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책방은 사람과 책,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플랫폼
책방지기인 저자의 하루는 손님이 있든 없든 바쁘게 흘러간다. 책방지기는 같은 시간에 문을 열어 매의 눈으로 인터넷 정보와 도서 관련 잡지, 신문을 살피며 책방에 들여놓을 책도 찾는다. 숨어 있는 좋은 책들을 소개하기 위해 계속 주제를 바꿔가며 북큐레이션도 해야 한다. 이따끔 공공도서관에 도서 납품도 해야 하고, 아주 가끔은 자기계발 책이나 문제집을 찾아 3층 책방까지 잘못 찾아온 사람들에겐 친절하게 설명도 해줘야 한다(열다책방에는 자기계발서와 문제집이 없다). 어디 그뿐인가. 각종 모임을 기획하고 운영하고 홍보도 해야한다.
특히 모임에 대해서는 게을리할 수 없다. 책방지기의 소원은 책 안 읽는 사람이 한 권이라도 읽게 되고, 이미 책 읽는 사람은 더 많은 책을 읽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행히도 책방의 모임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책방 덕에 모르고 있던 좋은 책을 알게 됐다’, ‘독서 모임에 나오다가 책 읽는 기쁨을 알았다’, ‘같은 책을 읽은 사람들과 이야기할 수 있어 행복하다’는 후기를 들려준다. 사람들이 망설임 없이 ‘참여 신청’ 버튼을 클릭할 프로그램을 기획하느라 책방지기는 오늘도 고민하고 또 고민한다.
‘열다, 책방’이 인천독서문화의 중심이 될 그날을 꿈꾼다
대형서점, 온라인서점, 오디오북이 도서 시장을 삼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이 시대에 동네책방의 역할은 무엇일까. 애시당초 나날이 독서 인구는 감소하고 있다는데 작은 동네책방이 살아남을 방법은 있는 걸까. 저자가 책방을 열기로 결심한 이래 지금껏 고민하고 있는 질문들이다. 저자가 찾은 해답은, 책을 찾는 이가 아주 없어질 수는 없으며, 그들을 위해 동네책방은 동네책방만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독서문화 최전선에 서 있는 플레이어로서 저자는 인천 지역의 독서인구를 늘리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멈추지 않는다. 수만 종의 책들 중에서 좋은 책을 발굴해서 독자들의 눈에 띄게 하고, 읽을 동기를 만들어주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 이렇게 꾸준히 해나가다 보면 ‘열다, 책방’이 인천의 독서문화 중심이 되어 지역의 독서인구를 늘리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오늘의 생존을 넘어 미래의 꿈을 위해 저자의 좌충우돌 동네서점 운영 분투기는 계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