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검색엔진 최적화인가?
SEO는 웹페이지를 검색 결과 상위 랭킹에 노출시키는 최적화 과정으로 해외에서는 디지털 마케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검색엔진 최적화는 해외에 비해 위상이 현저히 낮다. 국내 검색엔진의 절대 강자인 네이버가 ‘가두리 양식’이라고 불릴 정도로 자사 콘텐츠 우대 전략을 펼쳤고, 기업들은 네이버 검색 상위노출이 가능한 네이버 플랫폼에 주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네이버 검색 점유율이 60% 아래로 떨어지고 구글 검색 점유율은 30%대로 올라서면서 상황은 바뀌었다. 자타가 공인하는 ‘가장 발전한’ 구글 검색엔진을 통해 콘텐츠 마케팅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단순히 콘텐츠를 상위에 노출시키는 것이 아닌 데이터에 기반해서 사용자의 반응과 의도를 파악하는 마케팅이 가능해졌음을 의미한다. 즉, 오랫동안 한국 디지털 마케팅 발전의 발목을 잡았던 족쇄를 풀 기회가 열린 것이다. 게다가 날이 갈수록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 강화되면서 써드 파티 쿠키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광고의 미래가 불투명해졌다. 이에 따라 퍼스트 파티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자사 웹사이트 전략이 필수가 된 상황에서, SEO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검색엔진 알고리즘의 진화에 맞춘 최신 검색엔진 최적화 가이드
구글 검색엔진의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마케터들에게 널리 알려진 검색엔진 최적화(SEO) 정보는 여전히 기초적인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 링크를 많이 받는 페이지가 상위랭킹을 차지한다, 제목과 본문의 키워드를 일치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등의 정보만이 강조된다. 그러나 현재 구글 검색엔진은 단순히 제목과 본문 일치를 상위랭킹의 필수조건으로 두지 않는다. 네이버 검색 역시 이런 단순한 접근 방법은 통하지 않을 정도로 검색엔진 기술이 발전했다.
이 책은 최신 검색엔진 알고리즘에 맞춰 테크니컬 SEO, 오프페이지 SEO, 온서프 SEO 등 각종 SEO 개념들을 알기 쉽게 설명한다. 특히 검색 마케팅과 불가분의 관계인 콘텐츠 SEO에 대한 장에서는 키워드 선정부터 제목 짓기, 콘텐츠 유형까지 다루며 사용자에게 인기 있는 콘텐츠를 만드는 기술과 운영전략을 상세하게 알려줌으로써 디지털 마케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또한 SEO 캠페인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방법과 유용한 툴들을 소개하여 디지털 마케팅 능력을 향상시킨다.
특히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SEO를 위한 AI 활용법, 프로그래머틱 SEO와 같은 최신 SEO 기법은 물론 SEO와 PPC의 통합 운영 전략, SEO 체크리스트 등 필자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실용적인 지식을 아낌없이 담아냈다.
비개발자도 적용할 수 있는 고급 검색엔진 최적화의 기술
검색엔진 최적화에는 기술적인 부분이 많다 보니 프로그래밍을 전공하지 않은 비전문가들에게는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들이 있다. 이 책은 비전공자들도 각종 검색엔진 최적화 기술들을 소화할 수 있도록 가급적 쉬운 언어를 사용했으며, 단순 매뉴얼로서의 정보 제공 이상으로 테크닉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설명을 곁들였다. 따라서 무슨 말인지 도통 몰라 접근조차 어려웠던 검색엔진 최적화 도구를 이해하고 활용해 마케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키워드 광고 효과에 한계가 느껴질 때, 스스로 SEO 효과를 측정하고 진단하고 싶을 때, 탄탄한 이론적 배경과 최신의 SEO 데이터가 필요할 때, 검색엔진 최적화에 필요한 실무 전략들을 알차게 담은 이 책이 든든한 가이드가 돼줄 것이다. 검색엔진 최적화를 통해 단기적인 마케팅 성과를 넘어 장기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마케팅 프로세스를 만들고, 잘못된 SEO 지식과 관행을 바로잡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