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선박기관사 면접시험 이론과 문제 (개정4판)

선박기관사 면접시험 이론과 문제 (개정4판)

  • 강희준
  • |
  • 해광
  • |
  • 2025-02-15 출간
  • |
  • 458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91168817685
판매가

46,000원

즉시할인가

41,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1,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70년 전통의 자부심과 해사도서 출판의 노하우!

 

* 한권으로 정리하고 한권으로 풀어보는 해기사 면접 및 공무원 면접 수험서!

* 최근 기출문제 분석과 핵심 이론 수록으로 기초 이론 학습 효과와 문제 풀이까지!

 

* 문제 난이도 표시로 급수별 우선순위 학습!

* 변경된 유형의 최신 개정판

 

* 세월호 사고 이후 최신 면접 문제 수록

* 공무원 기관 시험 주관식 시험 대비, 기업체 구술 시험 대비!

 

* 학교, 해운회사, 교육기관 학습 교재

* 출간 후 해사관련 전문서점에서 부동의 판매 1위! 점유율 1위!

 

* 부록으로 10년간 면접 기출문제를 수록하여 학습에 참고

 

선박 기관사 면접시험과 해양경찰, 공무원, 기업체 구술시험 준비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각 과목별로 핵심 이론과 문제 해설 부분으로 구성 되었다. 일반적으로 기관사 면접시험을 준비한다는 것은 일단 이론적인 부분은 어느 정도 검증되었다는 것이 전제가 되기 때문에 이론부분을 따로 깊이 있게 설명하지는 않았다.

문제 부분에서는 지금까지 나왔던 문제들에서 많은 부분을 실으려 하였다. 특히 가장 기초가 되는 문제에서부터 다소 난이도가 있는 문제까지 최대한 많은 문제를 수록하여 노력하였다. 또한 문제에 대한 설명에서는 실제 면접장에서 답을 하는 것처럼 설명을 수록하였다. 어떤 문제에 대한 질문에 그 문제에 대한 핵심을 파악하고 그 핵심에 맞게 간단명료하게 설명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현장에서 수험 준비하는 것을 보면 1급과 2급의 시험 난이도에 대한 고민이 많은 것을 보았다. 필기시험도 그렇지만 실질적으로 면접시험에서 명확하게 1급과 2급으로 나눈다는 것이 사실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고민속에서 본 교재에서는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최소한의 선택의 편의성을 어떻게 맞추는가에 대한 많은 고민이 있었다. 그래서 지금까지 나온 문제들에 대한 난이도에 따라 시험 급수에 관계없이 꼭 봐야 할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문제들과 더불어 급수에 맞춰 난이도를 달리한 문제들을 별도로 표시하여 준비하는데 편의성을 주었다. 시험을 준비하는데 다소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일러두기를 참고하기 바란다.

 

특히 부록으로 <1급 기관사 면접 기출문제>와 <2급 기관사 면접 기출문제> 10년치를 실어 놓았다. 본 도서를 준비하면서 수록된 문제 모두 해설을 할 수 있었으면 좋았겠지만, 지면 사정상 그렇지 못해 안타까웠다. 다행히 해광출판사 측의 배려로 최근 10년간 기출 문제를 수록할 수 있었다. 사람의 기억이라 정확하지만 않지만 최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실을 수 있도록 하였다. 각 회차별로 중복되거나 비슷한 문제가 반복적으로 나오기도 하니, 이런 문제는 조금 더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을 듯 하여 빼지 않고 그대로 수록하였다. 더불어 세월호 사고 이후 문제를 추가하였으니 이 또한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목차


목 차
머리말
시험 안내
일러두기
면접 전 공통 준비사항

Part 1. 기관Ⅰ
▹ 핵심 이론
내연기관
외연기관
추진장치 및 동력전달장치
연료 및 윤활유
▹ 문제와 해설
1. 디젤 주기관의 MCR과 NCR을 설명하시오
2. 2행정 사이클 기관의 장점과 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2행정 사이클 기관이 대형 저속형 기관에 적합한 이유
4. 장행정기관의 장점을 설명하시오.
5. 디젤기관의 장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디젤기관의 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내연기관의 열효율 상승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8. 내연기관에서 열효율 증가에 따른 장점은?
9. 내연기관의 출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디젤 기관의 연소 과정을 설명하시오

11. 디젤 기관의 트렁크 피스톤형, 크로스헤드 피스톤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연료유에 포함된 주요 원소 및 연소과정
13. 세탄값이
14. 주기관의 점도계에 대하여 설명하시
15. 선박용 기관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6. MC(RT)와 ME(RT Flux)기관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17. 디젤 기관의 피스톤 상부가 오목하게 홈이 파져 있는 이유는?
18. 피스톤링의 재질에 대하여 설명하시
19. 피스톤링의 플러터 현상이란
20. 피스톤과 피스톤링의 검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1. 피스톤 링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2. 피스톤이 고착되는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3. 피스톤 간극이 부적당할 때 일어나는 현상은?
24. 디젤기관의 블로우 바이란?
25. 디젤기관에서 압축비와 압축 압력은 동일 하나 최대 압력이 변하는 이유는?
26. 밸브 오버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7. 밸브 틈새 또는 타펫 클리어런스(Tappet Clearance) 란 무엇인가?
28. 밸브 스프링에서 발생되는 서징이란?
29. 유압식 밸브 리프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0. 디젤 기관의 실린더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1. 실린더 헤드 균열의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2. 실린더 마모는 어느 방향으로 크게 발생하는가?
33. 실린더 라이너의 상부 부분의 마모가 주로 심한 이유는?
34. 저온부식 이란?
35. 고온부식 이란?
36. 냉각수를 청수로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37. 실린더 냉각수 온도가 너무 높을 때 생기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8. 실린더 냉각수 온도가 너무 낮을 때 생기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9. 실린더 라이너의 검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0. 실린더 과대 마모의 원인은?

41. 주기관의 Stuffing Box를 설명하시오.
42. 디젤기관 크로스 헤드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3. 콘 로드의 길이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은?
44. 디젤 주기관의 시동 공기 밸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5. 시동 밸브가 열리는 시점은?
46. 주기관 시동장치 부속인 Distributor를 설명하시오.
47. 압축공기 시동방식의 기관에서 기관이 시동되지 않는 원인은?
48. 시동공기로는 기관이 회전하지만, 연료 폭발이 일어나지 않는 원인은?
49. 조속기(Governor) 란?
50. 주기관 연료분사 펌프의 Puncture Valve를 설명하시오.
51. VIT(Variable Injection Timing)의 정의 및 사용시 이점
52. 분사시기에 관하여 설명 하시오.
53. 착화 늦음 이란?
54. 디젤기관의 노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5. 디젤기관에서 노킹이 일어날 때 발생되는 장해는?
56. 디젤기관 배기가스 온도의 상승 원인은?
57. 기관의 운전 중 나타나는 배기의 색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8. 배기가스 중 NOx의 절감대책은?
59. 배기가스 중의 유해 성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0. 디젤 기관의 후 연소가 길어지게 되는 원인은?

61. 연료변의 분사 4대 조건
62. 디젤 기관의 연료의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3. 저질 중유 사용시 기관에 미치는 영향은?
64. 저질 중유 사용 시 주의 점은?
65. 연료유와 윤활유를 청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66. 인화점, 연소점, 발화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7. T.B.N(Total Base Number) 이란?
68. 윤활유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9. 윤활유 변질의 원인
70. 윤활유의 오손 판단법

71. 기관의 저속에서 유막 형성이 어려운 이유는?
72. 윤활유 급유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3. System oil 과 Cylinder oil 에 대하여 설명시오.
74. 실린더 라이너의 윤활은 어떻게 하는가?
75. 기관의 주유기는 어떻게 동작 하는가?
76. 기관의 운전 중 윤활유 압력이 냉각수 압력 보다 높게 유지하는 이유는?
77. 주기관의 소기압력, 토크 제한 기능을 설명하시오.
78. 디젤 기관의 소기 효율 이란?
79. 유니플로 소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0. 압축비를 크게 하였을 때의 단점은?

81. 동압식 과급과 정압식 과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2. 과급과 과급의 목적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83. 과급의 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4. 과급기 서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5. 과급기 서징의 원인은?
86. 과급기 서징의 방지대책은 무엇이 있는가?
87. 과급기의 서징 특성 곡선을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88. 과급기관의 중간에 공기 냉각기의 목적은?
89. 디젤기관에서 실린더 출구의 온도가 과급기 입구의 온도보다 낮은 이유를 설명하시오.
90. 디젤기관의 Warming, Turning, Air Running의 목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1. 주기관의 워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2. 내연기관의 진동이 크게 발생되는 원인은?
93. 기관 프레임에 부착된 릴리프 밸브(Relief Valve)의 역할은?
94. 대형 기관에 사용 되는 스테이볼트(Stay Bolt)의 역할은?
95. 디젤기관 연소실의 조건은?
96. 기관의 크랭크 실 내부 점검은 어떻게 하는가?
97. 주기관의 Oil Mist Detector를 설명하시오.
98. 토크 리치 란?
99. 정격조정(Derating) 이란?
100. 위험회전수 란?

101. 기관을 저부하로 장시간 운전시 문제점을 설명하시오.
102. 운전 중 기관의 Trip 장치와 ALARM 장치는 무엇이 있는가?
103. 디젤 기관의 디플렉션 계측 목적은?
104. 디플렉션 발생원인
105. 크랭크 축에 설치하는 평형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6. 스러스트 베어링의 마모가 심할 때 나타나는 현상은?
107. 가변 피치 프로펠러의 장점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08. 도시마력, 제동마력, 축마력, 추진마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9. 지압도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110. 다음 주기관 마력선도를 설명하시오.

111. 플라이휠의 역할은?
112. 프로펠러 법칙이란?
113. 연료 소비량과 배의 속력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14. 프로펠러의 슬립(Slip) 이란?
115. 프로펠러 배면에 생기는 공동현상이란?
116. 전식작용이란?
117. Shaft Grounding Devic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8. 축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19. 선미관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20. 유 윤활식 선미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1. 게이지 압력과 절대압력이란?
122. 보일러 진동연소의 원인을 설명하시오.
123. 보일러 역화의 원인을 설명하시오.
124. 보일러를 비상정지 해야 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5. 보일러 안전차단 조건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26. 보일러의 ACC(Automatic Combustion Control System)을 설명하시오.
127. 보일러 ACC 시스템의 작동 절차를 설명하시오.
128. 보일러 수위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9. 보일러 수위를 조절하는 DPT를 설명하시오.
130. 보일러 수 관리의 목적은?

131. 보일러 수에 알칼리도를 유지하는 목적은?
132. 보일러에서 가성취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3. 보일러 Water Test 항목은?
134. 보일러의 Priming, Forming, Carry over 란?
135. 보일러 수 처리 방법은?
136. 보일러 수 불순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7. 보일러의 블로우 다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8. 보일러의 수트블로워(Soot Blower)의 목적을 설명하시오.
139. Economizer의 오손 원인은?
140. 보일러 장치 중 과열기(Superheater)란?

141. 보일러 장치 중에서 과열 저감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42. 과열증기의 이점을 설명하시오.
143. 증기관에서 발생되는 수격현상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44. 연료분사시기가 빠르면, 또는 늦으면 압축압력이 어떻게 되고, EXH TEMP.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시오.
145. 가버너에서 needle valve가 너무 많이 열리면 어떻게 되는지, 반대로 너무 많이 닫히면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시오.
146. Tappet clearance가 맞지 않으면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시오.
147. 메인베어링에 이상 열이 발생하는 이유와 해결방법을 설명하시오.
148. 다음의 디젤 주기관 성능곡선에서 100[rpm]으로 운전 중, 5번 실린더의 압축압력이 100[bar], 최고연소압력이 128[bar], 배기온도가 450[℃]로 되었다. 그 원인을 설명하시오.
149. 다음의 주기관 소기압력 제한기능 그래프에서 주기관을 시동한 후 회전수 상승 시 지속적으로 검은색 연기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150. 디젤 주기관이 운전중 상황이다. 소기온도가 정상값보다 낮은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151. 디젤 주기관 토크 리치 영역에서 계속해서 운전되었다. 이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시오.
152. 다음의 보일러 자동수위조절장치의 도면에서 I/P Converter의 입구 공기압력이 140[kPa]이며, 수면계가 중간(1/2)을 가리키고, ATC 형식의 자동급수조절밸브가 정상 작동되고 있을 경우, 자동급수조절밸브의 현재 개도는?
153. 보슈식 연료분사펌프 상부에 설시된 Puncture valve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154. 다음의 보슈식 연료분사펌프 그림에서 래크의 역할을 설명하시오.
155. 다음의 디젤기관 성능곡선에서, 연료소모율이 가장 낮을 때의 값은?
156. 다음은 디젤기관의 부속장치 도면이다. 장치의 명칭은 무엇인가?
157. 전자제어기관의 Turning gear에서 ECS(Engine Control System)로 신호를 보내주는 Sensor의 이상으로 Disengaged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ECS에서 계속하여 Engaged로 되어 기관 시동이 불가할 경우 비상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158. 다음의 Fuel injection pump VIT 시스템 도면에서 Non return throttle valve에 기능을 설명하시오.
159. 운전중인 전자제어기관에서 한 기통의 Starting air valve가 열리도록 제어용 공기가 계속 공급되고 있는 경우, 기관을 정지하지 않고 시행할 수 있는 긴급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160. 디젤 주기관에서 발생하는 저온부식에 관한 내용이다. 발생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161. 디젤 주기관의 운전 중 모든 실린더의 압축압력은 동일하나, 어느 한 실린더가 다른 실린더보다 최고압력이 낮고, 배기온도가 높은 경우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162. 대형 디젤 주기관의 분해 점검 시 피스톤의 상태가 사진과 같을 경우 발생 원인을 설명하시오.
163. 2행정 사이클 크로스헤드형 디젤기관에서 블로바이(blow by)가 발생하는 경우 나타나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64. 다음은 디젤기관의 Operating data이다. 배기밸브를 닫는 유체의 종류 및 적정 압력은?
165. 대형선박의 전자제어엔진 제어시스템에서, EICU 1개가 고장 났을 경우의 운전 상태를 설명하시오.
166. 다음은 전속 항해중인 디젤 주기관의 텔레그래프 사진이다. Crash astern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167. 다음의 디젤 주기관의 성능곡선에서 Break Point 이후에 Pmax가 점선과 같이 상승할 경우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168. 대형 디젤 주기관에서 질소산화물(NOx)의 저감 방법으로, 연소 전 대책을 설명하시오.
169. 2행정 사이클 디젤 주기관에서 블로 바이(blow by) 현상이 발생했을 경우, 이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시오.
170. 다음의 디젤 주기관의 성능곡선에서 연료소모율이 가장 낮은 상태로 운전 중, 과급기의 회전수가 11,300[rpm], 소기압력이 1.5[kgf/cm²]인 경우, 현재 기관의 상태를 설명하시오.

171. 다음의 보일러의 급수제어장치에서 동그라미 부분의 명칭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72. 다음의 Airguard식 유윤활식 선미관 장치 도면에서 ⓐ, ⓑ, ⓒ, ⓓ, ⓔ에 작용하는 작동유체에 대해 설명하시오.
173. 다음은 디젤 주기관의 연료분사펌프에 부착된 Shock absorber 사진이다. Shock absorber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174. SCR이 설치되어 있는 디젤기관에 배기가스 온도가 정상값보다 낮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시오.
175. 다음의 VIT 시스템 Block diagram에서 입력 Parameter 값을 설명하시오. (단, I/P Converter의 공기압 입력은 1.4[bar])
176. 첨부한 Airguard식 선미관 도면에서 Air chamber에서, 해수의 유입여부 확인방법을 설명하시오.
177. 다음의 VIT가 설치된 디젤 주기관의 성능곡선에서 Break point 이전과 이후의 연료분사시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178. 다음의 디젤 주기관의 부하선도에서, ⓐ점에서 운전 중인 경우에 증가시킬 수 있는 최대 RPM과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Part 2. 기관Ⅱ
▹ 핵심 이론
유체기계 및 환경 오염 방지기기
냉동공학 및 공기조화장치
기계공작법
열역학, 기계역학 및 유체역학
▹ 문제와 해설
1. 엔탈피와 엔트로피를 설명하시오.
2. 열역학 제 1법칙, 제 2법칙을 설명하시오.
3. 뉴턴의 운동 제 1법칙, 2법칙, 3법칙을 설명하시오.
4. 펌프의 흡입 양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원심 펌프의 특징은?
6. 원심펌프에서 벌류트 펌프와 터빈 펌프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7. 원심펌프 운전시 주의 할 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원심펌프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시오.
9. 원심펌프 운전중 이상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원인
10. 원심 펌프의 축 추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 원심 펌프가 시동 후 송출 되지 않을 때의 원인은?
12. 펌프의 공동현상(CAVITATION)
13. 기어펌프의 릴리프 밸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4. 기어 펌프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5. 기어 펌프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6. 이모 펌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7. 왕복펌프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8. 왕복 펌프가 시동 후 송출 되지 않을 때의 원인은?
19. 펌프와 모터의 Alignment를 맞추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20. 이젝터(Ejector)와 인젝터(Injector)의 차이점은?

21. 청정과 청징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22. 청정기 비중판 이란?
23. 청정기에 사용되는 청수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24. 저질 연료유의 청정 방법은?
25. 냉동기의 냉동 사이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6. 냉동기의 과열도란?
27. 냉동기의 스트레이너가 하나 있다면 어디에 위치하겠는가?
28. Unload Valve 란?
29. 냉동장치에서 유 분리기와 액 분리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0. 불응축 가스가 혼입하는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1. 냉동기의 감온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2. 냉동장치에서 불응축 가스 퍼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3. 냉동장치의 크랭크케이스 내 오일 기포가 과다하게 발생 할 때의 원인을 설명하시오.
34. 냉동기의 흡입압력이 너무 낮을 때의 원인은?
35. 냉동기의 토출압력이 너무 높을 때의 원인은?
36. 냉매의 포화 압력와 임계 온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7. 냉동기의 압축기가 계속 운전 될 때의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8. 냉동기의 흡입 압력이 너무 높을때의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9. 냉동기의 압축기가 자주 기동, 정지 되는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0. 냉동기의 펌핑 다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1. 냉매의 보충방법을 설명하시오.
42. 냉동기의 교대 운전 방법을 설명하시오.
43. 냉매 부족 시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시오.
44. 프레온가스가 환경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5. 공기 조화 장치의 목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6. 공기 압축기에서 중간 냉각을 하는 이유는?
47. L.P 조수기의 원리를 설명하시오.
48. 유수분리기란?
49. 유수분리기 운전 방법을 설명하시오.
50. 유수분리기 정지 방법을 설명하시오.

51. 오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2. I.C.C.P(Impressed Current Cathodic Protection System)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53. 불활성 가스 장치(Inert Gas System)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4. M.G.P.S(Marine Growth Protection System)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5. 보조기계에서 유압식을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56. 양묘기의 구비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7. 조타장치에 필요한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8. 펌프 성능곡선을 그리고, 성능곡선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59. 냉동기의 팽창밸브의 역할과, 개도 조정은 무엇을 보고 판단하여 조정하는지 설명하시오.
60. 냉동기의 고압이 상승하는 원인을 나열하시오.

61. 층류와 난류 중 열전달이 잘 되는 것은 어느 때인가?
62. SEWAGE TREATMENT에서 각각의 탱크에서 하는 일을 설명하시오.
63. 냉동장치 압축기의 Trip될 때의 원인을 쓰시오.
64. 냉동기에 불응축가스가 있을 경우 생기는 현상 및 불응축가스가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하시오.
65. 조수기 운전 중 염분 농도가 상승하는 원인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66. 냉동기에서 유분리기와 액분리기의 위치와 역할은 무엇인가?
67. 보일러 수위조절의 세가지 요소를 적으시오.
68. 다음의 기어펌프의 도면에서, 송출측 압력을 높일 경우 릴리프 밸브의 조정방법을 도면번호를 이용하여 순서대로 설명하시오.
69. Unload 장치를 갖춘 6기통 증기압축식 냉동장치이다.(1) 기동 시 무부하로 운전될 경우의 운전부하에 대해 설명하시오. (2) 무부하 상태에서 전부하 운전 상태로 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70. 원심펌프를 분해 점검 결과 다음의 사진과 같은 임펠러에 침식과 Pitting(피팅) 현상이 나타났다. (1) 발생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2) 방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71. 전극봉식인 MGPS에서 항해 중 출력 전류값이 0으로 나타날 경우, 원인별로 조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2. 다음의 공기압축기 제어회로에서 토출측 공기 온도가 많이 상승하는 경우이다. (1) 이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시오. (2) 온도 상승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73. 다음 밸러스트 유압밸브 제어회로에서, 유압펌프의 고장으로 유압밸브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즉각적인 사용을 위한 조치 방법을 설명하시오.
74. 2대의 청정기를 운전할 경우이다. (1) 직렬운전과 병렬운전의 분리 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2) 동일한 양을 청정할 경우 직렬운전과 병렬운전 중 어느 방법이 더 효과적인지에 설명하시오.
75. 다음의 셀프젝터 유 청정기의 기동특성 곡선에서 ⓐ, ⓑ, ⓒ, ⓓ가 어떤 상태인지 설명하시오.
76. 냉동장치에서 Fish room 온도스위치를 ­15[℃]에서 ­12[℃]로 조정하였을 경우이다. (1) 자동팽창밸브의 개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이전과 비교하여 압축기 운전시간의 증감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77. 다음의 밸러스트용 원격제어 유압밸브 회로에서, 유압펌프의 출구에 있는 Solenoid valve가 현재의 상태로 작동되는 경우 Double pilot operated check valve(동그라미 부분)의 역할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78. 다음 청정기 비중판 선정 그래프에서, 처리유 비중이 50[℃]에서 940[kg/m³], 처리온도가 98[℃], 통유량이 2,500[l/h] 이다. (1) 다음 그래프를 활용한 Gravity disc 선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선정된 Gravity disc의 사이즈는?
79. 다음은 조타장치 유압회로이다. (1) Manual Isolation 밸브를 작동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시오. (2) 작동시킨 경우에 Isolation이 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80. 다음은 공기압축기 계통도에서 Magnetic valve(①)가 항상 열려 있을 경우이다. (1) 위의 경우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위 Magnetic valve가 열려있는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3) 위의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81. 다음은 MGPS Control panel display 그림에서 한 개의 전류 지시 값이 점점 낮아져 0[A]로 되는 경우이다. (1) 위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위의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82. 증기 압축식 냉동장치에서 증발압력 조절밸브가 있다. (1) 위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위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시오.
83. 다음 그림은 침관식 조수기이다. (1) Deflector는 어느 것인가? (2) Deflector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3) Deflector의 손상 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84. 다음은 Control air dryer 그림이다. (1) ⑩번 밸브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2) ⑩번 밸브 고장 시 응급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85. 다음은 Steering gear 유압회로에서 No.1 펌프와 No.1 & No.2 실린더가 정상적으로 운전되는 경우이다. (1) No. 1 & 2 Cyl.에 설치된 Stop valve(A, B, C, D)의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하시오. (2) Isolation valve(IV-1, IV-2, IV-3, IV-4)의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하시오. (3) Shut off valve(No.1, No.2)의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하시오.
86. 다음의 전기분해식 BWTS 사진에서 중화장치 탱크에 중화제 투입시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87. 정상 작동중인 청수압력탱크에서 청수펌프가 평상시 보다 빈번하게 기동 및 정지가 되는 경우, 압력스위치의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88. 다음은 Bow thruster 유압회로이다. (1) ①과 ②의 명칭을 말하시오. (2) ⓐ 또는 ⓑ 상태에서 ①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89. 다음의 MGPS Control Panel 사진과 계통도에서 Display 중 1개 이상이 작동하지 않거나, 전류값이 0.0으로 표시되는 경우, 원인과 원인별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90. Selfjector 유 청정기에서, (1) 봉수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치환수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3) 고압수의 역할을 설명하시오. (4) 저압수의 역할을 설명하시오.

91. 다음의 원심펌프의 도면에서 사각형 점선 내의 003번과 020번의 각각의 명칭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2. 증기 압축식 냉동장치에서, (1) 저압측에서 냉매를 충전할 경우 충전 위치와 방법 (2) 고압측에서 냉매를 충전할 경우 충전 위치와 방법
93. 다음은 Mooring winch 유압회로이다. (1) ①, ②, ③, ④의 명칭은? (2) ④에서 Check valve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94. 다음은 냉동장치의 유압보호스위치 도면과 사진이다. (1) �� 와 �� 가 연결되는 위치는? (2) 스위치가 작동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95. 다음은 갑판보기의 유공압회로에 사용되는 기호이다. (1) 밸브의 명칭은? (2) 밸브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96. 다음은 Windlass 유압회로이다. (1) 슬라이드 밸브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앵커체인을 내릴 때의 유압회로는?
97. 첨부한 Selfjector 청정기 계통도에서 A ~ G 라인의 용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98. 냉동장치에서 각 냉동실 입구 측 솔레노이드 밸브가 장시간 모두 Open 되고 있음에도, 압축기가 정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1) 위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이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99. 청정기 시스템에서 유수경계면(interface)이 정상일 경우, 보다 안쪽으로 들어올 때 (그림 1)와 바깥쪽으로 나갈 때(그림 2)의 원인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100. 프로펠러 축 접지장치(propeller shaft grounding device)의 Indicator가 지시하는 mV 값이 Alarm level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발생하는 현상과 조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1. 저압 증발식 조수기에서 조수량이 감소하였다.(1) 위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원인별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102. 다음의 조타장치 유압회로에서 Manual Isolation 밸브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Part 3. 기관Ⅲ
▹ 핵심 이론
전기공학 및 전기기기 전자공학 및 전자회로 계측공학 시퀀스제어 및 자동제어
▹ 문제와 해설
1.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플레밍의 오른손법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암페르의 오른손 법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상호 유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전기자 반작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열전효과 중 제벡 효과와 펠티에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유도 전동기의 회전원리를 설명하시오.
8. 유도 전동기의 역기전력을 설명하시오.
9. 유도 전동기 Y-∆ 기동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발전기의 원리

11. 유도 전동기의 기동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직류 전동기의 전기적 제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브러시리스 발전기의 원리
14. 선박의 전력계통
15. 선박에서 직류보다 교류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16. 교류(AC) 220V 와 직류 220V(DC) 중 어느 것이 더 위험 한가?
17. 동기검정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8. 발전기 병렬운전 조건
19. 발전기 병렬운전의 조건이 만족되지 못할 시 발생하는 현상
20. 동기 발전기의 난조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1. 병렬운전 중인 발전기의 Speed Droop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2. ESBD(Emergency Switchboard)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중요기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3. A.C.B(Air circuit Breaker)의 정의 및 역할
24. Preferential Trip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5. 교류 발전기의 AV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6. 교류 크기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7.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 이란?
28. 역률의 정의 및 역률계의 바늘은 몇 시 방향인가?
29. 와류 손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0. 절연저항 이란?

31. 절연저항 계측 방법
32. 접지저항이란?
33. Earth 와 Shor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4. 한시동작 순시 복귀접점, 순시동작 한시 복귀접점 이란?
35. 다이오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은?
36. 퓨즈의 단선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37. SCR 이란?
38. 전자 기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9. UJT 란?
40. 선내의 형광등 회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1. PI 제어에서 Reset Tim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2. PID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3. 플리커 회로
44.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에 대하여 설명하고 단위를 설명하시오.
45. 발전기 가버너에서 SPEED DROOP, COMPENSATOR의 역할은 무엇인가?
46. 발전기 NO.1 450V, 300kW, 120A / NO.2 450V, 300kW, 140A일 때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크기를 비교하시오. (부등기호)
47. 발전기 Valve rotator가 무엇이고, 무슨 역할을 하는지 설명하시오.
48. 1호 발전기 단독 운전 중 병렬운전을 위해 2호 발전의 ACB를 투입하였더니 그 순간 갑자기 정전이 되었다. 이 경우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49. 전동기 기동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에서 주기관 윤활유 펌프의 전동기는 UVR, 주기관 터닝기어 전동기 UVP로 표시된 경우, (1) 주기관 윤활유 펌프 전동기의 기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주기관 터닝기어 전동기의 기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50. 첨부한 기관실 통풍용 팬 전동기 기동회로에서 사각형 ①내의 타이머 2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1) LTD가 작동되는 설정값을 설명하시오. (2) STD가 작동되는 설정값을 설명하시오.

51. 다음은 발전기반의 ACB 사진이다. (1) LTD가 작동되는 설정값을 설명하시오. (2) STD가 작동되는 설정값을 설명하시오.
52. 병렬로 운전중인 2대의 발전기에서, 어느 1대의 발전기 여자기에서 여자전류가 흐르지 않을 경우 나타나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3. 다음은 전동기 Y-△ 기동회로이다. (1) 주회로에서 Y 및 △ 운전이 될 경우 작동되는 전자 접촉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2) STR 스위치를 눌렀더니 Y 기동에서 △ 기동으로 전환하지 못하고, Y 기동만 유지될 경우 점검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3) STR 스위치를 누르고 있을 때만 접촉기가 동작할 경우 점검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54. PI 제어기가 설치된 윤활유 청정기의 운전 중, 청정기의 입구 온도가 계속적으로 맥동을 일으킬 경우이다. (1) I 동작이 너무 과도할 경우의 조치방법 (2) P 동작이 너무 과도할 경우의 조치방법 (3) P와 I 동작 모두 과도할 경우의 조치방법
55. 다음의 정·역 운전회로에서 정방향으로 운전 중이던 전동기가 갑자기 정지하였다면 점검해야 할 부품에 대해 설명하시오.(단, 전동기와 전선은 이상 없음)
56. 다음의 전동기 기동회로에서 다음의 명칭과 역할을 설명하시오. (1) 52의 명칭과 역할 (2) 88의 명칭과 역할 (3) 51의 명칭과 역할
57. 윤활유 청정기 스팀히터에 설치된 공기압식 PID 온도제어기가 현재 설정값(SP) 70[℃], 측정값(PV) 70[℃]로 운전 중일 때, 온도 측정용 감온통이 갑자기 파손되어 봉입액이 누설하였다. (1) 윤활유 청정기 입구 온도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온도 변화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58. 다음의 PLC Ladder 프로그램에서 ① 라인의 P20이 전동기 구동용 전자접촉기인 경우, 다음에 대해 설명하시오. (1) ②번 라인의 P20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2) ③번 라인의 P02와 같은 접점을 두는 목적에 대해 설명하시오.
59. Pt ‐ 100 RTD에서 지시 온도값에 대해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지시 온도값이 정상 온도값보다 너무 높게 나타나는 경우의 원인 (2) 지시 온도값이 정상 온도값보다 너무 낮게 나타나는 경우의 원인
60. 다음의 ATO 공기압식 포지셔너의 밸브개도와 출력공기압의 선도에서 점선은 현재값, 실선은 정상값인 경우, (1) 보정을 위해 무엇을 조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2) 보정을 위한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61. 다음의 PI 컨버터 도면에서 압력센서의 측정범위가 6~10[bar]일 때, 현재 압력이 7.5[bar]인 경우 다음의 질문에 설명하시오. (1) 출력신호의 정상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2) 현재 입력에 대한 정상값은?
62. 다음 병렬운전중인 발전기의 유압거버너 사진에서, 스피드 드룹을 작게 조정하였을 경우 부하 분담에 대해 설명하시오.
63. 항해 중 정전되었다가 전원이 복구된 경우, UVP 방식 기동반의 전동기와 UVR 방식 기동반의 전동기의 조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4. 다음은 PLC 제어 계통이다. (1) RUN 및 TOKEN 램프의 점멸 시간이 길어지는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2) TX/RX 램프가 ON 되었을 경우의 상태에 대해 설명하시오.
65. 다음은 전동기 기동회로이다. (1) 전동기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계측기의 명칭은? (2) 절연저항의 측정값이 0인 경우와 무한대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시오.
66. 다음은 분전반 사진으로 아래에 대해 설명하시오. (1) ES-1 (2) PT-1
67. 3상 유도전동기에서 단상이 공급 될 경우 다음의 상황에 대해 설명하시오. (1) 기동 시 단상이 공급될 경우 (2) 운전 중 단상이 공급될 경우
68. 다음은 PID 제어기이다. (1) 설정값과 현재값은? (2) 조작밸브의 개도와 그 근거에 대해 설명하시오.
69. 선박의 납축전지 평상시 충전방법과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0. 전동기 기동회로에서 51접점의 양단 전압을 측정할 경우 다음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측정값이 440[V]인 경우 51접점의 상태 (2) 측정값이 0[V]인 경우 51접점의 상태

71. 다음은 PID 제어기 사진이다. (1) A의 설정값을 작게 조정했을 경우의 PID 제어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시오. (2) B의 설정값을 크게 조정했을 경우의 PID 제어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시오.
72. 브러시리스 3상 동기발전기에서, 회전자에 설치된 정류기의 6개의 다이오드 중 1개의 다이오드가 손상되었을 경우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73. No.1 & 2 발전기가 서로 균등한 kW 지시값으로 병렬운전중일 때, 역률문제로 No.1 발전기 고정자 부위에 발열이 더 심하다. (1) 위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위에 대한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74. No.1 & 2 발전기 2대를 자동운전시스템에 의해 균등부하로 병렬 운전중일 때, No.1 G/E 출력이 갑자기 크게 감소하였다. (1) 이 경우 배전반 kW 지시값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2) kW 지시값의 변화에 대한 근거를 설명하시오.
75. 직입기동방식 윤활유펌프 기동반에서, Start PB를 눌러 기동시켰으나 축은 회전하지 않으면서 전류계 지시값이 매우 큰 값을 계속 가리킨다. (1) 이 경우 가장 우선적인 조치 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2) 기계적 원인에 의한 문제인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3) 전기적 원인에 의한 문제인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76. 다음의 MSBD의 color plate specification 사진에서 Sequential start에 대해 설명하시오.
77. 발전기 운전 중 전압이 2[%] 정도 낮아졌을 경우이다. (1) 조정 방법을 설명하시오. (2) 조정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78. 다음의 시퀀스 회로에서 변압기의 1, 2차 전압이 440/220V 이다. (1) 정지 중 LP가 점등되어 있는 정상상태에서 접점 3C 양단의 전압은? (2) 정지 중 LP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점 3C 양단전압이 0[V] 로 측정된다면 발생 가능한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79. 병렬운전중인 두 발전기의 역률이 서로 다를 경우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80. 선박용 납축전지이다. (1) 납축전지를 균등충전 시켜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2) 균등충전을 시키는 전압과 주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Part 4. 직무일반
▹ 핵심 이론
당직근무 및 직무일반선박에 의한 환경오염방지응급의료비상제어 및 손상제어방화 및 소화요령기관관리승무원관리 및 훈련해사관련 국제협약 및 국내법
▹ 문제와 해설
1. 전기 작업 시 사고 방지 대책
2 고소 작업 시 사고 방지 대책
3. 밀폐 작업 진입 시 사고 방지 대책
4. 연료의 황 함유량은 얼마 이내로 규정되어 있는가?
5. 연료유 인화점은 몇℃ 이상으로 규정되어있는가?
6. Bunkering 절차
7. B.D.N(Bunker Delivery Note) 이란?
8. 연료유 유출시 보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SOPEP(Shipboard oil pollution plan)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ISM(International Safety Management)의 정의

11. ISM CODE에서 DOC와 SMC는 무엇인가?
12. PSC(Port State Control) 이란?
13. PSC 수검 시 기관부가 준비해야할 사항은?
14. PMS(Planned Maintenance System For Machinery)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5. CMS(Continous Machinery Survey)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6. ISPS(The International Ship and Port Facility Security Code)의 정의
17. ISPS CODE에서 총괄 보안 책임자, 선박 보안 책임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8. 안전관리자의 역할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9. 해양오염방지관리인의 역할을 설명하시오.
20. 선박의 정기검사
21. 선박의 중간검사
22. 선박의 임시검사
23. 선박 톤수의 종류
24. 특별해역 외에서의 오수의 배출요건
25. 특별해역 외에서 빌지의 배출요건
26. 비상 빌지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7. 선박에서 소각이 금지된 물질은?
28. 화재의 종류
29. TBM(Tool Box Meeting)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0. 화상의 종류

31. SECA 구역 이란?
32. 코퍼댐(cofferdam) 이란?
33. 소방구획 A-60 이란 무엇인가?
34. 디젤기관의 팽창 탱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5. E/R Control에서 Bridge Control 로 Telegraph 변경 시 주의사항
36. 황천 항해에 대한 준비 사항은?
37. 항해 중 발전기가 급정지 했을 때의 조치사항은?
38. 항해 중 급작스러운 정지 또는 후진 요청이 왔을 때 조치 사항은?
39. 기관장의 직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0. 1등기관의 업무에 관해서 설명하시오.

41. 해기사 면접시험의 근거법이란 무엇인가?
42. C/E Standing orde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3. Crash Aster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4. Quick Closing Valv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5. Dead Man 알람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46. 건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7. 선체 저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8. MARPOL 부속서 6장의 써트 이름과, 규제물질은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하시오.
49. B.D.N에 기입되는 항목은 무엇인가?
50. MARPOL ANNEX 4, 5, 6장이 각각 무엇인지 적으시오.

51. ISM 검사시 검사항목을 설명하시오.
52. 다음은 KR의 CMS status 이다. (1) 기관장의 점검이 가능한 항목은? (2) 기관장의 점검이 불가능한 항목은?
53. 한국선급의 계속검사 CMS 항목에서, (1) 기관장 검사가 인정되지 않는 디젤 주기관의 CMS 검사 항목에 대해 설명하시오. (2) 기관장 검사로 CMS가 인정되는 기관장의 자격 요건에 대해 설명하시오.
54. 해양환경관리법령에서 규정하는 SOPEP에서, (1) SOPEP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을 서술하시오. (2) 연안국 목록의 최신화 주기는?
55. EGE(Exhaust Gas Economizer)에 Manometer 설치된 선박에서, EGR 수관코일 표면에는 Soot가 부착되어 배기가스 배압이 증가한 경우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56. SOLAS 협약에서 규정하는 화물선의 소화 및 퇴선훈련 시행에 대해 설명하시오.
57. SOLAS 협약에서 규정하는 여객선과 화물선의 구명설비의 주간검사에 대해 설명하시오.
58. ATC 형식의 보일러 자동급수 조절용 제어밸브에서 제어공기가 공급되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59. 대형 디젤 주기관의 어느 한 실린더 라이너의 크랙으로 연소와 압축을 차단한 채 감통운전 하고자 할 경우 해당 실린더의 조치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60. SOLAS 협약에서 규정하는 디젤기관 독립 구동용 비상소화펌프에서, (1) 시동 가능 조건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시동 횟수는?

61. SOLAS 협약 및 개정규정상 선박 승무원들이 받아야 할 선박 보안의 교육, 훈련 및 연습에 대해 설명하시오.
62. MARPOL 협약에서 규정하는 화물선의 IOPP CERTIFICATE의 추록(supplement)에 기술된 내용에 대해 설명하시오.
63. 한국선급의 선급검사 중 대형 화물선의 입거검사 시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64. MARPOL 협약에서 규정하는 연료유 공급서에 관한 내용이다. (1) 포함 내용은 무엇인가? (2) 보관기간은?
65. 연속적으로 항해중인 대형선박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한국선급의 선급검사에 대해 다음 문항을 설명 (1) 유효기간이 있는 선급검사의 종류 (2) 검사종류별 검사주기
66. 병렬운전중인 No.1 & 2 디젤발전기에서 부하증가 시 No.1 발전기의 kW 지시값이 급상승하고, 동시에 No.2 발전기는 RPR이 작동하여 ACB가 트립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거버너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67. 입항 S/B 중 현장 및 C/R의 주기관 윤활유 압력은 정상이나 “Main lub. oil inlet low pressure”의 Auto shut down 램프가 켜지면서 주기관이 자동정지하였다. (1) Auto shut down된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2) 그렇다면 그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68. 주기관의 속도 편차에 PID 제어를 행하는 디지털 거버너에서, 황천 항해 시 거버너의 적분시간을 조금 더 크게 조정했을 경우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69. 선박의 비상배전반에 위치한 RTS(Remote Test Switch) test에서, (1) 위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위의 작동 절차에 대해 설명하시오.
70. 첨부된 표를 참조하여 부산항을 출항하여 LA항 입항시까지 필요한 최소 연료유 청구량에 대한 내용이다. (1) 계산과정을 설명하시오. (2) 청구량은?

71. MARPOL 협약에서 규정하는 선박이 배출규제해역으로 진입 전‧후 연료유 교환 시 기관일지 또는 전자기록부의 기록에 대한 내용이다. (1) 배출규제해역으로 들어가기 전 연료유 교환 시 기록하는 내용은? (2) 배출규제해역에서 나온 후 연료유 교환 시 기록하는 내용은?
72. MLC 해사노동협약에서 PSCO의 휴식시간 점검에 대비하여 본선의 사전 점검 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73. 다음은 유 윤활식 선미관 Aft seal 그림이다. (1) 정상 작동 시 No. 3와 No. 3S seal ring 사이의 Chamber에 미치는 압력에 대해 설명 하시오. (2) No. 3 seal ring이 손상되어 누유될 경우의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74. ISM Code에서 규정하는 DOC와 SMC에 관한 내용이다. (1) DOC와 SMC에 대해 설명하시오. (2) DOC의 중간과 갱신심사의 주기는? (3) SMC의 중간과 갱신심사의 주기는?
75. 기관실 화재 시 비상차단장치인 Quick closing valve에 대한 내용이다. (1) Quick closing valve 역할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76. 주기관을 기관실제어 상태로 항해중 선교로부터 주기관의 급정지나 급후진이 Order 되었을 때 기관실에서의 조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77. 대형 디젤 주기관의 어느 한 실린더에서 피스톤의 심한 손상으로 왕복운동부를 분해하고 취외하여 감통운전을 하고자 할 경우, 해당 실린더의 조치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78. 총톤수 5,000톤 이상 국제 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에 도입되는 CII(Carbon Intensity Indicator, 탄소집약도지수) 제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79. 항해 중 단독 운전 중인 발전기에서 원동기는 정상적으로 운전되지만 ACB의 트립으로 정전(Black out)이 발생하였다. (1) 정전 원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정전 시 자동화 선박에서 전원이 복구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시오.
80. 입항 스탠바이 중 주기관 실린더 냉각수 온도의 TAH 경보가 발생하면서 주기관이 Shut down 된 경우 긴급하게 주기관을 사용하기 위한 비상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81. 해양환경관리법령에서 규정하는 연료유 수급 시 추출하는 견본에 대한 내용이다. (1) 견본의 추출량에 대해 설명하시오. (2) 견본의 보관기간은 얼마인가?
82. 항만국통제 검사에서 15, 16, 17, 18, 30, 99, 10 결함코드에 대해 설명하시오.
83. 기관실 대형 화재로 고정식 이산화탄소 소화장치를 작동시키기 전에 확인해야 할 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Part 5. 해사영어
▹ 핵심 이론
1. 기관부 관련 용어
1) 기관실 상용 약자
2) 각종 기기, 탱크 및 펌프 종류
(1) 주요 기기의 종류
(2) 주요 탱크의 종류
(3) 주요 펌프의 종류
3) 대형 2 행정 사이클 디젤기관 각부 명칭
2. 영문기관일지
3. 기관 영어 문장 학습
▹ 문제와 해설
1. 다음은 무슨 약자인가?
2. 각국 선급협회의 약자는?
3. 다음의 문장을 영어로 작성하시오.
1) 주기의 사용연료를 F.O에서 D.O로 바꾸었다.
2) 1번 발전기를 시동하여 2호기와 병렬운전 하였다.
3) 터닝기어를 접속하여 주기를 20분 동안 터닝 하였다.
4) 오사카항을 떠나기 위해 스탠바이를 하였다.
5) 주기의 모든 실린더로부터 인디케이터 선도를 촬취하였다.
6) 선교의 지시에 따라 주기의 회전수를 낮추었다.
7) 1번 실린더 벽의 균열을 발견하여 여분으로 교체 하였다.
8) 주기를 정지 하였다.
9) 연료유 펌프의 흡입 및 토출 측 스트레이너를 정비하였다.
10) 연료유 청정기의 분리판을 분해, 정비하였다.

11) 보일러의 수저, 수면 방출을 시행하였다.
12) 냉동기에 5kg의 프레온 가스를 충전하였다.
13) 냉각수펌프의 임펠러 보스를 깎아내고 임펠러 축에 맞게 끼웠다.
14) 주기 윤활유 냉각기의 양쪽 커버를 열어서 해수 측을 정비 하였다.
15) 주기용 윤활유 냉각해수 파이프 누설부를 신환 하였다.
16) 주기용 연료유 히터 증기출구관의 보온재를 신환 하였다.
17) 기관실 모든 회로를 절연저항기로 점검 하였다.
18) 갑판기계의 모든 그리스 주입부에 그리스를 주입 하였다.
19) 실린더 라이너의 마멸량을 계측하였다.
20) 발전기 크랭크케이스 내부의 모든 작동부를 검사한 결과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21) 발전기의 연료 분사시기를 조정하였다.
22) 주기용 섬프탱크에 시스템 오일 300리터를 보충하였다.
23) 기관수 김씨가 하선하였다.
24) 지방표준시로 맞추기 위해 1시간을 전진시켰다.
25) 지방표준시로 맞추기 위해 1시간을 후진시켰다.
26) 주기관의 안전 밸브를 조정 하였다.
27) 연료유 400 M/T를 수급 하였다.
28) 모든 공기탱크로부터 드레인을 배출하였다.
29) 선미관 베어링과 프로펠러 축 사이의 간극을 계측하였다.
30) 에어컨의 공기 필터를 정비하였다.

31) 주 해수 냉각 펌프의 임펠러 샤프트의 부시 1개를 신환 하였다.
32) 주기의 에어러닝을 실시하였다.
33) 1번 실린더 피스톤의 피스톤링과 오일링을 신환하였다.
34) 3번 실린더 커버를 개방하고 피스톤을 뽑아냈다.
35) 모든 크랭크 핀 베어링을 검사하고 조정하였다.
36) 실린더 라이너의 마모 정도를 계측하고 기록했다.
37) 주기관 3번 피스톤을 뽑아내고 각 부분을 정비하고 실린더 라이너, 피스톤 링 및 피스톤 링홈의 마모량을 계측하였다.
38) 발전기의 크랭크 케이스 내의 모든 작동 부분을 검사하고 모두 양호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39) 주기관의 3번 연료 펌프를 차단했다.
40) 주기관 청수 냉각기의 누수 부분을 플러그로 틀어막았다.

41) 커플링 볼트의 고무 링 4개를 신환하였다.
42) 청수 펌프의 임펠러를 예비품으로 교환하였다.
43) 주기관 3,4번 실린더 라이너를 개방, 점검(오버홀)하라.

4. PSCO가 기관장에게 “Please show me the latest List of National Operational Contact Point in SOPEP?”
5. When connecting bunker hose to your ship, if the barge man tells you “Can we connect the loading arm?”
6. Bunkering 중 기관장이 Bunker supplier에게 "연료유 공급이 끝나기 5분전에 본선에 이를 알려 주시오"의 내용을 영어로 말하시오.
7. PSCO가 기관장에게 “How often do you hold security drills, training or exercises?”
8. PSCO가 기관장에게 “Do you have maintenance system?”
9. PSCO가 기관장에게 “When did you carry out the last emergency drill?”
10. PSCO가 기관장에게 “How often do you test emergency equipment?”
11. 다음과 같은 수리 신청내용을 영어로 표현하시오. “실린더 라이너와 내경을 계측하고 라이너 벽의 턱진 부분을 삭정할 것”
12. 검사관이 기관장에게 “How do you report to your company if non-conformities or accidents have happened?”
13. PSCO가 기관장에게 “Where is the emergency fire pump and when was the last test date?”
14. PSCO가 기관장에게 “There is no record for annual survey. When was the annual survey be carried out?”
15. PSCO가 기관장에게 “Could you explain in the releasing procedure of the fixed CO₂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big fire of E/R?”
16. Bunkering중 본선 기관사가 Bunker supplier와 “잠시 중지해 주십시오. 다른 탱크로 교환할겁니다.”
17. Bunkering 시작 전 본선 기관사가 Bunker supplier와 “만일 급유 중지를 원할 때에는 누구에게 말하면 됩니까?”
18. PSCO가 기관장에게 “Explain the total capacity of sludge tank(s) and quantity of daily oil residues?”
19. PSCO가 기관장에게 “Who is the DP in your company and how can you contact him?”
20. 검사관이 기관장에게 “Please show me the calibration record of your Gas Monitoring Meter?”

21. “Please start the emergency fire pump and show me the proper water pressure with two fire hoses at same time.”
22. PSCO가 기관장에게 “Please explain about vessel´s restricted area and how do you restrict access to these areas?”
23. 다음 질문을 영어로 말하시오. “본선 기관장입니다. 우리가 요청한 예비품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24. 본선의 연료유 수급 전 선장과 기관장의 대화에서 한글로 되어 있는 부분을 영어로 표현하시오.
25. 다음 질문을 영어로 표현하시오. “퇴선 신호인 단음 7회 후 장음 1회가 울리면 우현 구명정 앞에 집합합니다.”
26. “Which kind of check or test should be carried out during the emergency steering drill, and how often to the drill be conducted?”
27. 다음 수리 신청내용을 영어로 표현하시오. “주기관 1번 실린더의 스터핑 박스를 개방검사하고 글랜드 패킹 링을 조정할 것”
28. “How often do you check the insulation resistance of electric facilities for E/R machineries?”
29. Bunkering 상황에서 긴급 시 표현하는 다음 내용을 영어로 표현하시오. “정지! 기름이 플랜지에서 조금 샙니다. 다시 죄도록 하시오!”
30. Bunkering 중 기관장이 Bunker supplier와 대화하는 다음 내용을 영어로 표현하시오. “지금 시간당 얼마나 들어오고 있습니까? 150톤으로 올려주시오.”

31. Bunkering 중 기관장이 Bunker supplier와 대화하는 다음 내용을 영어로 표현하시오. “본선 계산으로는 M.D.O.는 정확하나 I.F.O.는 25톤이 부족합니다.”
32. Bunkering 중 기관장이 Bunker supplier와 대화하는 다음 내용을 영어로 표현하시오. “시간당 몇 톤으로 공급하실 겁니까?”
33. 다음 질문을 영어로 표현하시오. “윤활유 필터의 입·출구 압력차가 0.1[MPa] 이상이 되면 즉시 나에게 보고하세요.”
34. “How do you test critical equipments/systems and keep test records for them?”
35. Before bunkering, if you ask bunker barge “What is the maximum loading rate?”, then what will be his possible reply to it?
36. 다음의 대화를 영어로 말하시오. “선교에서 선장이 들어가라는 지시를 할 때까지는 구명정에 들어가지 말고 대기하세요.”

부록Ⅰ
1. 상용단위환산표
2 기름기록부
3. 유조선의 기름기록부
4. 유해 액체 물질 기록부
5. 기름 배출의 통제
6. 유탱커의 기름배출의 통제
7. 유해액체 물질의 배출 통제
8.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경우의 신고
9. 선급의 중간검사
10. 선급의 정기검사
11. 선급의 입거검사
12 선급의 프로펠러 축 및 선미관 축 검사
13. PSC 출항정지대상 주요 결함 사항
14. 온도 대조표
15. 한글 영문 표기
16. 영문 발음 기호 표기
17. 영어 알파벳 통신 용어
18. 숫자 영문 표기

부록Ⅱ
1. 1급 기관사 면접 10년간 기출문제
2. 2급 기관사 면접 10년간 기출문제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