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 1: 2024년 5월 27일 경남 사천시에 우주항공청 임시청사가 들어섰다. 한국판 NASA라는 별명이 붙으며 언론에 대서특필되었다. 한국 우주개발 과정에서 우주항공청이 떠오른 이유와 그리고 우주항공청이 이끌 한국의 우주개발에 대해 정리했다.
● 이슈 2: 서울대 트렌드분석센터가 2024년 한국 소비 트렌드 10대 키워드 중 하나로 ‘도파밍’을 선정했다. 신경전달물질 ‘도파민’과 수집한다는 뜻의 게임 용어 ‘파밍’의 합성어다. 인류는 언제나 재밌고 자극적인 것을 추구하며 살아왔다. 그런데 왜 2024년 새삼스럽게 도파민을 추구하는 행위가 트렌드로 꼽혔을까? ‘도파밍’을 둘러싼 자세한 맥락과 그 안의 과학적 사실을 해부해보았다.
● 이슈 3: 위고비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오프라 윈프리 등 해외 유명인사들의 체중 감량 성공 비결로 알려지면서 ‘기적의 비만치료제’로 주목받았다. 지난 10월 15일, 한국에도 드디어 위고비가 상륙, 출시되자마자 품귀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위고비는 기존 비만치료제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위고비 한국 출시를 맞아 비만과 비만치료제에 대해 살펴본다.
● 이슈 4: 최근 국내의 자동차 사고 중 자동차 급발진을 주장하는 운전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자동차 급발진 사고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내연기관차는 물론이고 하이브리드차 및 전기차 등 미래 이동수단도 예외는 아니다. 모든 차종에 발생한다는 측면에서 급발진은 더욱 공포를 유발한다. 자동차 급발진의 원인과 대처방법부터 발생 이후의 법적인 개선 움직임은 물론이고 해외 사례까지 자동차 급발진 관련 내용을 총정리했다.
● 이슈 5: 뇌에 칩을 심어 루게릭병 환자를 일으킬 수 있을까? 뇌-컴퓨터 선두 주자 뉴럴링크와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BCI에 대해 정리했다. 한국을 비롯한 세계 기술의 현주소와 미래 또한 전망한다.
● 이슈 6: 챗GPT를 선보이며 생성형 AI 열풍을 일으킨 오픈AI가 2024년 5월 ‘멀티 모달’ 기능에 초점을 맞춘 새 모델 GPT-4o를 공개했다. GPT-4o가 바꿀 우리의 일상부터 경쟁사인 구글 제미니와 메타 Llama 3.1에 대해서도 심층 분석했다.
● 이슈 7: 2024년은, 1824년 메갈로사우루스를 시작으로 한 공룡 연구가 200주년을 맞이하는 해다. 첫 공룡 연구부터 2024년까지 200년간의 공룡 연구사를 압축 정리했다.
● 이슈 8: 2024 제33회 파리올림픽이 지난 8월 11일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과학기술 역시 올림픽에서 빼놓을 수 없는 또 하나의 재미다. 부동의 세계 1위 대한민국 양궁을 뒷받침하는 슈팅로봇부터, 선수들의 빠른 회복을 돕는 크라이오테라피, 기술도핑 논란 등 올림픽에 동원되었던 과학기술을 정리했다.
● 이슈 9: 네안데르탈인이 만약 지금도 남아 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상상해본 글. 네안데르탈인은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와는 가장 가까운 친척 인류다.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만남과 경쟁 등을 살펴본다.
● 이슈 10: 100여 년 전부터 비행기 조종사들로부터 구름 위에서 벌어지는 현상에 대한 흥미로운 목격담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었다. 즉 구름 위에서 붉거나 푸른 불기둥을 보았다는 내용이다. 그동안 이 현상은 과학적 증거가 없었기 때문에 과학의 영역에 들어오지 못했다. 그러다 최근 이것이 구름 위에서 치는 ‘대규모 번개’임이 밝혀졌다. 일명 ‘메가 번개(megalightning)’다. 메가번개는 무엇이고, 어떻게 생성되는지 자세히 정리했다.
● 이슈 11: 2024년 10월 10일,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한강 작가가 선정되었다는 뉴스로 대한민국이 발칵 뒤집혔다.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은 한국인 최초, 아시아 여성 최초다. 2024 노벨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의학상을 중심으로 2024 노벨상 연구 업적을 심층 취재했다.