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5 AI 디지털교과서 시대에 대응하는 에듀테크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2025 AI 디지털교과서 시대에 대응하는 에듀테크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 데이코산업연구소
  • |
  • 데이코인텔리전스
  • |
  • 2025-01-06 출간
  • |
  • 579페이지
  • |
  • 210 X 297mm
  • |
  • ISBN 9791190816687
판매가

480,000원

즉시할인가

43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데이코산업연구소, ‘2025 AI 디지털교과서 시대에 대응하는 에듀테크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보고서 발간

산업조사 전문 기관인 데이코산업연구소가 ‘2025 AI 디지털교과서 시대에 대응하는 에듀테크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국내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이 시작된다. AI 디지털교과서는 2025학년도 신학기부터 서책형 교과서와 함께 교실에서 사용될 예정이다. 공교육 교과서에 AI를 전면 도입하는 국가는 한국이 처음이다.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앞두고 문해력 논란 등 부작용 우려로 국어와 기술·가정 과목에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취소하고, 사회와 과학 관련 과목은 기존 일정보다 늦게 도입하는 안이 유력하게 논의되고 있지만 영어, 수학, 정보 등 3개 과목을 시작으로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이 본격 추진된다.

AI 디지털교과서는 학생 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맞춤형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AI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에듀테크라는 고도화된 교육 방식이 오늘날 더욱 강조되고 있다. 에듀테크는 기존의 일방향 교육방식에서 개인 맞춤형, 몰입 경험 기반의 교육 방식으로 전환되는 데에 중요한 수단으로 등장했다. 학생은 최적화된 맞춤학습 콘텐츠로 배우고 교사는 데이터 기반으로 수업을 디자인하며, 학부모는 자녀의 학습 활동 정보를 풍부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교육 환경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MarketsandMarkets에 의하면 에듀테크 및 스마트교실 시장은 2023년 USD 1,463억 달러에서 연평균 13.2%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7년에는 USD 2,32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MacKinsey 등에 따르면 교육 부문의 AI 도입률은 금융, 통신, 자동차, 에너지 등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I에 대한 투자 수준 또한 타 산업 대비 교육 산업이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반대로 향후 교육시장에서 4차 산업 기술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에듀테크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높을 것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교육 부문의 디지털 전환은 조만간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해당 시장은 향후 급성장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에듀테크 산업은 Google, Microsoft 등 빅테크(Big Tech) 기업과 에듀테크 기업 중심으로 성장 중이다. 이 기업들은 자사만의 역량과 리소스를 기반으로 에듀테크 사업을 발전시키는 중이며, 전략적 투자와 M&A 등을 통해 역량을 제고하고 기반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특히 빅테크 기업들은 기존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자산에 시험 대비, 과목별 학습 플랫폼, 데이터 관리 특수 플랫폼, AI 및 AR 기술 등의 세부적 교육적 역량을 더하기 위하여 다양한 에듀테크 스타트업들에 투자하거나 인수를 했다.

국내 에듀테크 산업 또한 주요 대기업·빅테크 기업과 전통 교육업체, 에듀테크 스타트업들로 이루어져 있다. 대기업과 전통 교육업체들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 비즈니스 전략을 재수립하고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여 최종적으로 공교육에 진입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 중이다. 스타트업들은 글로벌 추세에 힘입어 에듀테크 R&D에 매진하여 다양한 에듀테크 제품 및 서비스를 출시 중이다. 에듀테크 스타트업의 경우 교육서비스 기업과의 협업 및 투자를 통해 자금 수혈과 사업 노하우를 얻을 수 있어 관련 사례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보다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서비스 기업과 스타트업간의 협업 사례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데이코산업연구소는 AI 디지털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에듀테크 최신 시장 동향부터 AI, 메타버스 등 다양한 에듀테크 핵심 기술 동향을 조사·분석하였으며, 국내외 정책 및 선도기업의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본서를 출간하게 되었다.

데이코산업연구소는 본 보고서가 에듀테크 산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에 관심을 갖고 계시는 모든 분들의 업무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목차

Ⅰ. 글로벌 에듀테크 산업 및 주요국 동향

1.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 및 산업 동향
1-1. 에듀테크 개요 및 산업 동향
1) 국내외 교육 시장 동향
(1) 글로벌 교육 시장 동향
(2) 국내 교육 시장 동향
2) 에듀테크 개요 및 산업 구조
(1) 에듀테크 정의
(2) 에듀테크 등장 배경
(3) 에듀테크 산업 구조 및 적용 기술
1-2. 에듀테크 시장 동향
1)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 동향
(1)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 전망
(2) 글로벌 이러닝 시장 전망
(3) 에듀테크 투자 현황
2) 국내 에듀테크 시장 동향
(1) 국내 에듀테크 시장 전망
(2) 2024 대한민국 에듀테크 마켓맵
3) 국내외 에듀테크 관련 주요 기업 동향
(1) 해외 에듀테크 기업 현황
(2) 국내 에듀테크 기업 현황
1-3. 에듀테크 유망 기술 및 사업 분야별 동향
1) 에듀테크 유망 기술 동향
(1) 모바일(Mobile)
(2) 인공지능(AI)
(3) 가상현실(VR)
(4) 메타버스(Metaverse)
(5) 웨어러블(Wearable)
2) 국내외 에듀테크 사업 부문별 현황
(1) 콘텐츠 부문
(2) 플랫폼 부문
(3) 네트워크 부문
(4) 디바이스 부문
3) 국내 에듀테크 산업 및 서비스 현황
(1) 국내 에듀테크 산업 동향
(2) 국내 에듀테크 기반 서비스 동향

2. 주요국 에듀테크 시장 및 정책 동향
2-1. 국내
1) 2023년 국내 이러닝 실태조사 종합 분석
(1) 국내 이러닝 산업 개요
(2) 국내 이러닝 공급시장 현황
(3) 국내 이러닝 수요시장 현황
(4) 국내 이러닝 산업 전망
2) 국내 에듀테크 정책 동향
(1) 에듀테크 진흥방안
(2) 제6차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3) 에듀테크 소프트랩
2-2. 미국
1) 미국 에듀테크 시장 동향
(1) 미국의 교육 시스템
(2) 미국 에듀테크 시장 현황 및 전망
(3) 미국 에듀테크 주요 기업
2) 미국 에듀테크 정책 동향
(1) 모든 학생 성공법(Every Student Succeeds Act, ESSA)
(2) 국가 교육 기술 계획(National Educational Technology Plan, NETP)
(3) 미국 에듀테크 거버넌스
2-3. 중국
1) 중국 에듀테크 시장 동향
(1) 중국 디지털 교육산업 동향
(2) 중국 AI 교육산업
(3) 중국 온라인 교육 시장 전망
(4) 중국 시장 진출 국내 교육 서비스 기업
2) 중국 에듀테크 정책 동향
(1) 2024년 AI 선도 계획 출범식
(2) 국가 스마트교육 공공플랫폼 구축
(3) 교육 디지털 전환 정책
2-4. 일본
1) 일본 에듀테크 시장 동향
(1) 일본 e-러닝 시장 전망
(2) 일본 에듀테크 기업
2) 일본 에듀테크 정책 동향
2-5. 영국
1) 영국 에듀테크 시장 동향
(1) 영국 에듀테크 산업 동향
(2) 영국 에듀테크 활용 분야
2) 영국 에듀테크 정책 동향
(1) 2022년 교육정책서에 포함된 디지털 기술 활용
(2) 에듀테크 전략(2022)
2-6. 인도
1) 인도 에듀테크 시장 동향
(1) 인도 에듀테크 시장 전망
(2) 인도 에듀테크 주요 기업
2) 인도 에듀테크 정책 동향
2-7. 동남아시아
1) 싱가포르
(1) 싱가포르 에듀테크 시장 동향
(2) 싱가포르 에듀테크 정책 동향
2) 태국
(1) 태국 에듀테크 시장 동향
(2) 태국 에듀테크 정책 동향
3) 베트남
(1) 베트남 에듀테크 시장 동향
(2) 베트남 에듀테크 정책 동향
4) 인도네시아
(1) 인도네시아 에듀테크 시장 동향
(2) 인도네시아 에듀테크 정책 동향
5) 말레이시아
(1) 말레이시아 에듀테크 시장 동향
(2) 말레이시아 에듀테크 정책 동향

Ⅱ. AI 디지털교과서 및 에듀테크 기술 동향
1. AI 디지털교과서 개요와 개발 동향
1-1. AI 디지털교과서 개요 및 서비스 구성
1) AI 디지털교과서 개요
(1) AI 디지털교과서 정의 및 특성
(2) 국내 2025년 AI 교과서 도입 이슈
(3) AI 디지털교과서 핵심 서비스
(4)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원칙과 방향
2) AI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1) AI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구성도
(2) (공공) AI 디지털교과서 포털 서비스
(3) (민간) 교과별 AI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3) 국내외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비교
(1) 국내외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차이점
(2) 국내외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공통점
(3) 디지털교과서 활용 과제
1-2.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동향
1)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절차
(1) 기획 단계
(2) 설계·개발 단계
(3) 운영 단계
2) AI 디지털교과서 인프라
(1) 클라우드(SaaS) 기반의 웹 서비스
(2) 클라우드 보안
3) AI 디지털교과서의 공통 기능 연계
(1) 통합인증체계 연계
(2) 교육과정 표준체계 기능 적용
(3) 교과별 시작 화면
4) AI 기반 맞춤형 학습 지원
(1) 학습 진단
(2) 맞춤형 콘텐츠
(3) 대시보드
(4) AI 튜터
(5) AI 보조교사
(6) 교사 재구성 기능
5) 학습데이터 수집·관리·전송
(1) 데이터 수집
(2) 데이터 관리 및 개인정보 보호
(3) 데이터 전송
6) UDL 및 접근성
(1) 보편적 학습 설계
(2) 다양한 특성을 가진 장애인 사용자를 위한 접근성 준수
7) 기타준수사항
(1) 목적 외 활용 금지
(2) 선행학습금지
(3) AI 리스크 관리
(4) 저작권 확보
1-3. 국내 AI 디지털교과서 추진 정책
1) AI 디지털교과서 추진방안
(1) 추진 배경
(2) 개발 개요
(3) 추진 내용
(4) 향후 계획
2)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이행안

2. AI 디지털교과서 및 에듀테크 기술 활용 동향
2-1. 글로벌 AI 디지털교과서 활용 동향
1) 주요국 디지털 교과서 활용 동향
(1) 미국
(2) 캐나다
(3) 독일
(4) 스웨덴
(5) 중국
(6) 일본
(7) 대만
(8) 말레이시아
2) AI 디지털 교과서 주요 기능 및 서비스별 개발 동향
(1) AI 디지털교과서 주요 기능
(2) AI 디지털교과서 주요 기능의 기술적 요소 분석
(3) AI 디지털교과서 주요 서비스 개발 동향
2-2. 주요국 에듀테크 기술 활용 동향
1) 미국
(1) 학교를 위한 AI 툴킷 출시
(2) 특수교육 교사를 돕기 위한 AI 활용
(3) AI를 통한 개인화된 학습 평가
(4) 메타버스를 활용한 학습 및 실습
(5) 학생 지원 챗봇
2) 캐나다
3) 영국
(1) AI 교실 자원 강화를 위한 콘텐츠 스토어 출시
(2) AI 도입을 통한 교사 업무 지원
(3) 교사 없는 AI 교실
4) 프랑스
5) 호주
(1) 대학생을 위한 AI 가상 튜터 개발
(2) 교사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한 AI 교육 프로그램
6) 중국
(1) 스마트 학습 공간 구축
(2) AI 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강화
7) 일본
(1) AI 자동 채점 시스템 도입
(2) 생성형 AI로 맞춤형 영어 회화 수업 진행

Ⅲ. 에듀테크 핵심 기술 및 특허동향과 기술개발 로드맵

1. 에듀테크 핵심기술별 동향
1-1. AI와 에듀테크
1) 교육분야 AI 활용 개념과 유형
(1) 교육분야에서의 AI 활용 개념
(2) AI 기반 맞춤형 교육서비스 유형
(3) AI 기술 적용 에듀테크 기능 특징
2) 교육분야 AI 활용 관련 주요국 정책 동향과 사례
(1) AI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제기구들의 움직임
(2) AI 교육적 활용에 대한 주요국의 교육 정책 및 사례
(3) AI 교육적 활용에 대한 한국의 정책 및 향후 방향
3) AI 기반 에듀테크 시장 및 기술 동향
(1) AI 기반 에듀테크 시장 동향
(2) AI 기반 에듀테크 기술개발 동향
4) AI 튜터 기술 동향
(1) AI 튜터의 개념과 기술
(2) AI 튜터 서비스 유형
(3) 글로벌 AI 튜터 사례
(4) 국내 AI 튜터 사례
1-2. 메타버스와 에듀테크
1) 메타버스 개요
(1) 메타버스 개념과 이슈, 키워드
(2) 메타버스 기술
(3) 메타버스 활용 분야 및 사례
(4) 빅테크 메타버스 전략
2) 교육분야 메타버스 활용 개요와 의의
(1) 교육분야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개요
(2) 교육분야에서의 메타버스 의의
3) 국내외 교육분야 메타버스 활용 동향
(1) 주요국 교육분야 메타버스 활용 동향
(2) 국내 교육분야 메타버스 활용 동향
4) 수업 활용 메타버스 주요 플랫폼
(1) 단순 조작 기반의 디바이스 중심(키보드, 마우스 등)
(2) 감각 기반의 상호작용적 디바이스 중심(HMD, controller 등)
5) 교육분야 메타버스 스타트업

2. 에듀테크 관련 특허동향과 기술개발 로드맵
2-1. 에듀테크 관련 기술 특허 동향
1) 뇌파 기반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특허 동향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 주요 출원인 분석
2) 산업 재직자 역량 강화 플랫폼 특허 동향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 주요 출원인 분석
3) 은퇴자·고령자 대상 런케이션 서비스 특허 동향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 주요 출원인 분석
4) 휴먼팩터 연계 지식전이 서비스 특허 동향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 주요 출원인 분석
5) xAI 기반 개별 학습자 맞춤형 교육 플랫폼 특허 동향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 주요 출원인 분석
6)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자율학습 서비스 특허 동향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 주요 출원인 분석
7) 학생-교사-학부모 간 갈등해소 서비스 특허 동향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 주요 출원인 분석
8) 온라인 환경 내 학습자 보호 플랫폼 특허 동향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 주요 출원인 분석
2-2. 에듀테크 관련 기술개발 로드맵
1) 뇌파 기반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특허 동향
(1) 전략품목 핵심 요소기술
(2) 전략품목 기술개발 목표
(3) 전략품목 기술로드맵(2024-2026)
2) 산업 재직자 역량 강화 플랫폼 특허 동향
(1) 전략품목 핵심 요소기술
(2) 전략품목 기술개발 목표
(3) 전략품목 기술로드맵(2024-2026)
3) 은퇴자·고령자 대상 런케이션 서비스 특허 동향
(1) 전략품목 핵심 요소기술
(2) 전략품목 기술개발 목표
(3) 전략품목 기술로드맵(2024-2026)
4) 휴먼팩터 연계 지식전이 서비스 특허 동향
(1) 전략품목 핵심 요소기술
(2) 전략품목 기술개발 목표
(3) 전략품목 기술로드맵(2024-2026)
5) xAI 기반 개별 학습자 맞춤형 교육 플랫폼 특허 동향
(1) 전략품목 핵심 요소기술
(2) 전략품목 기술개발 목표
(3) 전략품목 기술로드맵(2024-2026)
6)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자율학습 서비스 특허 동향
(1) 전략품목 핵심 요소기술
(2) 전략품목 기술개발 목표
(3) 전략품목 기술로드맵(2024-2026)
7) 학생-교사-학부모 간 갈등해소 서비스 특허 동향
(1) 전략품목 핵심 요소기술
(2) 전략품목 기술개발 목표
(3) 전략품목 기술로드맵(2024-2026)
8) 온라인 환경 내 학습자 보호 플랫폼 특허 동향
(1) 전략품목 핵심 요소기술
(2) 전략품목 기술개발 목표
(3) 전략품목 기술로드맵(2024-2026)

Ⅳ. 에듀테크 주요 기업 사업화 전략

1. 해외 업체
1-1. 빅테크 기업
1) (미국) Google
(1) Google.org의 AI 기회 펀드
(2) Google AI 자원 활용과 교육 과정 지원
(3) Google Classroom
(4) Google for Education
2) (미국) Microsoft
(1) Microsoft 365 Education(M365)
(2) Microsoft Teams
(3) Minecraft Education Edition(교육용 마인크래프트)
(4) EdChat
3) (미국) Apple
(1) Apple School Manager
(2) Schoolwork
(3) Classroom
(4) Classkit
(5) 교육용 AR
4) (미국) Amazon
(1) Amazon Educate
(2) Amazon Training and Certification
(3) Alexa in Education
(4) Think Big Space
5) (중국) Lenovo
(1) LanSchool
(2) Lenovo VR Classroom
(3) VR Classroom 2
(4) Albus 프로젝트
1-2. 에듀테크 스타트업
1) (미국) Duolingo
2) (미국) Guild Education
3) (미국) Age of Learning
4) (미국) Udacity
5) (미국) BetterUP
6) (미국) Handshake
7) (미국) Outschool
8) (미국) Kajabi
9) (미국) Degreed
10) (인도) Physics Wallah
11) (중국) Yuanfudao
12) (중국) VIPKID
13) (중국) Knowbox
14) (중국) iTutorGroup
15) (중국) HuJiang
17) (영국) Multiverse
18) (오스트리아) GoStudent
19) (호주) Go1

2. 국내 업체
1-1. 빅테크 기업
1) 네이버
2) 카카오
3) 삼성전자
4) LG전자
5) LG CNS
6) SK텔레콤
7) KT
8) LG유플러스
1-2. 교육기업
1) 웅진씽크빅
2) 메가스터디교육
3) 대교
4) YBM
5) 교원
6) 비상교육
7) 윤선생
8) 천재교육
9) 에듀윌
1-3. 에듀테크 스타트업
1) 아이스크림에듀
2) 에누마
3) 뤼이드
4) 매스프레소
5) 데이원컴퍼니
6) 클래스팅
7) 아이포트폴리오
8) 이모티브
9) 세샤트
10) 코드스테이츠
11) 호두랩스
12) 커넥팅더닷츠(째깍악어)
13) 아이엔지스토리
14) 럭스로보
15) 엘리스
16) 클라썸
17) 프리윌린(매쓰플랫)
18) 데이터뱅크

표 목차
Ⅰ. 글로벌 에듀테크 산업 및 주요국 동향
〈표1-1〉 과목별 및 학생별 전체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표1-2〉 2022 개정 교육과정 요약
〈표1-3〉 에듀테크의 정의 및 유사 개념 비교
〈표1-4〉 에듀테크 산업 구조
〈표1-5〉 에듀테크에 적용되는 주요 기술
〈표1-6〉 맞춤형 교육서비스 유형
〈표1-7〉 국내 AI 기반 맞춤형 교육서비스 사례
〈표1-8〉 AR, VR, MR의 개념과 장단점
〈표1-9〉 주요 AR·VR 기술 활용 에듀테크 스타트업
〈표1-10〉 가구당 스마트폰 및 노트북 보급률
〈표1-11〉 온라인교육 시장 규모 상위 10개국
〈표1-12〉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에듀테크 사업 현황
〈표1-13〉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주요 에듀테크 투자 및 M&A 현황
〈표1-14〉 에듀테크 분야 유니콘 기업
〈표1-15〉 국내 주요 대기업 에듀테크 사업 동향 요약
〈표1-16〉 국내 빅테크 기업의 에듀테크 사업 현황
〈표1-17〉 국내 주요 전통 교육업체들의 에듀테크 투자 전략
〈표1-18〉 국내 주요 교육서비스 기업의 에듀테크 사업 현황
〈표1-19〉 국내 주요 에듀테크 기업(전통 교육업체+스타트업) 해외 시장 진출 현황
〈표1-20〉 국내 주요 에듀테크 스타트업 현황
〈표1-21〉 모바일 학습 소프트웨어 개발 요구사항
〈표1-22〉 모바일 학습 앱 다운로드 순위
〈표1-23〉 이러닝 내 AI를 통합 시 이점
〈표1-24〉 교육업계에서 VR·AR 기술의 이점
〈표1-25〉 주요 VR·AR 기술 활용 교육 스타트업
〈표1-26〉 주요 교육용 웨어러블 단말기
〈표1-27〉 국내 에듀테크 분야별 시장점유율 및 현황 분석
〈표1-28〉 학교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는 에듀테크 제품
〈표1-29〉 교사들이 에듀테크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
〈표1-30〉 사업분야별 이러닝 사업체 수
〈표1-31〉 2023년 이러닝 매출액 분포
〈표1-32〉 교육대상별 매출 비중
〈표1-33〉 2023년 이러닝 수요시장 규모(지출액)
〈표1-34〉 이러닝 수요시장 규모 추이
〈표1-35〉 교육대상별 매출 비중
〈표1-36〉 서비스분야별 매출 비중
〈표1-37〉 개인특성별 이러닝 이용률
〈표1-38〉 개인 이러닝 지출액 규모 추이
〈표1-39〉 연령대별 이러닝 지출액
〈표1-40〉 사업체규모별 이러닝 도입률
〈표1-41〉 업종별 이러닝 도입률
〈표1-42〉 사업체규모별 이러닝 지출액 규모
〈표1-43〉 업종별 이러닝 지출액 규모
〈표1-44〉 정규교육기관 이러닝 도입률
〈표1-45〉 정규교육기관 이러닝 지출액 규모 추이
〈표1-46〉 정규교육기관 이러닝 지출 규모
〈표1-47〉 정부/공공기관 이러닝 도입률
〈표1-48〉 정부/공공기관 조직형태별 이러닝 지출액 규모
〈표1-49〉 대표사업별 해외 시장 진출 현황
〈표1-50〉 에듀테크 진흥방안
〈표1-51〉 제6차 교육정보화 기본계획(’19~’23) 주요 정책 과제
〈표1-52〉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 방안 내용 상세
〈표1-53〉 미국 에듀테크 주요 기업
〈표1-54〉 ’쐉젠’ 정책 발표 이후 주요 기업의 대응 조치
〈표1-55〉 중국 에듀테크 시장에 진출한 주요 한국기업
〈표1-56〉 중국 2022년 전 국민의 디지털 리터러시 및 기술 향상을 위한 업무요점 지표
〈표1-57〉 영국 에듀테크 관련 주요기관
〈표1-58〉 영국의 주요 에듀테크 관련 전시회
〈표1-59〉 영국 에듀테크 전략 정책(2022)의 7대 실행전략 및 주요 세부과제
〈표1-60〉 인도 주요 에듀테크 트렌드
〈표1-61〉 인도정부 디지털 교육 프로젝트 사례
〈표1-62〉 싱가포르 정부의 원격 수업 시행 내용
〈표1-63〉 싱가포르 주요 에듀테크 기업 및 서비스 현황
〈표1-64〉 싱가포르 EdTech 계획 실행방안
〈표1-65〉 싱가포르 Eduspaze 주요 지원책
〈표1-66〉 태국 주요 에듀테크 기업
〈표1-67〉 베트남 10대 에듀테크 스타트업(펀딩액 순)
〈표1-68〉 떠오르는 베트남 에듀테크 기업
〈표1-69〉 베트남의 국가 디지털 전환을 위한 주요 개선 방향
〈표1-70〉 인도네시아 온라인 교육 매출
〈표1-71〉 인도네시아 유아교육 관련 에듀테크 기업
〈표1-72〉 인도네시아 학교교육 관련 에듀테크 기업
〈표1-73〉 인도네시아 언어교육 관련 에듀테크 기업
〈표1-74〉 인도네시아 핀테크 관련 에듀테크 기업
〈표1-75〉 인도네시아 온라인 학위, 직업 교육 관련 에듀테크 기업

Ⅱ. AI 디지털교과서 및 에듀테크 기술 동향
〈표2-1〉 AI 교과서 검정 통과 업체
〈표2-2〉 국내외 디지털교과서 플랫폼의 공통 기능
〈표2-3〉 디지털교과서 플랫폼의 활용 방안
〈표2-4〉 클라우드 서비스(SaaS) 핵심 특성
〈표2-5〉 학생 대시보드 내 노출 정보(예시 안)
〈표2-6〉 교사 대시보드 내 노출 정보(예시 안)
〈표2-7〉 학부모 대시보드 내 노출 정보(예시 안)
〈표2-8〉 AI 튜터 주요 기능
〈표2-9〉 AI 보조교사 주요 기능
〈표2-10〉 국가수준 학습데이터셋 항목(예시안)
〈표2-11〉 통합 대시보드 데이터셋 항목(예시안)
〈표2-12〉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로드맵 조정(안)
〈표2-13〉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하여 특수 교육 업무를 간소화하는 방법

Ⅲ. 에듀테크 핵심 기술 및 특허동향과 기술개발 로드맵
〈표3-1〉 AI 기반 학습분석 활용 주체별 접근관점
〈표3-2〉 맞춤형 교육서비스 대표 사례
〈표3-3〉 AI·빅데이터 기반 교수-학습 데이터 유형
〈표3-4〉 AI 기술 적용 에듀테크 기능 특징
〈표3-5〉 싱가포르 교육 분야 AI 프로젝트 기대 효과
〈표3-6〉 싱가포르 교육 분야 AI 프로젝트 시기별 적용 단계
〈표3-7〉 싱가포르 ICT 마스터플랜 차수별 목표
〈표3-8〉 능동적 학습 과정과 그에 따른 테크놀로지의 역할
〈표3-9〉 2024년 에듀테크 솔루션 시장
〈표3-10〉 주목할 만한 AI 기반 에듀테크 스타트업
〈표3-11〉 생성형AI 적용 에듀테크 사례
〈표3-12〉 구글 클라우드 Interactive AI Tutor Platform을 적용한 Walden University의 사례
〈표3-13〉 Duolingo의 AI 기술 활용
〈표3-14〉 메타버스 속성 예시(메타, 로블록스 사례)
〈표3-15〉 메타버스의 4대 유형과 특징
〈표3-16〉 메타버스의 주요 기능별 내용과 사례
〈표3-17〉 웹의 진화 과정(인터넷 → 소셜미디어 → 메타버스)
〈표3-18〉 메타버스 요소 기술
〈표3-19〉 초거대 AI 기반 메타버스·VR·AR 활용 사례
〈표3-20〉 산업별 메타버스 적용 사례
〈표3-21〉 메타버스 7계층 생태계
〈표3-22> 메타버스 학습환경의 이점
〈표3-23> 메타버스의 한계점 및 잠재력
〈표3-24〉 뇌파 기반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핵심기술
〈표3-25〉 뇌파 기반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기술개발 목표
〈표3-26〉 산업 재직자 역량 강화 플랫폼 핵심기술
〈표3-27〉 산업 재직자 역량 강화 플랫폼 기술개발 목표
〈표3-28〉 은퇴자·고령자 대상 런케이션 서비스 핵심기술
〈표3-29〉 은퇴자·고령자 대상 런케이션 서비스 기술개발 목표
〈표3-30〉 휴먼팩터 연계 지식전이 서비스 핵심기술
〈표3-31〉 휴먼팩터 연계 지식전이 서비스 기술개발 목표
〈표3-32〉 xAI 기반 개별 학습자 맞춤형 교육 플랫폼 핵심기술
〈표3-33〉 xAI 기반 개별 학습자 맞춤형 교육 플랫폼 기술개발 목표
〈표3-34〉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자율학습 서비스 핵심기술
〈표3-35〉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자율학습 서비스 기술개발 목표
〈표3-36〉 학생-교사-학부모 간 갈등해소 서비스 핵심기술
〈표3-37〉 학생-교사-학부모 간 갈등해소 서비스 기술개발 목표
〈표3-38〉 온라인 환경 내 학습자 보호 플랫폼 핵심기술
〈표3-39〉 온라인 환경 내 학습자 보호 플랫폼 기술개발 목표

Ⅳ. 에듀테크 주요 기업 사업화 전략
〈표4-1〉 BetterUP 주요 사업 분야

그림 목차
Ⅰ. 글로벌 에듀테크 산업 및 주요국 동향
〈그림1-1〉 글로벌 교육 시장 규모 전망 (공교육+사교육)
〈그림1-2〉 2030년 글로벌 교육 지출 전망 (공교육+사교육)
〈그림1-3〉 국내 사교육비 총액
〈그림1-4〉 학생 1인당 연평균 사교육비
〈그림1-5〉 출생아 수와 합계 출산율 추이
〈그림1-6〉 학령인구 수 추이
〈그림1-7〉 사교육 방법별 일반교과 사교육비 추이
〈그림1-8〉 학교별 온라인 학습 사교육비 추이
〈그림1-9〉 정부 ‘디지털 시대 교육의 대전환 방향’ 발표
〈그림1-10〉 국내 교육 패러다임 변화
〈그림1-11〉 이러닝-스마트러닝-에듀테크로 진화
〈그림1-12〉 에듀테크 산업 성장 전망
〈그림1-13〉 에듀테크 관련 기술
〈그림1-14〉 에듀테크·스마트교실 글로벌 시장 규모 전망
〈그림1-15〉 에듀테크·스마트교실 지역별 시장 규모 전망
〈그림1-16〉 분야별 AI 도입 현황 및 전망
〈그림1-17〉 산업별 AI에 대한 벤처캐피탈 투자 현황
〈그림1-18〉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 전망
〈그림1-19〉 분야별 온라인 교육 성장률 전망
〈그림1-20〉 2022년 글로벌 에듀테크 1,000개 기업의 부문별 구성
〈그림1-21〉 2021년 글로벌 에듀테크 1,000개 기업의 지역별·부문별 구성
〈그림1-22〉 글로벌 에듀테크 1,000개 기업의 지역별·부문별 설립 추이
〈그림1-23〉 CBInsight의 Global Edtech Market Map
〈그림1-24〉 글로벌 이러닝 시장 규모
〈그림1-25〉 국내 에듀테크 시장 전망
〈그림1-26〉 국내 에듀테크 수요시장 분포(2021년 기준)
〈그림1-27〉 2024 대한민국 에듀테크 마켓맵
〈그림1-28〉 해외 빅테크와 에듀테크 기업 간 상호보완적 사업 형태
〈그림1-29〉 비상교육의 양방향 교실 수업 시스템 (Interactive Class System, ICS)
〈그림1-30〉 2022 대한민국 에듀테크 마켓맵
〈그림1-31〉 에듀테크 스타트업 - 아이헤이트플라잉버그스 AI 기반 학생 관리 방법
〈그림1-32〉 호두랩스의 게임 기반 영어 학습 플랫폼 ‘호두잉글리시’
〈그림1-33〉 글로벌 에듀테크 기업 분포
〈그림1-34〉 국내외 학습콘텐츠 영역 비즈니스 분야 비교
〈그림1-35〉 국내외 기술 플랫폼 영역 비즈니스 분야 비교
〈그림1-36〉 국내외 네트워크 기반 부문 비즈니스 분야 비교
〈그림1-37〉 국내외 에듀테크 기업 디바이스 부문 비즈니스 분야
〈그림1-38〉 국내 학교 현장 VR 시범 수업 사례
〈그림1-39〉 이러닝 이용 방법 (중복응답 기준)
〈그림1-40〉 이러닝 이용 분야 (중복응답 기준)
〈그림1-41〉 이러닝 평균 수강 과목 수
〈그림1-42〉 이러닝 분야별 만족도
〈그림1-43〉 해외 시장 진출 현황
〈그림1-44〉 해외 수출 국가
〈그림1-45〉 해외 거래고객 유형
〈그림1-46〉 해외진출 방식
〈그림1-47〉 해외진출 희망 대륙
〈그림1-48〉 향후 5년 후 이러닝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국가/대륙
〈그림1-49〉 2024년 이러닝산업 성장전망(2023년 대비)
〈그림1-50〉 이러닝산업 성장전망(향후 5년)
〈그림1-51〉 에듀테크 소프트랩을 중심으로 하는 공교육 에듀테크 생태계
〈그림1-52〉 북미 교육 서비스 현황 주요 도표(2021년)
〈그림1-53〉 북미 에듀테크 시장 인포그래픽(2021-2025)
〈그림1-54〉 학교 교육의 미래를 위한 4가지 시나리오
〈그림1-55〉 북미 교육 서비스 산업망 구조
〈그림1-56〉 2017-2022년 중국 디지털교육 산업 시장 규모 발전 동향
〈그림1-57〉 중국 온라인 교육 시장규모
〈그림1-58〉 중국 온라인 K12 교육 시장규모
〈그림1-59〉 중국 온라인 교육 시장 전망
〈그림1-60〉 중국 온라인 코딩 교육 시장 규모
〈그림1-61〉 코드마오(编程猫) 제품
〈그림1-62〉 난과커쉐(南瓜科学) 제품
〈그림1-63〉 중국 온라인 음악·미술 교육 시장 규모
〈그림1-64〉 THE ONE(小叶子) 제품
〈그림1-65〉 요우다오중헝(有道纵横) 제품
〈그림1-66〉 중국 국가 스마트교육 공공 플랫폼 메인 화면
〈그림1-67〉 일본 e-러닝 시장규모 전망
〈그림1-68〉 2016~2022년 영국 에듀테크 분야 투자액
〈그림1-69〉 MEL Science의 VR 키트
〈그림1-70〉 Membot의 작동 메커니즘
〈그림1-71〉 인도 에듀테크 시장 규모
〈그림1-72〉 싱가포르 연도별 교육 정부예산 지출 추이
〈그림1-73〉 싱가포르의 에듀테크 관련 정책 흐름
〈그림1-74〉 베트남의 온라인 학습 시장 성장률 예측치(2020-2023)
〈그림1-75〉 베트남 에듀테크 펀딩 히스토리(2016-2021)
〈그림1-76〉 베트남 에듀테크의 5단계 발전(2000-2021)
〈그림1-77〉 베트남 에듀테크 스타트업 생태계 지도
〈그림1-78〉 영어 발음 교정 모바일 앱 엘사(ELSA)앱 예시
〈그림1-79〉 퀴버 3D 컬러링 앱
〈그림1-80〉 베트남 EQuest에서 제공하는 에듀테크 서비스 분야
〈그림1-81〉 토피카 에듀테크 그룹과 제휴한 베트남의 대학들 
〈그림1-82〉 인도네시아 학생 수 및 연령별 취학률
〈그림1-83〉 인도네시아 신생 에듀테크 기업 수와 인터넷 보급률 변화 추이
〈그림1-84〉 인도네시아 지역별 에듀테크 시장 침투율
〈그림1-85〉 인도네시아 에듀테크 업체 서비스 제공 방식
〈그림1-86〉 서비스 분야별 인도네시아 에듀테크 기업 분포
〈그림1-87〉 인도네시아 내 에듀테크 기업 분류
〈그림1-88〉 말레이시아 에듀테크 스타트업 분포 현황

Ⅱ. AI 디지털교과서 및 에듀테크 기술 동향
〈그림2-1〉 AI 디지털교과서 비전 체계도
〈그림2-2〉 AI 디지털교과서 핵심 서비스
〈그림2-3〉 블룸의 신교육 목표 분류(Bloom’s New Taxonomy)
〈그림2-4〉 AI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구성도
〈그림2-5〉 덴마크의 디지털교재 MeeBook의 학급관리와 모바일용 화면(일정관리)
〈그림2-6〉 일본의 영어 디지털교과서 - 낭독기능과 추가 콘텐츠 연결
〈그림2-7〉 에스토니아의 웹기반 디지털교과서 ‘Opiq’ 중학교 1학년 생물교과 목차
〈그림2-8〉 호주의 웹기반 디지털교과서 Scootle, 고등학교 1학년 수학 목차
〈그림2-9〉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절차
〈그림2-10〉 AI 디지털교과서의 서비스 방식 전환
〈그림2-11〉 교육과정 표준체계 활용 개요
〈그림2-12〉 교육과정 표준체계 구성(안)
〈그림2-13〉 교육과정 표준체계 활용 개념도
〈그림2-14〉 교육과정 표준체계를 활용한 개발사별 학습맵 제작 방안
〈그림2-15〉 학습 맵 구성 개념도
〈그림2-16〉 학습 맵 구성 예시
〈그림2-17〉 AI 기반 맞춤형 학습 지원 흐름도(안)
〈그림2-18〉 학습진단 및 추천 개요
〈그림2-19〉 학생 대시보드 사례
〈그림2-20〉 교사 대시보드 사례
〈그림2-21〉 학부모 대시보드 사례
〈그림2-22〉 AI 튜터의 활용 예시 - 학생 질의응답 및 힌트 제공
〈그림2-23〉 AI 보조교사의 활용 예시
〈그림2-24〉 AI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구조(안)
〈그림2-25〉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로드맵 조정(안)
〈그림2-26〉 MATHia
〈그림2-27〉 Dreambox
〈그림2-28〉 Duolingo
〈그림2-29〉 EBS 단추
〈그림2-30〉 비바샘
〈그림2-31〉 뤼튼 스튜디오
〈그림2-32〉 애리조나주립대 강의에서 활용하는 메타버스
〈그림2-33〉 AI 가상 튜터
〈그림2-34〉 현립고등학교에서 도입하는 자동채점 이미지
〈그림2-35〉 월 80시간 이상 초과 근무를 경험한 현 내(県内) 교직원 비율

Ⅲ. 에듀테크 핵심 기술 및 특허동향과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1〉 AIEd, EDM, LA 간의 관계
〈그림3-2〉 에듀테크 AI 에이전트 구조
〈그림3-3〉 OECD.AI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포함한 20개 분야
〈그림3-4〉 OECD.AI에서 제공하는 교육 분야 AI 관련 연구의 키워드
〈그림3-5〉 한국 포함 주요국 AI 관련 사업 투자금액
〈그림3-6〉 한국 포함 주요국 AI 관련 사업 투자금액
〈그림3-7〉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능동적 학습 과정
〈그림3-8〉 AI 관련 한국의 교육 정책 및 정부 조직의 변화
〈그림3-9〉 글로벌 에듀테크 내 AI 시장 규모
〈그림3-10〉 종이 기반의 시험 풀이 결과를 불러와 자동으로 채점을 하는 과정 개념도
〈그림3-11〉 대학 수업 조교 챗봇 Jill Watson과 학생의 실제 대화 사례
〈그림3-12〉 ALEKS의 Adaptive Learning에서 3가지 수준의 학습 분석
〈그림3-13〉 Vector의 에너지 교육 AI 튜터 Will과 학습을 하고 있는 모습
〈그림3-14〉 발음 정확도에 관한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ELSA Speak
〈그림3-15〉 Squirrel AI의 학습 지식맵(Knowledge Map) 예시
〈그림3-16〉 Korbit의 대화 기반 튜터링 개요
〈그림3-17〉 Santa 서비스 이미지
〈그림3-18〉 자기주도 학습 코칭 AI 아이뚜루
〈그림3-19〉 스픽나우의 디지털 휴먼 AI 튜터
〈그림3-20〉 메타버스의 4가지 분류 및 유형
〈그림3-21〉 VR/AR과 메타버스 비교
〈그림3-22〉 스티븐슨 소설『Snow Crash(1992)』및 메타버스를 영화로 표현한 작품
〈그림3-23〉 메타버스 플랫폼 트렌드 변화
〈그림3-24〉 시대별 ICT 패러다임 변화
〈그림3-25〉 메타버스 5대 이슈
〈그림3-26〉 웹3.0 기반 멀티버스를 지원하는 멀티버스 플랫폼 시스템 구성도
〈그림3-27〉 DAO 기반 대국민 오디션 메타버스 플랫폼 구성도
〈그림3-28〉 산업 분야 메타버스 현장 사례
〈그림3-29〉 클래스도조 아바타와 메타버스 속 아바타 비교 이미지
〈그림3-30〉 모나 메타버스 월드 탐색 및 탐색 화면
〈그림3-31〉 버드 메타버스 웹사이트 및 저작 화면 예시
〈그림3-32〉 니어허브 웹사이트 및 월드 화면 예시
〈그림3-33〉 로블록스의 오브젝트 해상도 개선 및 음성 대화 기능 소개 내용
〈그림3-34〉 제페토 내에 개설한 기업 홍보관 및 건강정보센터 화면 예시
〈그림3-35〉 글로브포인트의 VR웨어 교육용 메타버스 솔루션
〈그림3-36〉 오큘러스용 호라이즌 소개 영상 중 한 장면
〈그림3-37〉 마이크로소프트가 진행 중인 메타버스 솔루션 목록
〈그림3-38〉 엔비디아 옴니버스 협력 생태계
〈그림3-39〉 텐센트 메타버스 생태계
〈그림3-40〉 메타버스 마켓 맵
〈그림3-41〉 메타버스 표준 포럼 주요 회원사 일부 발췌
〈그림3-42〉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기술적, 사회적, 정서적 기술)
〈그림3-43〉 뇌파 기반 개인 맞춤형 교육시스템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그림3-44〉 뇌파 기반 개인 맞춤형 교육시스템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그림3-45〉 뇌파 기반 개인 맞춤형 교육시스템 연도별 출원인 건수
〈그림3-46〉 뇌파 기반 개인 맞춤형 교육시스템 국내외 주요 출원인/국내 중소기업 주요 출원인
〈그림3-47〉 산업 재직자 역량 강화 플랫폼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그림3-48〉 산업 재직자 역량 강화 플랫폼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그림3-49〉 산업 재직자 역량 강화 플랫폼 연도별 출원인 건수
〈그림3-50〉 산업 재직자 역량 강화 플랫폼 국내외 주요 출원인/국내 중소기업 주요 출원인
〈그림3-51〉 은퇴자·고령자 대상 런케이션 서비스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그림3-52〉 은퇴자·고령자 대상 런케이션 서비스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그림3-53〉 은퇴자·고령자 대상 런케이션 서비스 연도별 출원인 건수
〈그림3-54〉 은퇴자·고령자 대상 런케이션 서비스 국내외 주요 출원인/국내 중소기업 주요 출원인
〈그림3-55〉 휴먼팩터 연계 지식전이 서비스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그림3-56〉 휴먼팩터 연계 지식전이 서비스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그림3-57〉 휴먼팩터 연계 지식전이 서비스 연도별 출원인 건수
〈그림3-58〉 휴먼팩터 연계 지식전이 서비스 국내외 주요 출원인/국내 중소기업 주요 출원인
〈그림3-59〉 xAI 기반 개별 학습자 맞춤형 교육 플랫폼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그림3-60〉 xAI 기반 개별 학습자 맞춤형 교육 플랫폼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그림3-61〉 xAI 기반 개별 학습자 맞춤형 교육 플랫폼 연도별 출원인 건수
〈그림3-62〉 xAI 기반 개별 학습자 맞춤형 교육 플랫폼 국내외 주요 출원인/국내 중소기업 주요 출원인
〈그림3-63〉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자율학습 서비스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그림3-64〉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자율학습 서비스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그림3-65〉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자율학습 서비스 연도별 출원인 건수
〈그림3-66〉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자율학습 서비스 국내외 주요 출원인/국내 중소기업 주요 출원인
〈그림3-67〉 학생-교사-학부모 간 갈등해소 서비스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그림3-68〉 학생-교사-학부모 간 갈등해소 서비스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그림3-69〉 학생-교사-학부모 간 갈등해소 서비스 연도별 출원인 건수
〈그림3-70〉 학생-교사-학부모 간 갈등해소 서비스 국내외 주요 출원인/국내 중소기업 주요 출원인
〈그림3-71〉 온라인 환경 내 학습자 보호 플랫폼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그림3-72〉 온라인 환경 내 학습자 보호 플랫폼 주요 출원인 국가별 출원 건수
〈그림3-73〉 온라인 환경 내 학습자 보호 플랫폼 연도별 출원인 건수
〈그림3-74〉 온라인 환경 내 학습자 보호 플랫폼 국내외 주요 출원인/국내 중소기업 주요 출원인
〈그림3-75〉 뇌파 기반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76〉 산업 재직자 역량 강화 플랫폼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77〉 은퇴자·고령자 대상 런케이션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78〉 휴먼팩터 연계 지식전이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79〉 xAI 기반 개별 학습자 맞춤형 교육 플랫폼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80〉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자율학습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81〉 학생-교사-학부모 간 갈등해소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3-82〉 온라인 환경 내 학습자 보호 플랫폼 기술개발 로드맵

Ⅳ. 에듀테크 주요 기업 사업화 전략
〈그림4-1〉 구글 클래스룸
〈그림4-2〉 국내 언어 학습 앱 다운로드 순위
〈그림4-3〉 BetterUp 정신 건강 지원 플랫폼
〈그림4-4〉 디그리드(Degreed)
〈그림4-5〉 디그리드 학습 생태계
〈그림4-6〉 윤선생 와이플래닛
〈그림4-7〉 아이스크림에듀의 초등 홈러닝 서비스
〈그림4-8〉 뤼이드 산타토익
〈그림4-9〉 데이터뱅크 TestGlider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