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만 독자가 사랑한 현대의 고전
팬데믹이 증명한 철학의 화두
★★★ 2022 도쿄대학·교토대학 최다 판매 도서 ★★★
★★★ 누적 판매 50만 부, 인문·철학 분야 스테디셀러 ★★★
1만 년 된 인류의 문제이자 현대인의 딜레마
한가함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지루함을 어떻게 마주해야 하는가?
‘지루함’의 정체는 무엇인가? 저자 고쿠분 고이치로는 우리가 간과해 온 지루함이라는 느낌, 우리를 밑바탕에서부터 두루 조율하는 ‘기분’에 대한 철학적 명제를 파고든다. 그리하여 “1만 년 된 인류의 문제”인 지루함을 어떻게 대하며 살아야 할 것인지 탐구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파스칼의 지루함에 대한 언급, 『형이상학의 여러 문제들』 속에서 언급되는 하이데거의 지루함론을 기반으로 고고학, 역사학, 인류학,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문학, 생물학, 의학까지 각종 학문 분야를 넘나들며 논의를 이끈다.
저자는 “한가함”이란 아무것도 할 게 없는 객관적인 조건과 관련된 상태이며, “지루함”이란 시간의 흐름이 느리게 느껴지는 감정이나 기분을 가리키는 주관적인 상태임을 전제하고 논의를 전개해 나간다. 현대의 풍요가 한가함을 낳고 한가함이 지루함을 낳는 연쇄 속에서, 우리가 한가한 시간을 보내는 방법과 기예를 잃어버렸음을 저자는 지적한다.
과거 귀족들은 베블런의 말대로 “품위 넘치는 한가함”, 즉 여가를 즐기는 법을 알고 있었지만, 현대인은 그 지혜를 잃었다. 게다가 현대 소비사회는 이 지루함을 교묘히 이용한다. 사람들은 지루함에서 벗어나려고 소비 활동에 나서고, 기업은 그를 부추긴다. 그러나 모순적으로 이 소비가 진정한 만족을 가져오기는커녕 지루함을 심화시킨다.
이에 저자는 피할 수 없는 “지루함”이라는 기분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그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오직 인간만이 지루해하며, 그렇기에 자유롭다”라는 하이데거의 생각을 빌려 우리 스스로 인간임을 즐기고, 무언가에 사로잡히는 일인 “동물 되기”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으며, 삶을 향유하는 능력을 가꾸는 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사람은 즐거움을 알 때 생각에 대해 열린다. 더구나 즐기려면 훈련이 필요하다. 이 훈련은 사물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확장한다. 이것은 생각을 강요하는 것을 받아들이는 훈련이다. 사람들은 즐기면서, 또 즐기는 것을 배우면서 사물을 생각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조금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먹는 것을 좋아하고 즐기는 사람은 점차 음식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맛있는 것이 무엇으로 만들어지고, 어떻게 하면 맛있게 만들 수 있을까 생각하게 된다. 영화를 좋아하고 항상 영화를 보는 사람은 점차 영화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이것은 도대체 누가 만든 영화인지, 왜 이렇게 멋진지 생각하게 된다. 다른 예도 얼마든지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동물 되기라는 세 번째 결론은 ‘인간임을’ 즐기는 것이라는 두 번째 결론을 그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본문, 430~431쪽에서)
400년의 사유로 읽는
권태의 인류학·경제학·심리학·생물학적 탐구
『한가함과 지루함의 윤리학』 1장 「한가함과 지루함의 원리론」에서는 파스칼의 “기분 전환”에 관한 논의를 출발점으로 삼아, 한가함과 지루함에 대한 원리적 고찰을 시도한다. 저자는 “토끼 사냥”에 대한 파스칼의 비유를 예로 들며, 이 행위의 목적은 욕망의 대상(토끼)이 아니라 욕망의 원인(지루함을 해소하고 싶은 마음)임을 지적한다. 이어서 우리가 욕망의 대상을 욕망의 원인으로 종종 착각하며, 기분 전환의 대상을 손에 넣으면 행복해질 수 있다고 스스로를 속인다는 점을 짚으며 논의를 시작한다. 2장 「한가함과 지루함의 계보학」에서는 지루함의 기원이 논의되고 인류가 유동생활을 멈춘 정주혁명(니시다 마사키의 개념)으로 인해 그때까지 탐색에 사용하던 능력을 주체할 수 없어 지루함이 생겼다는 가설을 제시하며 논지를 전개한다. 3장 「한가함과 지루함의 경제사」와 4장 「한가함과 지루함의 소외론」에서는 한가함의 분석, 소비와 낭비의 구별 등을 바탕으로 주로 경제사적 관점(베블런, 아도르노, 모리스, 보드리야르)에서 현대 소비사회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더한다. 5장 「한가함과 지루함의 철학」, 6장 「한가함과 지루함의 인간학」, 7장 「한가함과 지루함의 윤리학」은 주로 지루함에 대한 철학적·윤리적 고찰을 담았다. ‘하이데거의 지루함의 세 형식’을 지루함의 타당한 분석으로서 제시하고, 생물학자 윅스퀼의 ‘둘레세계’라는 개념을 활용해 그의 인간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며, 지루함에서 벗어나기 위한 하이데거식 해법에 문제를 제기한다. 하이데거가 지루함을 타파해야 할 것으로 보는 것에 대해 저자는 지루함과 기분 전환이 뒤얽힌 삶을 사는 것이야말로 인간이라고 주장한다.
사상가들과 함께 읽는 지루함의 계보학
파스칼, 루소, 키르케고르, 마르크스부터 아도르노, 아렌트, 들뢰즈, 스벤젠까지
저자는 본인만의 “지루함” 담론을 전개하고, “어떻게 살 것인지” 구체적인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다양한 철학자, 생물학자, 인류학자, 경제학자 들의 연구물을 검토한다. 다양한 사상가들의 생각들을 두루 살피며, 저자만의 독창적인 논지를 어떻게 전개시키는가를 살피는 것도 이 책을 즐기는 한 방법이다.
인간은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 자신을 행동하게 하는 계기를 원하는데, 이는 심지어 괴롭고 고통스러운 것이어도 된다는 관점에서는 니체를 언급한다. 인간은 “괴로움으로부터 자신의 행위의 이유를 끌어낸다. 지루해하는 인간은 그런 욕망을 품는다”.
또 저자는 러셀의 논의를 빌려 지루함이란 “사건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이 꺾인 것”으로, 지루함이 쾌락의 반대말이 아니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또 낭만주의로 인해 삶에 의미를 부여해 주는 집단 서사가 붕괴하면서 인간이 지루함에 시달리게 되었다는 스벤젠의 주장도 검토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현대 소비사회에 대한 저자의 독창적 분석이다. 보드리야르의 이론을 빌려 현대의 소비가 “관념의 소비”로 변질되어 끝없는 불만족을 낳고 있다고 지적하는 한편, 낭비와 사치의 긍정적 가치를 재발견할 것을 제안한다. “낭비는 어딘가에서 멈추는 것이었다. 물건을 취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니까. 그러나 소비는 그렇지 않다. 소비는 멈추지 않는다”라는 저자의 통찰은, 끝없는 소비의 굴레에 갇힌 현대인의 실존적 조건을 예리하게 포착한다.
“인간의 불행은 단 한 가지, 방 안에서 가만히 있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다.”
- 블레즈 파스칼(Blaise Pascal)
“자연 상태에서는 인간을 어딘가에 묶어 두는 유대감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결단의 순간이란 하나의 광기이다.”
- 쇠렌 키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낚시는 해도 어부가 되지 않아도 되는 삶. 그것이 여가를 살아가는 기예이다.”
-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현대에는 소비자의 감성이 제작 프로덕션에 의해 선취되어 있다.”
- 테오도어 아도르노(Theodor W. Adorno)
“노동(labor)의 대상은 소비되지만, 작업(work)의 대상은 존속한다.”
-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어떤 것이 쾌락이기에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하기 때문에 쾌락이 된다.”
- 질 들뢰즈(Gilles Deleuze)
“지루함이 사람들의 고민거리가 된 것은 낭만주의 탓이다.”
- 라르스 스벤젠(Lars Svendsen)
쇼트콘텐츠, 메신저 감옥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현대인을 위한 철학적 처방
동물 되기라는 새 가능성
유한계급에서 부르주아로, 다시 현대의 대중사회로 이어지는 역사적 흐름 속에서 지루함의 본질을 탐구하는 이 책은, 포디즘과 포스트포디즘이 만들어 낸 소비사회의 메커니즘을 해부하며 현대사회가 마주한 지루함의 정체에 대한 새로운 해법을 모색한다.
“한가함”과 “지루함”이라는 누구나 겪지만 깊이 생각해 보지는 않았던 중요한 문제를 논하는 이 책은, 소셜미디어상의 쇼트콘텐츠, 자극적인 영상에 둘러싸여 끊임없이 지루함을 벗어나고자 하는 디지털 시대의 현대인, 메신저 감옥에서 진정한 여유를 느끼지 못하는 포노사피엔스에게 생각할 거리를 준다.
저자는 현대사회의 지루함 회피 성향이야말로 우리가 진정으로 충실해질 기회를 막고 있다고 지적한다. 지루함과 마주하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일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이 책을 읽으며, 저자가 우리에게 행하는 “불법침입”과 “충격”을 기꺼이 받아들인다면 “동물 되기”의 새 가능성을 통해 지루함에서 벗어나는 것은 물론, 목전의 한가함과 지루함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인간다운 삶이 무너질 때가 있다. 어떤 충격에 의해 자신의 둘레세계가 파괴당한 인간이 거기서부터 사고하기 시작할 때다. …… 그것이 동물 되기라는 가능성이다.”(406쪽)
“지루함이라는 제로 상태는, 인간이 자신의 가능성을 알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305쪽)
Philos 사유의 새로운 지평
인문·사회·과학 분야 석학의 문제의식을 담아낸 역작들
앎과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우리 시대의 지적 유산
001-003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1-3
움베르토 에코·리카르도 페드리가 편저 | 윤병언 옮김
문화사로 엮은 철학적 사유의 계보
움베르트 에코가 기획 편저한 서양 지성사 프로젝트
165x240mm | 각 904쪽, 896쪽, 1096쪽 | 각 98,000원
010 사고의 본질
더글러스 호프스태터·에마뉘엘 상데 지음 | 김태훈 옮김 | 최재천 감수
‘유추’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한 두 학자의 지적 교류
사고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을 과학자의 언어로 풀다
158×235mm | 768쪽 | 58,000원
019 현대사상 입문
지바 마사야 지음 | 김상운 옮김
데리다, 들뢰즈, 푸코에서 메이야수, 하먼, 라뤼엘까지
현대사상의 진수를 담은 궁극의 철학 입문서
132×204mm | 264쪽 | 24,000원
021 지식의 기초
데이비드 니런버그·리카도 L. 니런버그 지음 | 이승희 옮김 | 김민형 해제
서양 사상의 초석, 수의 철학사를 탐구하다!
인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을 넘나드는 매혹적인 삶의 지식사
132×204mm | 626쪽 | 38,000원
027 제로에서 시작하는 자본론
사이토 고헤이 지음 | 정성진 옮김
전 세계가 주목하는 젊은 석학의 담대한 통찰
15만 독자가 사랑한 궁극의 자본론 입문서
132×204mm | 260쪽 | 28,000원
- Philos 시리즈는 계속 출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