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단히 맞물린 억압 체계들에 어떻게 맞설 것인가
흑인 레즈비언 여성의 경험으로 직조한 ‘교차성 이론’
인종,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등의 권력 체계는 복잡하게 맞물려 서로를 강화한다. 이러한 억압의 작동 양상을 밝히는 ‘교차성 이론’은 오늘날 사회 불평등을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접근법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런데 이 교차성 이론의 근원에 흑인 페미니즘, 특히 오드리 로드가 자리한다는 사실은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로드는 흑인 페미니스트이자 백인 여성과 결혼해 딸과 아들을 기르는 레즈비언 엄마였다. 여러 위계의 교차점에 선 자신의 생생한 경험을 지식으로 생산하며 현대 페미니즘 이론을 크게 혁신했다.
이 책은 흑인 페미니즘 전통에 뿌리를 둔 로드의 존재론·인식론·관계론을 열 가지 키워드로 해설한다. 로드가 왜 여성들 사이의 차이와 깊은 감정의 힘에 주목했는지, 성애와 시학에 어떤 역할을 부여했는지, 분노를 어떻게 활용해야 한다고 여겼는지 등을 상세히 살필 수 있다. 로드에 따르면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온전히 정의하고 긍정하는 일은 생존의 문제고 앎의 문제며 다른 이들과 함께 온전히 살아가는 삶을 쟁취하는 정치다. 로드의 교차성 이론에서 우리를 에워싼 억압과 혐오에 맞설 방법을 발견해 보자.
오드리 로드(Audre Lorde, 1934∼1992)
현대 흑인 페미니즘을 대표하는 흑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다. 일찍이 1950년대에 그리니치빌리지를 드나들며 스스로를 레즈비언으로 정체화했다. 레즈비언임을 공표하고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면서 미국 주류 문단의 벽을 허문 최초의 흑인 여성 시인이다. 1960년대부터 흑인 민권 운동과 급진적 여성 운동에 적극 참여한다. ≪블랙 유니콘≫을 비롯해 열 권 남짓의 시집을 출판했다. 산문으로는 자전적 글 ≪자미: 내 이름의 새로운 철자≫(1982), 산문과 강연 모음집 ≪시스터 아웃사이더≫(1984), ≪빛의 폭발≫(1988), 생전의 미출간 산문과 대표적 산문을 엮어 사후에 출간된 ≪나는 당신의 자매입니다≫(2011)가 있다. 흑인 여성과 흑인 레즈비언 여성의 경험을 페미니즘 존재론, 퀴어 인식론과 교차성 이론, 관계론 등으로 이론화했다. 이로써 정치적 보수화의 물결이 일고 여성과 퀴어에 대한 공격이 늘어나던 때 기나긴 정치적 우울을 어떻게 정치적 자원으로 삼을지에 대한 통찰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