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가(家)의 실현

가(家)의 실현

  • 김학수
  • |
  • 태학사
  • |
  • 2024-12-31 출간
  • |
  • 712페이지
  • |
  • 153 X 225mm
  • |
  • ISBN 9791168103245
판매가

65,000원

즉시할인가

58,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58,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책머리에
서론

해주오씨 추탄(楸灘) 오윤겸가(吳允謙家)
우계학(牛溪學)의 수용과 무실(務實)·상생(相生)의 치가론(治家論)

Ⅰ. 머리말
Ⅱ. 오윤겸가 형성의 역사적 배경
1. 해주오씨의 연혁과 역사적 전개
2. 오윤겸가의 형성과 오희문(吳希文)의 역할
Ⅲ. 오윤겸가의 학통, 혼맥 그리고 가풍: 사회문화적 가치의 결정(結晶)과 지향
1. 우율학(牛栗學)의 계승: 무실학풍(務實學風)의 수용
2. 학맥·혼맥의 중층적 관계망: 우계문파(牛溪門派) 구심점으로의 부상
3. 개방과 포용적 가풍의 양성(釀成)과 구현: 상생의 대인관(對人觀)
Ⅳ. 사회경제적 기반과 그 운용 양상
1. 주거 기반: 경제(京第)와 향제(鄕第)
2. 경제 기반: 토지와 노비
Ⅴ. 18세기 이후 종족 의식의 강화와 상생적 치가론(治家論)의 적용
1. 종족 의식 강화론
2. 상생적 치가론(治家論)
Ⅵ. 맺음말


진주유씨 청문당가(淸聞堂家)
성호학(星湖學)의 계승과 ‘경남(京南)’의 지식문화적 살롱

Ⅰ. 머리말
Ⅱ. 16세기 진주유씨의 정치적·학문적 전개: 사림파 노맥(路脈)의 수용
1. 16세기 초반: 유인숙(柳仁淑)·유우(柳藕) 계열의 부침
2. 16세기 중반: 유영정(柳永貞) 계열의 대두
Ⅲ. 청문당가의 형성
1. 유격(柳格)의 동인 표방: 정치적 노선의 확립
2. 유시회(柳時會)의 안산 정착과 근기(近畿) 남인 주류로의 등장
3. 유석(柳碩)의 남인 공론의 주도와 정치적 위상의 강화
Ⅳ. 청문당가의 역사적 전개
1. 청문당가의 인적 연계망과 가통의 정립
2. 서남 당쟁과 청문당가의 정치적 역할: 탁남(濁南)의 영수 유명천(柳命天)
3. 정치권력으로부터의 이탈과 학술문화적 가풍의 모색: 성호학(星湖學) 수용과 학술문화적 전통의 창출
Ⅴ. 맺음말


풍산류씨 서애(西厓) 류성룡가(柳成龍家)
충효(忠孝)로 빚고 졸성(拙誠)으로 다듬은 서애가학의 통서(統緖)

Ⅰ. 머리말
Ⅱ. 서애가학(西厓家學)의 연원과 계통: 『풍산류씨가학연원록』을 중심으로
1. 『풍산류씨가학연원록』: 류씨가학(柳氏家學)의 지형도
2. 풍산류씨의 학문 전통과 서애가학의 태동
3. 16세기 사림 시대와 풍산류씨 일가학림(一家學林)
Ⅲ. 류성룡의 학문 경향과 가학의 결정(結晶)
Ⅳ. 17세기 류성룡가의 학풍: 서애가학의 계승과 정착
1. 17세기 초중반 서애가학의 계승과 전수
2. 17세기 중후반 서애가학의 정착과 확대
Ⅴ. 공간을 통해 본 18세기 서애가학의 계승 양상
1. 충효당(忠孝堂): 충효졸성지학(忠孝拙誠之學)의 거점
2. 원지정사(遠志精舍)와 옥연정사(玉淵精舍)
3. 병산서원(屛山書院): 서애가학의 사회적 적용과 확산
Ⅵ. 맺음말


진양하씨 겸재(謙齋) 하홍도가(河弘度家)
가(家)의 실현 공간으로서의 안계(安溪)

Ⅰ. 머리말
Ⅱ. 안계(安溪): 15세기 후반 하자청(河自淸)의 본향 회귀와 하씨촌(河氏村)의 형성
Ⅲ. 17세기 학술문화 인프라의 조성과 경영: 하홍도(河弘度)·하철(河澈)의 학자적 지향과 공간 디자인
1. 안계마을의 인문지리적 환경과 지식문화 네트워크
2. 안계마을의 학술문화 공간: 주자학(朱子學)으로 설계하고 남명학(南冥學)으로 디자인한 ‘인문경관(人文景觀)’
3. 학술문화 공간의 활용: 경향(京鄕) 교류와 정파(政派) 간 소통의 채널
Ⅳ. 18~19세기 학술문화 인프라의 정비 및 확장
1. 공간의 정비: 경승재(敬勝齋)·모한재(慕寒齋)·직방헌(直方軒)의 중수
2. 공간의 확장: 광영정(光影亭)의 건립과 운영
3. 산과 꽃에 투영된 안계마을의 문화적 자의식: 하응로(河應魯)의 ‘가사산설(佳士山說)’과 ‘자미화설(紫微花說)’
Ⅴ. 맺음말


연안이씨 청련(靑蓮) 이후백가(李後白家)
영호(嶺湖) 통섭의 사회적·학문적 지향과 정치이념적 가(家)의 실제

Ⅰ. 머리말
Ⅱ. 서봉서원(瑞鳳書院) 이후백(李後白) 원향론(院享論): 존현론(尊賢論)에 바탕한 가적(家的) 권위 및 외연의 확장
Ⅲ. 연성동조론(延城同祖論): 정파·학파·지역을 초월한 순혈적(純血的) 혈통 의식
Ⅳ. 학문적 ‘호령겸수(湖嶺兼受)’의 가능성과 노론 기호학파로의 좌정
1. 이수인(李壽仁): 기호·영남 학풍의 양측적 계승론
2. 이석신(李碩臣): 노론 강경 노선 천명과 청백치가론(淸白治家論)
Ⅴ. 존주론(尊周論)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가(家)의 실현: 충의공가(忠毅公家)의 형성과 전개
1. 가(家)의 의미
2. 1618년 심하파병(深河派兵)과 이유길(李有吉)의 사절(死節)
3. 존주의리(尊周義理) 상징으로서의 ‘충의공가(忠毅公家)’의 출현
Ⅵ. 맺음말


나주임씨 창계(滄溪) 임영가(林泳家)
청신(淸愼)의 가도(家道)와 객관의 학문정신

Ⅰ. 머리말
Ⅱ. 임영가의 연원과 역사적 대두
1. 회진세가(會津世家): 회진임문(會津林門)의 기가조(起家祖) 임평(林枰)
2. 문호 형성과 문벌 기반 확충: 임붕(林鵬)의 현달과 가격(家格)의 신장
Ⅲ. 16세기 사림 시대의 전개와 회진임씨: 임복(林復)·임협(林悏)을 중심으로
1. 회진임씨의 문파적 갈래
2. 정치적 시련과 가세의 일시적 위축: 임복(林復)·임협(林悏) 대의 정치적 외풍과 질곡
Ⅳ. 17세기 초반 서인 시대의 개막과 회진임씨: 임타(林㙐)·임위(林㙔) 형제를 중심으로
1. 문호 회복을 위한 모색: 외가적 배경과 임서(林㥠)의 ‘제가보호론(弟家保護論)’
2. 임타(林㙐)·임위(林㙔) 형제의 학자적·관료적 성장과 문호의 중신(重新): 호남사족(湖南士族)에서 경화문벌(京華門閥)로의 도약
Ⅴ. 17세기 중후반 임영가의 형성과 전개: 정치적 신축성과 학문적 개방성
1. 임영가의 정치적 좌표: 『세강계첩』을 중심으로
2. 임일유(林一儒)의 역할: 경화문벌(京華門閥)과의 통혼과 가격(家格)의 탄력적 신장
3. 학술·문장·경륜을 갖춘 전재(全才): 임영(林泳)
Ⅵ. 18세기 이후 임영가의 동향: ‘창계추양론(滄溪推揚論)’과 사회적 대응
1. 문집편간론(文集編刊論): 창계학(滄溪學)의 사회적 공개
2. 원향론(院享論): 경향(京鄕) 공조로 구현된 사회적 기림
3. 석물쟁송(石物爭訟): 향촌 사회로부터의 도전과 응전
4. 사환적 제약과 향촌 사림으로의 좌정
Ⅶ. 맺음말

남양홍씨 만전(晩全) 홍가신가(洪可臣家)
화담학(花潭學)과 퇴계학(退溪學)의 경계

Ⅰ. 머리말
Ⅱ. 남양홍씨 홍가신가의 연원과 역사적 전개
1. 무반가도(武班家道)의 세전과 세조의 ‘친위 세력화’
2. 홍한(洪澣) 형제의 사림파 편입과 탈훈구(脫勳舊)
Ⅲ. 홍가신의 학문 연원과 사승(師承): 화담학(花潭學) 계승과 퇴계학(退溪學)으로의 확장
Ⅳ. 홍가신의 교유 관계와 인적 인프라: 다양한 갈래의 수렴과 횡적 확장성의 강화
1. 교유의 스펙트럼에 대한 독법
2. 화담학파권(花潭學派圈)
3. 퇴계학파권(退溪學派圈)
4. 대곡(大谷)·남명(南冥) 계열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