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쓴 느낌이 물씬 나는 영어 문장, 원인을 파악해 해답을 제시합니다!
문법도 틀리지 않고, 의미도 통하는 듯한데 뭔가 원어민이 쓴 문장 느낌이 안 나는 것은, 우리에게 원어민들이 공유하는 영어 특유의 문장 구조가 체득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책만 많이 읽는다고 해결될까요? 〈영어로 문장 만들기 훈련 2차 임계점〉은 왠지 만족스럽지 않은 영작 결과물의 원인과 그 해답을 제시해 원어민다운 문장을 쓸 수 있게 합니다.
문장을 만들고도 확신이 없다 - 원어민들이 자주 쓰는 특유의 문장 구조 제시
영어 문장과 한국어 문장의 차이를 가르는 가장 큰 특징은 ‘부사절의 주어화’입니다. 즉, 사물 주어를 잘 쓸 수 있느냐가 원어민다운 영어 문장의 큰 핵심 무기지요. 〈영어로 문장 만들기 훈련 2차 임계점〉에서는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훈련합니다. 더불어 세밀한 의미 차이를 가르는 요소들을 집중 배치해 본서를 끝냈을 때 문장 만들기에 자신감을 얻게 합니다.
영어식 사고가 안 된다 - 모든 한국어 문장을 영어 문장 구조로 시각화해서 제시
한국인은 영어식으로 사고하기가 힘듭니다. 따라서 최대한 영어 문장 구조에 맞춰 문장을 쓰려고 노력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위해 본서에 나오는 모든 한국어 문장을 영어 문장 순서로 배열했습니다. 자꾸 듣다 보면 따라 하고, 자꾸 보다 보면 익숙해지는 것처럼, 영어 문장 순서로 배열된 한국어 문장을 자꾸 보다 보면 한국어 문장이 떠올랐을 때 자신도 모르게 영어 문장 순서로 배열하게 됩니다.
한국어-영어 1대 1 전환에 급급하다 - 적재적소에 힌트 표현을 제시해 훈련 지속 가능
우리말을 영어로 1대 1로 바꾸려고 하면 잘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것이 영작 훈련을 막는 큰 장애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힌트만 조금 있으면 앞으로 계속 나아갈 수 있는 것도 사실이고요. 학습자들이 막힐 만한 표현이 나올 때마다 힌트가 되는 내용을 적재적소에 제시하여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넘어가게 합니다.
반복은 질색이라 연습량이 부족하다 - 더 써 보고 싶은 마음이 드는 지점을 영리하게 캐치
처음부터 긴 문장을 계속 반복해 쓰는 건 누구나 싫어합니다. ‘이 정도는 써 볼 만해.’ ‘어, 더 쓸 수 있는데 끝났네’ 하는 생각이 들어야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 지속적인 훈련이 쌓여야 문장을 단시간 내에 만들어 낼 수 있고요. 이런 지점을 정확히 잡아내어 반복하더라도 지겨운 느낌이 들지 않고 홀리듯 계속 써 갈 수 있게 합니다.
쉬운 것만 쓰다 보니 발전이 없다 - 조금씩 해 볼 만하게 어려워지는 점진적인 구성
임계점은 조금씩 단계를 높여가면서 진행했을 때 도달하여 넘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본서에서는 STEP 1 아주 쉽게 영어 문장 만들기-유제 문장 만들기-유제 응용 문장 만들기, STEP 2 힌트 표현을 보면서 STEP 1에서 배웠던 것을 결집해 문장 만들기, STEP 3 하나의 단락을 완성하기로 구성을 짜서 학습자 스스로가 감탄할 정도의 문장까지 만들 수 있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