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대상 독자 ◈
코틀린을 사용해 자신만의 앱을 개발하고 싶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확신이 없다면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코틀린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만 있다면 이 책에서 다루는 주제를 더 빠르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이 책의 구성 ◈
1장, ‘첫 번째 앱 만들기’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해 첫 번째 안드로이드 앱을 만드는 방법을 보여준다. 여기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그 구성 요소를 이해하며, 가상 기기에서 앱을 빌드하고 배포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알아본다. 또한 안드로이드 앱의 구조를 살펴본다.
2장, ‘사용자 화면 흐름 생성’에서는 안드로이드 생태계와 안드로이드 앱의 구성 요소를 자세히 다룬다. 액티비티(Activity)와 액티비티의 생명주기(Lifecycle), 인텐트(Intent), 태스크(Task)와 같은 개념을 소개하고, 상태 복원과 화면 간 또는 액티비티 간 데이터 전달도 다룬다.
3장, ‘프래그먼트를 사용한 UI 개발’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본적인 프래그먼트 사용 방법을 알아본다. 프래그먼트를 여러 방법으로 사용해 폰과 태블릿용 앱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또한 젯팩 Navigation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방법도 알아본다.
4장, ‘앱 내비게이션’에서는 앱의 다양한 내비게이션 유형을 다룬다. 슬라이딩 레이아웃을 사용한 내비게이션 드로어(Navigation Drawer), 바텀 내비게이션(Bottom Navigation), 탭 내비게이션(Tabbed Navigation)을 살펴본다.
5장, ‘필수 라이브러리: Retrofit, Moshi, Glide’에서는 Retrofit 라이브러리와 Moshi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원격 데이터 소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코틀린 객체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또한 앱에 원격 이미지를 로드하는 Glide 라이브러리도 알아본다.
6장, ‘RecyclerView 생성 및 상호작용’에서는 목록을 만들고 RecyclerView 위젯을 사용해 표시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7장, ‘안드로이드 권한 및 구글 맵스’에서는 권한의 개념을 알아보고 앱이 특정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권한을 요청하는 방법을 소개하며, Maps API도 알아본다.
8장, ‘서비스, WorkManager, 알림’에서는 안드로이드 앱에서 백그라운드 작업의 개념과 앱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상태로 특정 작업을 실행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며, 해당 작업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9장, ‘젯팩 컴포즈를 사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에서는 젯팩 컴포즈의 작동 방식, 스타일과 테마의 적용 방법, 레이아웃 파일을 사용하도록 생성된 프로젝트에서 젯팩 컴포즈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10장, ‘JUnit, Mockito, Espresso를 사용한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에서는 안드로이드 앱의 다양한 테스트, 각 테스트 유형별로 사용되는 프레임워크, 테스트 주도 개발(TDD, Test-Driven Development)의 개념을 알아본다.
11장, ‘안드로이드 아키텍처 컴포넌트’에서는 안드로이드 젯팩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컴포넌트들을 자세히 알아본다. 이는 ViewModel과 같은 컴포넌트를 사용해 비즈니스 로직을 UI 코드와 분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LiveData와 같이 구독 가능한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해 데이터를 UI에 전달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룸(Room) 라이브러리를 살펴보며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분석한다.
12장, ‘데이터 저장’에서는 SharedPreferences에서 파일까지 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양한 방법을 알아본다. 또한 리포지토리(Repository) 개념을 소개해 앱의 특정 구현을 다른 계층으로 구조화하는 방법의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13장, ‘Dagger, Hilt, Koin을 사용한 의존성 주입’에서는 의존성 주입의 개념과 의존성 주입이 앱에 제공하는 이점을 알아본다. 의존성 관리에 도움이 되는 Dagger, Hilt 및 Koin과 같은 프레임워크를 소개한다.
14장, ‘코루틴 및 플로우’에서는 코루틴과 플로우를 사용해 백그라운드 작업과 데이터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플로우의 다양한 연산자와 LiveData 변환을 사용해 데이터를 조작하고 표시하는 방법도 알아본다.
15장, ‘아키텍처 패턴’에서는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구조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패턴을 설명한다. 이 패턴은 여러 구성 요소로 프로젝트를 분리해 각각의 기능을 명확하게 나누는 데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코드를 개발, 테스트, 유지 관리하기 쉽게 만들 수 있다.
16장, ‘CoordinatorLayout과 MotionLayout을 사용한 애니메이션 및 전환’에서는 Coordinator Layout과 MotionLayout을 사용해 애니메이션과 뷰 전환으로 더 나은 앱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본다.
17장, ‘구글 플레이에 앱 출시하기’에서는 앱을 구글 플레이에 출시하는 방법을 알아보며 이 책을 마무리한다. 출시 준비부터 구글 플레이 개발자 계정 생성, 마지막으로 앱을 출시하는 과정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