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와 국민에 대한 역사적·사회적 이해를 심층적으로 탐구한 연구서 『한국인과 한국사회 - 민주적 근대화의 관점』이 발간되었습니다. 저자 홍성태 상지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1999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정보화 경쟁의 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 : 정보주의와 정보공유론을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래 정보사회, 군산복합체, 생태주의, 한국사회의 선진화, 도시문화, 건축 등의 다양한 시각을 통해 현대사회를 비판적으로 연구해 온 중견 사회과학 연구자입니다. 이번에 발간된 연구서 『한국인과 한국사회 - 민주적 근대화의 관점』은 1894년 동학농민 혁명에서 2024년 12.3 쿠데타에 이르는 기간을 소위 ‘근대화 과정’으로 설정하고, 이 기간에 나타난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민주적 발전을 위한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총 4부, 1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단순한 나열이 아닌 역사적·구조적 연관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동학 농민혁명부터 현대 민주화에 이르는 격동의 역사를 통해 한국 사회가 직면한 도약과 위기의 교차로를 조망합니다. 이 책은 1부에서 한국인의 정체성과 사회적 특성을 탐구하며, 민족과 국민 개념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비롯해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논의합니다. 구체적으로 1장에서는 한국 민족주의의 뿌리와 현대적 국민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해 왔는지를 설명하며, 2장에서는 한국 사회에 자리한 제도적 투명성과 부패 구조가 서로 교차하는 이중적 양상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3장에서는 저출산 문제와 인구 이동이 사회 전반에 걸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이에 대한 장기적 해결 과제를 심도 있게 고찰합니다. 2부에서는 국가 체제, 역사, 지리적 환경을 통해 현대 한국 사회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며, 4장에서는 헌법이 제시하는 이상과 현실에서의 법치 구현 사이의 괴리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5장에서는 단군 신화에서부터 현대의 분단 상황에 이르는 역사적 전개 과정을 설명하며, 6장에서는 도시화와 지역 균형 발전이 국토 환경에 미친 영향과 그로 인한 문제들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3부에서는 정치, 경제, 국방, 과학기술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발전 과정을 다루며, 현재 한국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도전과 해결 과제를 조망합니다. 7장에서는 민주주의가 발전해 오는 과정에서 나타난 권력의 남용과 부패 문제를 중점적으로 탐구하며, 8장에서는 안보와 국방력 강화가 이루어진 배경과 그 사회적 의미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또한 9장에서는 경제적 성과가 이루어낸 긍정적 변화와 더불어 불평등과 취약 구조라는 양면적 현실을 분석하며, 10장에서는 한국의 과학기술이 발전해 온 동력과 그 한계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합니다.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현대 한국인의 일상과 문화를 중심으로, 사회적 변화가 개인과 공동체에 미친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11장에서는 전 세계로 확산한 한류가 한국 사회에 미친 문화적 영향과 그 가치를 조명하며, 12장에서는 한국 언론이 직면한 신뢰 위기와 대중의 불신 현상을 분석합니다. 이어 13장에서는 경쟁 위주의 교육 제도가 초래한 문제들을 탐구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며, 마지막 14장에서는 경제적 풍요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미친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고찰합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한국 사회가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합니다. 특히, 경제적 발전과 더불어 정치적 비리 세력의 척결, 민주주의의 공고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는 ‘생태복지국가’로의 전환이 한국 사회가 추구해야 할 미래 비전으로 제시됩니다. 『한국인과 한국사회 - 민주적 근대화의 관점』은 한국 사회의 역사적 교훈을 되새기고, 민주적 근대화의 여정을 완성하는 데 중요한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