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어떤 문장들은 이 세상에 관해 이야기하는 방식을 바꿔놓는다
제1장
“무지의 지, 하지만 다른 이들보다는 내가 조금 더 안다” - 소크라테스
제2장
“아는 것이 힘이다. 인간이 모든 것을 알면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 프랜시스 베이컨
제3장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생각은 결코 존재할 수 없다” - 르네 데카르트
제4장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이 걱정된다” - 토머스 홉스
제5장
“실은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 - 장 자크 루소
제6장
“‘보이지 않는 손’은 얼핏 언급했을 뿐” - 애덤 스미스
제7장
“누구나 자신만의 기호와 선호가 있다.
그러나 취향에 관해서는 함부로 말하지 마라” - 임마누엘 칸트
제8장
“인간은 자신이 먹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그 음식이 ‘수단’이라면?” -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제9장
“‘존재가 의식을 결정한다’
여태껏 이보다 더 뜨거운 논쟁거리는 없었다” - 카를 마르크스
제10장
“적자생존을 언급할 때는 다른 한 사람을 더 기억하라” - 찰스 다윈
제11장
“‘신은 죽었다’를 최초로 말한 것은 아니다” - 프리드리히 니체
부록
“다른 사람이 당신에게 하지 않길 바라는 것”에 대하여 - 그리고 철학적 전환점
색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