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09 시각장애 7
Chapter Ⅰ 시각장애 개념 21
1. 시각 21
2. 시각장애의 정의 22
Chapter Ⅱ 시각장애 원인과 교육적 요구 24
1. 눈의 구조와 기능 25
2. 안질환과 교육적 조치 29
Chapter Ⅲ 시각장애 판별 53
1. 형식적 시각 검사 54
2. 학습매체 평가 64
Chapter Ⅳ 시각장애 교육 65
1. 국어 66
2. 영어 66
3. 수학 67
4. 과학 67
5. 사회 69
6. 체육 70
7. 음악 77
8. 미술 78
9. 일반교과의 그래픽을 촉각화 하는데 고려할 점 79
Chapter Ⅴ 점자 지도 80
1. 점자의 필요성과 목적 81
2. 점자의 구성 원리와 기호 81
3. 점자 지도 방법 92
Chapter Ⅵ 방향정위와 이동 96
1. 보행 교육의 이해 97
2. 방향정위 98
3. 이동기술 지도 107
Chapter Ⅶ 저시각 아동 교육 120
1. 시각과 관련된 기본 개념 122
2. 저시력 기구 지원과 교육 126
Chapter Ⅷ 보조공학 137
1. 촉각 활용 보조공학기기 138
2. 청각 활용 보조공학기기 141
3. 시각 활용 보조공학기기 143
Chapter Ⅸ 시각중복장애아동 지도 144
1. 다감각 교수법 145
2. 농맹학생의 의사소통 방법 146
PART 10 청각장애 151
Chapter Ⅰ 청각장애 정의 165
1. 장특법 정의 165
2. 장애인복지법 정의 165
3. 미국 장애인교육법 165
Chapter Ⅱ 청각기관과 청각장애의 원인 및 분류 166
1. 청각기관의 구조 167
2. 청각장애의 원인 169
3. 청각장애의 분류 170
Chapter Ⅲ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발달 176
Chapter Ⅳ 청각장애 판별 179
1. 음차 검사 179
2. 순음청력검사 183
3. 링의 6개음 검사 195
4. 어음청력검사 201
5. 차폐 208
6. 객관적 청력검사 및 유아청각검사 215
Chapter Ⅴ 청각장애 교육 217
1. 구화교육 219
2. 수어 246
3. 종합적 의사소통법 261
4.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 262
Chapter Ⅵ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 지원 264
1. 청각장애 학생의 교수 방법상 고려점 264
2.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통합수업 지원 266
PART 11 의사소통장애 271
Chapter Ⅰ 의사소통 장애 정의와 기관 288
1. 의사소통 정의, 요소 289
2. 말·언어 산출 기관 290
3. 의사소통 장애 정의와 유형 291
Chapter Ⅱ 말장애 원인과 치료법 292
1. 조음·음운장애 293
2. 유창성 장애 318
3. 음성장애 329
Chapter Ⅲ 언어장애 원인과 치료 332
1. 언어장애 정의 334
2. 언어의 구성요소 334
3. 언어 발달 347
4. 언어장애 유형 351
5. 언어장애 판별 366
6. 언어장애 교육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