연 : 시장이 바라던 켐코 지분 확대

Ⅲ. 국내외 2차전지 기술/산업/정책 분석 및 국내 경쟁력 분석

1. 국내외 2차전지 기술/산업/정책 분석
1) 기술 개요
2) 기술 및 산업 분석
(1) 전고체전지(All Solid State Battery)
(2) 리튬금속전지(Lithium metal Battery)
(3) 리튬황전지(Lithium Sulfur Battery)
(4) 나트륨(소듐)이온전지(Sodium-Ion Battery)
3) 정책 분석

2. 국내 경쟁력 분석

3. 시사점

Ⅳ. 국내외 2차전지 핵심 분야 시장 및 기술 분석

1. 폐배터리 재활용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국내외 기술개발 분석
가. 개황
나. 국내외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 요소기술
(2) 국내 핵심 요소기술 정의
가. 폐배터리 수집 및 해체 기술
나. 폐배터리 상태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다. 폐배터리 재사용 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별첨] "폐배터리 재활용 시스템"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기술개발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2.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국내외 기술개발 분석
가. 개황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 요소기술
(2) 국내 핵심 요소기술 정의
가. 사용후 배터리 현황진단 장비 제조 기술
나. 배터리 팩 분리 및 회수 기술
다. 재생 배터리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별첨]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시스템"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기술개발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3. 차세대 2차전지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국내외 기술개발 분석
가. 개황
나. 국내외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 요소기술
(2) 국내 핵심 요소기술 정의
가. 리튬계 차세대 이차전지
나. 비리튬계 차세대 이차전지
다. 신규 공정 기반 차세대 리튬 이차전지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별첨] "차세대 2차전지"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기술개발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4. 2차전지 제조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국내외 기술개발 분석
가. 개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 요소기술
(2) 국내 핵심 요소기술 정의
가. 배터리 고속 검사 기술
나. AI 기반 배터리 제조공정 최적화 기술
다. 배터리 상태 실시간 분석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별첨] "2차전지 제조시스템"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기술개발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5. 고안전성 2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국내외 기술개발 분석
가. 개황
나. 국내외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 요소기술
(2) 국내 핵심 요소기술 정의
가. 난연성 첨가제 제조 기술
나. SEI층 형성 첨가제 제조 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별첨] "고안전성 2차전지 전해질 첨가제"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기술개발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6. 고안전성·친환경 바인더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국내외 기술개발 분석
가. 개황
나. 국내외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 요소기술
(2) 국내 핵심 요소기술 정의
가. 고분자 전극 바인더 제조 기술
나. 전극 바인더 제조공정 친환경화 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별첨] "고안전성·친환경 바인더"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기술개발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7. 리튬인산철 양극재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3
(3) 국내외 기술개발 분석
가. 개황
나. 국내외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①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5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 요소기술
(2) 국내 핵심 요소기술 정의
가. 고성능 양극·카본 복합체 제조 기술
나. 고전압 인산망간철 제조 기술
다. 인산철 양극재 재활용 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별첨] "리튬인산철 양극재"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기술개발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8. 실리콘 복합 음극재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적 의미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국내외 기술개발 분석
가. 개황
나. 국내외 주요 기업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 요소기술
(2) 국내 핵심 요소기술 정의
가. 고용랑 실리콘 제조 기술
나. 장수명 복합 음극재 제조 기술
다. 고신뢰성 음극재 제조 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별첨] "실리콘 복합 음극재"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기술개발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9. 배터리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시장분석 및 업체 분석
(1) 국내외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가. xEV 배터리 모듈ㆍ팩ㆍ시스템 개발 동향
나. 전기차용 배터리의 요구특성
(2)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다. 국내 중소ㆍ중견기업
(3) 국내 연구기관 기술동향
가. 국내 연구개발 기관
나. 국내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다. 국내 배터리시스템 관련 선행연구 사례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중기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별첨] "배터리 시스템"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4) 산업별 분류
가. 용도별 분류
나. 기술별 분류

10. 배터리 교체 및 운용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시장분석 및 정책분석
(1) 국내외 시장 분석
가. 전기차 수요 증가
나. 전기차 인프라 현황
다. 초소형 전기차 배터리
라. 주요 정책 동향
마. 세계시장 시장분석
바. 국내시장 시장분석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다. 국내 중소ㆍ중견기업
(3) 국내 연구기관 기술동향
가. 국내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다. 국내 배터리 교체 및 운용시스템 관련 선행연구 사례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중기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별첨] "배터리 교체 및 운용시스템"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4) 산업적 분류
가. 용도별 분류

11. 2차전지 제조장비 및 측정장치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시장 분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2)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① 해외 업체
② 국내 업체
③ 국내 중소ㆍ중견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분석
2)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별첨] ‘2차전지 제조장비 및 측정장치’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12. 양극재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분석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13. 음극재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분석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14. 전해질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분석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15. 분리막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이전 관련 정보

16. 파우치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이전 관련 정보

17. 초고용량 슈퍼커패시터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분석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18. 2차전지 음극용 인조흑연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국내외 시장 분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 연구기관 동향
(3) 국내외 업체 동향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 분석
(1) 시장 매력도
(2) 생산 공백 정도
(3) 해외 지향성
(4) 수입 리스크
(5) 수출산업화
(6) 경쟁력 현황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중소기업 기술 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별첨] "2차전지 음극용 인조흑연"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중요성 및 의의
(3) 산업적 밸류체인
(4) 산업적 분류
가. 용도별 분류
나. 기술별 분류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