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논어와 역사

논어와 역사

  • 이수태
  • |
  • 바오출판사
  • |
  • 2025-01-27 출간
  • |
  • 888페이지
  • |
  • 152 X 225mm
  • |
  • ISBN 9788991428973
판매가

50,000원

즉시할인가

4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 2024년 문화체육관광부 ‘중소출판사 도약부문 제작지원’ 사업 선정작

출간의 의의

이 책은 이제껏 없던, 논어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새로운 유형의 저작이다. 특히 『좌전』을 중심으로 한 역사 서술을 통해 기존의 『사기』 「공자세가」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보다 신뢰할 만한 역사상을 제시했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 책의 앞부분에 공자 전기와 연표를 배치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어떤 책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자료에 근거한 것이다. 공자의 사상과 가르침이 어떤 시대적 배경에서 탄생했는지 깊이 탐구하여 논어가 충분히 설명하지 않는 역사적 현실을 최대한 충실하게 보완하고자 한 것이다. 공자가 강조한 ‘예(禮)’와 ‘인(仁)’이 당대 사회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분석하고, 그의 발언이 나온 역사적 배경을 세밀하게 조명한다. 특히 공자를 신격화하는 기존의 접근에서 벗어나, 격동의 시대를 살았던 인간 공자를 입체적으로 조명하여 논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그와 교류했던 수많은 논어 속 등장인물 역시 새로운 얼굴로 다가올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그동안 논어를 읽으며 느꼈던 해석의 불완전함과 생경함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공자와 모든 등장인물을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면에서 출간의 의의가 있고 하겠다.

책의 특징

첫째, 이 책은 『좌전』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기존 논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공자 사후 400여 년이 지난 후에 씌어진 『사기』 「공자세가」는 오랫동안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된 텍스트였다. 이에 반해 『좌전』은 거의 공자 당대의 정확성이 검증된 역사 기록으로, 저자는 『좌전』 중심의 접근을 통해 기존 통설의 오류를 지적·수정하고 있다.
둘째, 이 책은 단순한 역사적 사실의 나열이 아니라, 오랫동안 수사학 연구에 몰두해온 저자의 오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깊이 있는 해설을 제공하고 있다. 저자는 각 항목에 대해 관련 역사적 사실과 맥락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기존 통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논어와 공자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셋째, 이 책은 사전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2100개가 넘는 ‘찾아보기’ 항목을 통해 독자들이 원하는 정보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지도와 세계(世系) 등 시각 자료를 적절히 활용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논어 연구자들은 물론 일반 독자들에게도 유용한 참고서가 될 수 있게 하고 있다.

목차

일러두기·4/머리말·5

1부 공자와 그 제자들
공자(孔子)·24 -공자 연표·62 -『좌전』의 공자 관련 기록·75 자로(子路)·92 자공(子貢)·107 안연(顔淵)·127 염유(冉有)·138 유자(有子)·147 재아(宰我)·154 염백우(冉伯牛)·158 자고(子羔)·160 공서화(公西華)·163 민자건(閔子騫)·165 자유(子游)·168 중궁(仲弓)·172 자하(子夏)·177 자장(子張)·182 증자(曾子)·186 번지(樊遲)·191 백어(伯魚)·196 공야장(公冶長)·198 남용(南容)·199 원사(原思)·201 무마기(巫馬期)·202 진자금(陳子禽)·204 사마우(司馬牛)·207 증석(曾晳)·209 칠조개(漆雕開)·212

2부 노(魯)나라
노(魯)나라·216 -춘추시대 노나라와 그 인근 (지도)·219 노나라 세계·229 노공(魯公)·232 소공(昭公)·233 오맹자(吳孟子)·243 정공(定公)·244 애공(哀公)·248 유하혜(柳下惠)·256 삼가(三家)·260 계문자(季文子)·287 계무자(季武子)·291 계평자(季平子)·294 계환자(季桓子)·299 계자연(季子然)·302 계강자(季康子)·304 계손씨 세계·311 맹장자(孟莊子)·312 맹희자(孟僖子)·313 맹의자(孟懿子)·315 맹무백(孟武伯)·318 맹손씨 세계·322 맹지반(孟之反)·323 맹경자(孟敬子)·325 숙손목자(叔孫穆子)·327 숙손소자(叔孫昭子)·330 숙손무숙(叔孫武叔)·332 숙손씨 세계·335 장문중(臧文仲)·336 장손씨 세계·344 장무중(臧武仲)·344 자복경백(子服景伯)·350 자복씨 세계·351 동문양중(東門襄仲)·353 동문씨 세계·355 양화(陽貨)·356 공산불요(公山弗擾)·363 유비(孺悲)·367 노팽(老彭)·369 자상백자(子桑伯子)·370 노나라의 악사장(魯太師), 악사장 지(大師摯)·372 악사 면(師冕)·374 미생무(微生畝)·375 남궁괄(南宮适)·376 좌구명(左丘明)·377 공백료(公伯寮)·380 뇌(牢)·382 안로(顔路)·384 신정(申棖)·385 원양(原壤)·386 자천(子賤)·387 미생고(微生高)·388 담대멸명(澹臺滅明)·389 달항당인(達巷黨人)·390 변장자(卞莊子)·391 양부(陽膚)·392 아반간(亞飯干), 삼반료(三飯繚), 사반결(四飯缺), 고방숙(鼓方叔), 파도무(播鼗武), 소사양(少師陽), 격경양(擊磬襄)·394 추(鄹)·395 비(費)·396 무성(武城)·401 거보(莒父)·403 호향(互鄕)·404 궐당(闕黨)·405 동몽(東蒙)·406 전유(顓臾)나라·408

3부 위(衛)나라
위(衛)나라·412 위나라 세계·417 위공자형(衛公子荊)·422 거백옥(蘧伯玉)·424 위령공(衛靈公)·426 위군(衛君)·431 영무자(寗武子)·439 공숙문자(公叔文子)·442 대부선(大夫僎)·444 공명가(公明賈)·445 왕손가(王孫賈)·446 남자(南子)·450 의봉인(儀封人)·453 공문자(孔文子)·456 위나라 공씨 세계·458 축타(祝鮀)·460 공손조(公孫朝)·463 극자성(棘子成)·464 광(匡)·465 목탁(木鐸)·469

4부 제(齊)나라
제(齊)나라·472 제나라 세계·481 제환공(齊桓公)·484 관중(管仲)·496 공자규(公子糾)·500 소홀(召忽)·502 백씨(伯氏)·504 제경공(齊景公)·505 최자(崔子)·509 진문자(陳文子)·516 안평중(晏平仲)·519 간공(簡公)·524 진성자(陳成子)·527 진씨가 세계·532

5부 진(晉)나라
진(晉)나라·534 진나라 세계(전반)·537 진나라 세계(후반)·540 진(晉) 육경(六卿) 세계·542 진문공(晉文公)·546 필힐(佛肹)·559 조(趙)·561 조씨 세계·567 위(魏)·568 위씨 세계·570 숙향(叔向)·571 중모(中牟)·577

6부 정(鄭)나라
정(鄭)나라·580 정나라 세계·585 자산(子産)·586 비심(裨諶)·595 자우(子羽)·596 세숙(世叔)·598 자서(子西)·601 정성(鄭聲)·603

7부 진(陳)나라, 채(蔡)나라
진(陳)나라·608 진나라 세계·614 진사패(陳司敗)·616 채(蔡)나라·618 채나라 세계·627

8부 송(宋)나라
송(宋)나라·630 송나라 세계·635 환퇴(桓魋)·637 송조(宋朝)·642

9부 초(楚)나라
초(楚)나라·646 초나라 세계·654 영윤자문(令尹子文)·655 섭공(葉公)·659 초광접여(楚狂接輿)·662 장저(長沮), 걸익(桀溺)·663

10부 기타
오(吳)나라·668 오나라 세계·673 태재(太宰)·674 계찰(季札)·679 월(越)나라·685 월나라 세계·687 진(秦)나라·687 진나라 세계·693 등(滕)나라·694 설(薛)나라·696 기(杞)나라·697 구이(九夷)·700 하수(河), 한수(漢)·701

11부 주(周)나라(西周時代)
주(紂)·704 미자(微子), 기자(箕子), 비간(比干), 삼인(三仁)·707 이일(夷逸), 주장(朱張), 소련(少連)·710 태백(泰伯), 우중(虞仲)·712 문왕(文王)·716 주나라 왕가 계보·717 무왕(武王)·721 다스리는 신하 열 명(亂臣十人)·725 백이숙제(伯夷叔齊)·728 주(周)나라·733 -춘추시대 전도(지도)·749 주왕조 세계·753 주공(周公)·757 소(韶), 소무(韶舞), 무(武)·763 『서(書)』·766 『시(詩)』 ,주남(周南), 소남(召南), 관저(關雎), 옹(雍)·774 -십오 국풍(國風)·776 체(禘)·785 팔일무(八佾舞)·786 태산(泰山)·788 주임(周任)·790 경(磬)·793

12부 고대(古代)-요순(堯舜), 하(夏)나라, 은(殷)나라
하도(河圖)·796 봉조(鳳鳥)·797 요(堯)·798 순(舜)·802 당우(唐虞)·809 다섯 사람의 신하(臣五人)·810 고요(皐陶)·812 직(稷)·815 삼대(三代), 이대(二代)·817 우(禹)·819 하(夏)나라·823 -하대 전도(지도)·827 하왕조 세계·828 예(羿), 오(奡)·830 탕(湯)·833 은(殷)나라·836 -은대 전도(지도)·840 은왕조 세계·841 이윤(伊尹)·844 고종(高宗)·847 고(觚)·849

참고문헌·851 찾아보기·85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